손상된 멀티콘센트 사용에 따른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 분석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Using a Damaged Multi-outlet

Article information

Fire Sci. Eng.. 2022;36(2):41-4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pril 30
doi : https://doi.org/10.7731/KIFSE.3a53bb12
오부열*, 박종영**, 이재훈*, 전규남***, 최돈묵****,
* 국립소방연구원 공업연구사
* Research Official, Dept. of Fire Safety Lab, National Fir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 국립소방연구원 공업연구관
** Senior Research Official, Dept. of Fire Safety Lab, National Fir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원
*** Researcher, Dept. of Fire Safety Lab, National Fire Research Institute of Korea
**** 가천대학교 설비⋅소방공학과 교수
**** Professor, Dept. of Building Equipment System⋅Fire Protection Eng, Gachon Univ
Corresponding Author, TEL: +82-31-750-5716, FAX: +82-31-750-8749, E-Mail: fire@gachon.ac.kr
Received 2021 October 18; Revised 2022 February 10; Accepted 2022 February 21.

Abstract

최근 일반 가정에서의 전기제품 사용량 증가에 따라 멀티콘센트 사용이 증가하고 있으며, 사용자는 구매 후 수개월⋅수년간 교체하지 않고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더욱이 에너지 절감 및 화재 예방을 위하여 멀티콘센트에 전기제품 플러그를 꼽고 빼는 횟수가 증가하여 이에 따른 구조적인 결함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는 콘센트와 플러그의 접속불량에 의한 국부적인 열을 발생시켜 화재로 이어질 위험성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오랜기간 사용으로 인하여 구조적 결함이 발생한 손상된 멀티콘센트의 사용에 따른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를 통하여 화재 위험성을 분석하였다. 열적특성은 정상의 경우 플러그 결속부보다 메인스위치의 온도가 높았으며, 결함 제품의 경우 정상에 비해 최대 2.4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Trans Abstract

Recently, the use of multi-outlets has been increasing owing to the increased use of electrical appliances in households. The majority of users do not replace multi-outlets for several months or even years after purchase. Moreover, with the intention to save energy and prevent fire, users frequently unplug electrical appliances from multi-outlets, which may cause structural defects. Owing to a poor connection between the multi-outlet and plug, there is a risk of generating local heat, which may lead to fire. Therefore, in this study, a damaged multi-outlet with structural defects owing to long-term use is secured through repeated tests, and the risk of fire is determined based on its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current generated during use. It was confirmed that the temperature of the main switch was higher than that of the plug connection, and the damaged multi-outlet temperature was up to 2.4-fold higher than normal.

1. 서 론

소방청 국가화재정보센터 화재발생통계에 따르면 매년 전국에서는 약 4만건이 넘는 화재가 발생하여 막대한 인적⋅물적 재산피해가 발생하고 있다(1). 최근 3년간 전체 화재 건수는 2018년 42,338건, 2019년 40,103건, 2020년 38,659건으로 감소추세에 있으나,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는 2018년 10,471건, 2019년 9,459건, 2020년 9,329건으로 전체 화재의 약 24% 수준을 유지하고 있다. 전기적 요인으로는 압착손상, 절연열화 등에 의한 단락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였으며, 접촉불량, 과부하/과전류 순으로 높았다. 또한 전기적 요인에 의한 화재 중 발화 기기별 분류를 하면 배선/배선기구가 2018년 2,793건(26.7%), 2019년 2,378건(25.1%), 2020년 2,123건(2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배선/배선기구 중에서는 멀티콘센트/콘센트류 화재가 2018년 688건(24.6%), 2019년 593건(24.9%), 2020년 596건(28%)로 증가추세에 있다.

