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 Inst. Fire Sci. Eng. Search

CLO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004;18(1):42-48.
Published online March 31, 2004.
복합상영관 화재에 대한 화재모델링의 적용
허준호김종훈노삼규김운형
1광운대학교 건축학부2광운대학교 건축학3광운대학교 건축학4경민대학 소방과학과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Fire Modeling for Multiplex Cinema Theater
요약
다중이용시설의 화재 시 온도분포 및 연기유동 모델링은 결정론적 모델(Deterministic Model)인 존모델 (Zone Model)과 필드모델(Field Model)이 주로 사용되고 있다. 존모델은 공간을 두개의 지역으로 구분하여 화재현상을 분석하고, 필드모델은 공간을 다수의 Cell로 구분하여 분석하고 있으나 두 모델의 비교치에 대해서는 효용성 검증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따라서 화재현상의 모델링에 따른 수치적 이해와 관련자료의 검증을 통하여 실 상황에 보다 근접한 새로운 모델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논문에서는 두 모델을 복합상영관의 실내공간에 적용하여 그 효용성을 분석해본 결과 공간 평균분포도에서는 존모델이, 세부적 공간현상에서는 필드모델의 적용이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체적인 화재의 성상과 감지기의 위치선정, 연기제어를 위한 제연설비의 검토를 위해서는 필드모델의 활용이 더욱 효과적이다.
Abstract
The deterministic modeling techniques like Zone model and Field model are mainly used for thermal distribution and smoke flow at fire case in multi use facilities. While Zone model analyse fire simulation by dividing spaces by 2 section, the Field model dividing many cells. However, the difficultly follows to prove efficiency between the two models when it applys. Therefore new modeling development is required which in closes to real situation by verify number algorithm and related data for fire modeling. The paper analyses the efficiency of two different fire modeling at interior spaces of multiplex cinema theater. It is found that the zone model for average distribution and the field model for detail space phenomenon are relevant to apply. Also, Filed model is useful to the result that fire analysis and position of detector and review for smoke control system.
Key Words: Zone model, Field model, Fire simulation, Multiplex cinema theater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