J. Kor. Inst. Fire Sci. Eng. Search

CLO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0;14(1):1-7.
Published online March 31, 2000.
저밀도폴리에틸렌에서 트리 형상의 전계의존성에 관한 연구
김재환박창옥윤헌주
1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2안동상지전문대학 전기과3광운대학교 전기공학과 박사과정수료
A Study on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요약
절연재료의 내부에서 부분방전이 발생하면 국부파괴와 완전절연파괴의 원인이 된다. 부분방전으로 생기는 트리잉은 절연재료를 열화시키고 절연 수명을 단축시키는 중요한 원인이 된다. 따라서 절연파괴의 예측과 절연재료의 수명을 진단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는 매우 중요하다. 고전압 하에서 일어나는 트리잉 현상에 대해서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트리잉 개시 전압과 그 진전 과정을 진성파괴의 견해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고전압하에서 일어나는 트리잉현상에 대해서 저밀도폴리에틸렌에서 트리형상의 전계의존성에 관하여 고찰하였다. 결과로서 트리의 성장을 그 내부가 각각 유전체 혹은 도체라고 가정했을 때의 중간적인 특성을 갖는다는 추리하에 이론적으로 검토한 결과, 실험결과와도 잘 일치됨을 알 수 있었다.
Abstract
Internal insulators give rise to partial discharge(PD), which cause local breakdown and even entire insulation breakdown. Treeing due to PD is one of the main causes of breakdown of the insulating materials and reduction of the insulation life. Therefore the necessity for establishing a method to diagnose the aging of insulation materials and to predict the breakdown of insulation has become important. From this viewpoint, we have studied on Electric Field dependence of tree shape in Low Density Polyethylene about treeing phenomena occurring on the high electrical field. As the result, under the reasoning that the growing of tree supposing when the inner part of tree is either dielectrec or conductor has the intermediate characteristics between dielectrec and conductor, theoretically investicated results well according with the experimental results.
Key Words: partial discharge, Low Density Polyethylene, Electric Field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