멀티콘센트/콘센트의 화재는 문어발식 사용에 의한 과부하/과전류에 의해서도 발생하지만 멀티콘센트를 반복적으로 오랜시간 사용 시 칼받이의 탄성 저하로 플러그의 핀 부분과의 접속이 느슨하게 연결되면서 도체에 산화물이 쌓여 접촉면적이 감소함에 따라 접속부에 국부적인 발열에 의해 발생한다(2). 특히 이러한 고온 발생이 지속적으로 반복되면 도체에서 발생한 열이 칼받이를 고정하는 절연물로 전달되면서 절연물의 열화로 절연성능이 저하될 뿐 아니라 심할 경우 절연물이 탄화되어 절연이 파괴되며 단락을 유발할 수 있다(3-5). 이러한 현상은 벽면형 콘센트에 비해 이동형 멀티콘센트에서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자제품의 종류가 다양해지고 에너지 절감 및 화재예방을 위해 플러그를 꼽고 빼는 횟수가 증가하면서 구조적 결함 발생에 취약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멀티콘센트의 전기화재 위험성 연구는 사용상의 부주의, 전류값에 의한 절연저항 분석 연구가 일부 수행되었으나 오랜기간 사용에 따른 손상된 멀티콘센트의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기 때문에 손상된 멀티콘센트에 의한 열적⋅전기적 위험성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KS C IEC 60884-1 (가정용 및 이와 유사한 용도의 플러그 및 콘센트) 정상동작 시험기준에 의한 멀티콘센트의 반복시험 수행과 반복시험 후 구조적으로 결함을 보인 멀티콘센트를 확보하여 정상 멀티콘센트와의 전류값에 따른 열적특성 및 전기적 신호를 비교 분석하였다.

2. 실험장치 및 방법

2.1 KS C IEC 60884-1에 의한 반복시험

본 실험은 정격용량 16 A, 250 V, 5구 이동형 멀티콘센트 4개 제품군을 선정하였고 반복시험 장비는 PTL Dr. Grabenhorst GmbH (N03.45)사의 개폐시험기와 F 56.71 타입의 플러그 지그를 사용하였다. 반복시험은 KS C IEC 60884-1 정상동작 시험기준에 따른 정격전압 250 V, 정격전류 16 A 역률 0.8 조건으로 인가한 후 플러그를 멀티콘센트에 삽입하고 빼는 반복동작을 분당 30스트로크 속도로 5,000회 수행하였다. 반복시험을 통하여 시험 전후의 멀티콘센트의 칼받이 직경과 절연물 표면 등 변화를 분석하였다. 칼받이 직경측정은 Mitutoyo (CD-20AX)사의 버니어 캘리퍼스를 사용하였으며, 표면분석은 3D입체 분석을 위해 KEYENCE (VHX7000)사의 디지털 마이크로스코프를 사용하였다. Figure 1은 반복시험을 위해서 선정된 4개 제품이며 Figure 2는 반복시험을 위해 개폐시험기와 플러그 지그에 설치되는 멀티콘센트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1

Multi-outlet for experiment.

Figure 2

Experimental set-up for cyclic test.

2.2 멀티콘센트 열적특성 및 전기적 신호 분석

정상 멀티콘센트와 구조적 결함이 있는 멀티콘센트의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분석을 위해 KS C IEC 60884-1에 의한 반복시험을 한 멀티콘센트 4종과 정상 멀티콘센트 4종을 준비하였다. 멀티콘센트에 허용전류값인 16 A 이하 단계별로 전류 5, 10, 13, 16 A를 인가하였으며, 인가시간은 온도가 상승하다 더 이상 오르지 않는 포화시간인 3 min씩 측정하였으며 실험데이터의 정확도 향상을 위하여 동일 전류별 5회씩 실험하여 평균데이터를 도출하였다.

