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플랜트 시설물 화재 위험 분석
2.1 플랜트 시설물 화재사례 분석
Table 1
Classification | Tank (Number) | Capacity (kL) |
---|---|---|
Gasoline | 4 | 26,610 |
Diesel | 6 | 44,492 |
Kerosene | 2 | 10,805 |
Mixed Oil | 2 | 476 |
Total | 14 | 77,384 |
Table 2
2.2 플랜트 시설물 화재 유형 분석
Table 3
NO. | Hazards | Safety Hazards | Health Hazards | Environmental Hazards | Risk Sources |
---|---|---|---|---|---|
H-01 | Hydrocarbons | ||||
H-01.01 | Oil Under Pressure | F1) | C2) | D3) | Flowlines, Pipelines, Pressure Vessels and Piping |
H-01.02 | Hydrocarbons in Formation | F | - | D | Oil Wells Especially during well Drilling and Entry/Workover Operations |
H-01.03 | LPGs (e.g. Propane) | F | C | D | Process Fractionating Equipment, Storage Tanks, Transport Trucks and Rail Cars |
H-01.04 | LNGs | F | C | D | Cryogenic Plants, Tankers |
H-01.05 | Condensate, NGL | F | C | D | Gas Wel ls, Gas Pipel Ines, Gas Separation Vessels |
H-01.06 | Hydrocarbon Gas | F | C | D | Oil/Gas Storage Tanks, Gas Processing Plants, Compressors, Gas Pipelines |
H-01.07 | Oil at Low Pressures | F | C | D | Oil Storage Tanks |
H-02 | Refined Hydrocarbons | ||||
H-02.01 | Lube and Seal Oil | F | C | D | Engines and Rotating Equipment |
H-02.02 | Hydraulic Oil | F | C | D | Hydraulic Pistons, Hydraulic Oil Tank and Pumps |
H-02.03 | Diesel Fuel | F | C | D | Engine, Oil Storage Tank |
H-02.04 | Gasoline | F | C | D | Oil Storage Tank |
Table 4
No | Type of Plant | Location | Risk | Type of Disaster | Combustibles | Type of Ignition |
---|---|---|---|---|---|---|
1 | Oil/Gas Plant | |||||
1-a | Oil Refinery | Outdoor | High | Fire/Explosion | Fossilized Fuel | PF1), FJ2), BL3), VCE4) |
1-b | Tank Terminal | Outdoor | High | Fire | Fossilized Fuel | PF |
1-c | Reserve Base | Outdoor | High | Fire | Fossilized Fuel | PF |
1-d | Gas Station | Outdoor | High | Fire/Explosion | CH4 | PF, FJ, VCE |
1-e | Supplying Pipe | Under Ground | High | Fire/Explosion | CH4 | FJ, VCE |
1-f | V/V Station | Outdoor | High | Fire/Explosion | CH4 | FJ, VCE |
2 | Petrochemical Plant | |||||
2-a | Raw Material Production Plant | Outdoor | High | Fire/Explosion | Fossilized Fuel | PF, FJ, BL, VCE |
2-b | Processing Plant | Outdoor | Medium | Fire/Explosion | Fossilized Fuel | PF, DE, RF5) |
3 | Chemical Plant | Outdoor | Medium | Fire/Explosion | Chemicals | PF, DE, RF |
3. oil-tank 화재 분석
3.1 화재모델링 및 시나리오 설정
Table 5
Fule | HRR per Unit Area (kW/m2) | Radiation Raction |
---|---|---|
Gasoline | 3,290 | 0.4 |
Diesel | 1,985 | 0.3 |
n-Heptane | 4,500 | 0.35 |
Table 6
3.2 oil-tank 화재 결과 분석
Table 7
3.3 소방대 소방활동 및 작업자 피난영역 분석
4. 결 론
화재 사례 분석에 의하면 석유화학 플랜트에서 화재가 발생을 유발하는 사고원인을 보면 크게 시설물의 노후화, 작업자의 부주의, 공정 프로세스에 대한 문제 등으로 확인 할 수 있다. 이때 화재 위치에 대한 주요 공정별 분류를 보면 저장탱크 부분에서 가장 많은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공정 내 반응기 화재가 저장탱크 다음으로 주요 화재 장소로 확인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화재의 경우 폭발을 수반하는 경우가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어 화재가 발생하면 그 피해규모가 크게 발생하며, 화재 진압 시 소방활동에 많은 어려움이 발생한다.
ISO 17776 체크리스트 기법을 통해 화재 유형을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하에 매설 가능한 공급배관, 옥내에 대부분 설치⋅운영 가공 및 화학 공정을 제외하면 옥외에 설치되어 많은 양의 위험물질을 취급하여 높은 화재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특히 대다수 공정에서 저장탱크가 주요 화재요인으로 도출하였으며 또한 같은 위험물질이라도 저장 및 운전 조건에 따라 위험의 크기가 달라짐을 확인하였다.
화재모델링을 통해 oil-tank에 대한 복사열 분석 결과 주요 변수인 가연물, 풍속 조건에 따라 시뮬레이션 분석을 진행하였고 동일 환경조건에서 각각 n-헵탄, 휘발유, 경유 순으로 위험성이 높게 보여지고 있다. 이때 각 변수가 복사열에 주는 민감도 및 상관 분석에 따르면, 동일 풍속 조건에서 가연물이 복사열보다 동일 가연물 조건에서보다 높은 민감도를 갖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복사 위험 반경에 대하여 분석결과로 소방대의 소방활동 전개 가능 영역 및 작업자 대피 영역은 기상 조건(풍속)에 따라 상당히 달라짐을 보여주고 있다. 이때 위험군을 시설물의 피해 및 사람이 즉각 사망할 수 있는 37.5 kW/m2에서 최저 6.3 kW/m2의 범위에 이르는 고위험군과 일반 작업자 및 소방대의 피해가 오는 정도의 범위인 6.3 kW/m2에서 최저 1.6 kW/m2인 중위험군, 연속적으로 노출 가능한 1.6 kW/m2 이하의 저위험군에 대하여 풍속에 따라서 지정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석유화학플랜트에서 화재 발생이 높은 공정과 화재 모델링을 통한 분석 하였으며, 플랜트의 화재안전설계시공 및 소방대의 진압 기술에 대한 주요 요인 등을 도출하였다. 특히, 화재방호 시스템의 경우 화재전파 속도와 복사열 한계점까지 도달 시간, 화재 발생 위치 및 주변 시설물에 주는 영향, 기상환경 및 기타 환경요건 등을 고려가 필요하다. 다만, 본 연구를 통한 결과가 적용한 화재모델링 자체에 대한 종속성에 대한 가능성이 있기때문에 주요 요인에 대한 다양한 화재 시나리오를 통해 데이터를 축적하고 이를 일반화 및 표준화 할 수 있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