온도측정은 열화상카메라 FLIR (T1040) 분석프로그램 FLIR TOOL+을 사용하였으며, 멀티콘센트의 메인스위치와 플러그 삽입부 2개소의 최대온도를 측정할 수 있도록 설정하였다. 전류인가는 교류부하 뱅크(0~40 A)를 사용하였으며, 전기적 신호 분석을 위하여 HIOKI 3283을 사용하였고, 멀티콘센트에서 발생되는 전류 데이터를 수집하고 pc로 보내주는 역할을 하는 데이터 수집장치(DAQ)는 디지털 분해능이 높은 NI-9215 (16 bit, 3 V × 1, 15 mVA, ±10 V)를 선정하였다. NI-9215는 4개의 차동 아날로그 입력채널, 인스트루먼트 증폭기, usb-9162 등으로 이뤄지며 4개의 차동 아날로그 입력 채널을 연결하여 감지되는 과전류 및 이상전류의 동시 샘플링이 가능하다. 수집된 신호를 분석하기 위한 소프트웨어는 LabVIEW를 활용하였으며, 전류값(순시값, root mean square , RMS)과 FFT⋅total harmonics distortion (THD)를 비교 분석하였다. total harmonics distortion (THD) 분석은 푸리에(fourier) 분석을 통해, 전류 파형은 dc 성분과 다양한 크기와 위상을 갖는 사인파(sine wave)의 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어떤 주기적인 전류 파형 I(t)는 dc 성분 I0와 기본주파수를 갖는 사인파의 합 형태로 식(1)과 같이 표현할 수 있다.

(1)I(t)=I0+n=1Insin(nωt+θn)

이러한 개별적 사인 파형은 기본주파수의 정수배가 되고 이를 고조파(harmonics)라 불리우며, 고조파 차수는 기본파의 정수배로 정의된다. n 차수별 고조파 성분의 RMS값이 In 일때, 전류파형의 RMS는 식(2)와 같이 구할 수 있다

(2)IS=n=1(In)2

THD는 총 고조파율로서 기본파 성분과 그 외 파형간의 모양의 근접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이들값들은 기본파 성분에 대한 퍼센트(%)비율로 표현된다.

(3)ITHD=1I1(n=2In2)12

I1은 기본파 성분이며 In은 n차 성분을 의미한다. 전류의 THD는 미국의 IEEE 519를 기초로 한다(7). Figure 3은 실험장치 및 구성을 나타낸다.

Figure 3

Experimental set-up for analysis of electrical signal.

3. 결과 및 고찰

3.1 KS C IEC 60884-1에 의한 반복시험 결과

이동형 멀티콘센트 4개 제품에 250 V, 16 A를 인가한 플러그를 5,000회 삽입과 빼는 동작을 반복한 시험결과, 평균 2,000회에서 아크(arc)가 관찰되었고 평균 3,500회에서 멀티콘센트와 플러그에서 탄화를 확인할 수 있었다. 평균 5,000회 반복시험을 수행한 플러그 핀 중 1구에서는 국부적인 온도상승으로 인해 칼받이와 셔터의 탄화 및 절연물의 열변형이 발견되었다. 이는 반복 작동에 의한 피로(fatigue)에 기인하여 발생 된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4는 2,000회 반복시험 후 멀티콘센트 내부에서 칼받이 및 플러그 지그 간에 아크(arc)가 관찰된 모습과 5,000회 반복시험 후 멀티콘센트 칼받이 절연물을 제거한 플러그 핀 셔터에서 국부적인 탄화가 관찰된 모습이다. Figure 5는 플러그 지그가 접속되는 멀티콘센트 칼받이 측 절연물 내부에서 축열에 의해 용융된 모습이고, 디지털 현미경을 통해 칼받이와 절연물의 3D 입체 분석결과 축열에 의해 용융된 칼받이 절연물은 정상 칼받이 절연물과 최대 약 11375.93 ㎛의 단차가 발견되었다.

Figure 4

Visual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cyclic test.

Figure 5

Insulator change according to cyclic test.

KS C 8305:2016 (배선용 꽂음 접속기)에 따른 기준항목(5.5 칼 및 칼받이 구멍의 모양 및 치수) 중 16 A 250 V 2극 플러그 칼의 치수는 4.8 ± 0.06 mm, 칼받이의 치수는 4.3~5.1 mm 이내이다. 4개 제품 칼받이의 평균 직경은 시험 전 4.41 mm, 시험 후 5.03 mm로 측정되었고, 평균 직경이 약 0.62 mm 증가되었다. 또한 KS C 8305:2016 (배선용 꽂음 접속기) 기준항목(5.5 칼받이 구멍의 모양 및 치수)에 따른 A, B 제품의 칼받이는 기준 수치 내에 해당되었으나, C, D 제품은 기준을 초과하는 수치를 나타내었다. 반복시험에 의해 칼받이 직경의 증가가 발생하여 플러그 핀의 접촉불량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며 아크 및 국부적인 발열에 의해 절연물이 용융된 현상을 확인하였다. Figure 6은 멀티콘센트 4개 제품의 반복시험 전후 플러그 칼받이 직경의 변화를 나타낸 것이다.

Figure 6

Comparison of hole diameter according to cyclic test.

3.2 정상상태 및 구조적 결함상태 분석

정상상태와 구조적 결함상태에 대한 열적특성과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였다. 온도측정은 측정지점을 B1 (메인스위치부)과 B2 (플러그부)로 구분하여 각각에서 발생되는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기적 신호는 전류값을 분석하였으며, 시간영역에서의 파형패턴과 순시값을 분석하였고, 주파수영역에서는 THD [%]를 분석하였다. 정상상태의 경우 5, 10, 13, 16 A 전류 인가후 약 30 s 이내에 급격한 온도상승이 나타났으며, 90~100 s 구간에서 온도가 더이상 증가하지 않는 포화 시간구간에 진입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정상상태의 경우에는 메인스위치부 B1의 온도가 플러그 결속부 B2에 비해 높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정상상태에서의 열적특성 분석 결과 높은 온도상승을 보이며, 멀티콘센트의 정격 용량이 2,800 W임을 고려하여 구조적 결함상태에서는 13 A를 인가하여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전기적 신호분석의 경우 전류값은 파형 패턴이 정상적인 정형파의 형태를 보였으며, THD의 경우 3~5%의 수치를 나타내는 등 정상적인 값들을 도출하였다. Figure 7(a)는 정상상태에서의 열적특성 분석 결과를 나타내며, Figure 7(b)는 전류값과 THD 값을 나타낸다.

Figure 7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let (regular).

구조적 결함 상태에서의 분석은 플러그 핀과 칼받이가 탄화되었음에도 일정부분 접촉되어 정상적인 통전이 되는 경우와 플러그 핀과 칼받이가 접속불량인 상태 2가지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첫 번째인 도체가 일정부분 붙어있는 경우 13 A 전류 인가 시 정상상태와 달리 B2의 온도가 B1에서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인가 후 3 min 경과 시 B1에서는 81 °C, B2에서 120 °C로 플러그 접속부에서 열이 집중되는 것이 확인되며, 구조적 결함에 따른 불완전 접촉으로 국부적인 저항치의 증가로 인한 전기적 조건변화로 온도가 상승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전류값에 대한 시간 영역에서는 실효값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의미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으며, 주파수 영역에서는 정상상태와 비슷한 값을 보였다. 도체가 손상되어 접속불량이 발생했을 경우에서도 전류값 인가 시 B2의 온도가 B1보다 더 높게 측정되었으며 특히 180 s가 경과된 시점에서 B1에서 98.1 °C, B2에서 199.2 °C로 일부 정상적으로 통전되는 경우보다 약 80 °C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시간영역에서는 아크파형의 특징인 shoulder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고(6), THD가 정상에 비해 높은 최대 14.9%가 측정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주파수 영역에서는 접속불량 상태에서 특정 주파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7).

Figures 89는 구조적 결함 상태에서 도체가 일부 접촉되어 통전되는 경우와 도체가 접속불량 상태일 경우의 열적특성 및 전기적 신호분석 결과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10은 정상상태, 구조적 결함상태에서 정상적인 통전이 되는 경우와 접속불량에서의 주파수 비교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8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tlet for 13 A (current pass).

Figure 9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let for 13 A (poor contact).

Figure 10

Analysis of frequency signal of multi-oulet for 13 A.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멀티콘센트(16 A/250 V)를 인증하기 위한 KS C IEC 60884-1 시험기준을 토대로 반복시험을 실시하여 구조적 결함이 있는 멀티콘센트를 확보하였으며, 반복시험에 따른 멀티콘센트의 도체 및 절연체의 물성변화를 확인하였다. 또한 구조적 결함이 있는 멀티콘센트를 4개 제품을 선정하여 정상상태, 구조적 결함상태로 구분하고 전류 인가 시 열적특성 및 전기적 신호를 분석하였다.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1) KS C IEC 60884-1 기준에 의한 반복 개폐실험 결과 개폐횟수 증가에 따라 칼날받이의 직경이 평균 5.03 mm 증가함을 확인하였으며, 직경이 증가함에 따라 플러그 핀과의 접촉면이 감소하면서 아크(arc)가 발생한 후 도체 및 절연체의 탄화로 이어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2) 멀티콘센트에 인가되는 전류값에 따른 열적특성은 정상상태의 경우 전류값 증가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였으며 플러그 결속부보다 메인스위치의 온도가 높아짐을 확인하였다. 구조적 결함상태의 경우 멀티콘센트의 정격용량을 고려하여 13 A 인가시의 열적특성을 분석하였다., 플러그 핀과 칼받이가 탄화되었음에도 일정부분 접촉되어 정상적인 통전이 되는 경우와 플러그 핀과 칼받이가 접속불량인 상태 2가지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플러그 결속부에서의 온도가 메인스위치에 비해 정상통전의 경우 최대 120 °C, 접촉불량의 경우 최대 199.2 °C로 정상상태에 비해 최대 2.4배 높음을 확인하였다.

  • 3) 전기적 신호분석의 경우 정상상태에서는 파형 패턴이 정상적인 정형파의 형태를 보였으며, THD의 경우 2~2.8%의 수치를 보였다. 구조적 결함 상태의 경우 정상통전 상태와 접촉불량 상태 모두 시간영역에서 아크파형의 특징인 shoulder 현상이 발생함을 확인하였고, THD가 접촉불량 상태에서 최대 14.9%로 정상에 비해 상당히 높은 수치가 측정되며 주파수 영역에서 특정 주파수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References

1. National fire data system. Fire Statistics. 2021;
2. Kim S. C, Kim D. H. Analysis for the Thermal Properties of the electrical Wire according to Overload and Disconnectio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2(4):26–31. 2007;
3. Oh H. S. A study on the Causes and the analysis of Electrical Fires Focused on Heat Analysis for Electrical Wir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16(4):72–76. 2002;
4. Meiley S. Wire Rope:Detecting Problems Before They Become Failures. Reader's Digester, USA :1–3. 2003;
5. Ji H. K. A Study on the Detection and Discrimination of Series Arc in Low Voltage Wiring System. Doctoral Thesis, KOREA Marime and Ocean University, Busan, KOREA :24–26. 2018;
6. Hwang J. K. A Study on Analysis of arc Current Waveforms for Detection of Prognostics of Electrical Fir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23(1):7–14. 2009;
7. Kim D. H, Park J. Y, Kim S. C, Lee J. H. Development of Monitoring Program for Detecting Current and Voltage Signals For Series Arc.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afety 25(2):29–34. 2010;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Multi-outlet for experiment.

Figure 2

Experimental set-up for cyclic test.

Figure 3

Experimental set-up for analysis of electrical signal.

Figure 4

Visual inspection result according to cyclic test.

Figure 5

Insulator change according to cyclic test.

Figure 6

Comparison of hole diameter according to cyclic test.

Figure 7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let (regular).

Figure 8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tlet for 13 A (current pass).

Figure 9

Analysis of thermal characteristics and electrical signal of multi-oulet for 13 A (poor contact).

Figure 10

Analysis of frequency signal of multi-oulet for 13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