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6(2); 2022 > Article
FT-IR을 활용한 유류성분 화재증거물 검출 기법 연구

요 약

본 연구는 화재의 원인을 실험과 분석을 통해 과학적으로 규명하고 다양한 화재증거물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감정기법을 찾기 위해 수행하였다. 일반적으로 화재증거물 분석, 특히 유류 증거물 분석 시 GC/MS를 활용하여 연소 잔여물 중 연소 촉진제의 유무를 분석하는데 사용되고 있는데 GC/MS의 특성상 분석은 정확하나 분석 시간이 오래 걸리고 방법이 복잡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학물질의 정성⋅정량 분석에 사용되는 푸리에 변환적외선분광법(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 중 신속한 분석을 위하여 ATR 방법을 이용하여 연소촉진제와 섬유류 중 각 3종을 선정하여 모의실험을 통한 시료를 만든 다음 측정 분석하여 기기 내 라이브러리에 database를 만든 다음 IR 분석으로 연소 촉진제를 식별하는 적용성을 확인하였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ire causes through scientific experiments and analysis and to find a new method that can analyze various fire debris. In general, when analyzing fire debris, especially ignitable liquids, GC/MS which is a time consuming and complicated method is used to identify the presence or absence of a fire accelerant(or a ignitable liquid) in a combustion residue. Therefore, in this study, three types of combustion accelerants and fabrics were selected.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 of ATR which is both a qualitative and a quantitative chemical analysis method was used for rapid analysis. After preparing samples through fire experiments, a library database was created in the device by measurements of samples and applicability of FT-IR analysis for identifying fire accelerants was identified.

1. 서 론

서울특별시 방화건수는 150이상 200건에 육박하고 있으며, 발화원(fire source) 조사 시 방화에 사용된 연료를 특정하는데 있어 증거물 수집도 어렵고, 판정하기도 어려운 현실이다. Figure 1처럼 최근 5년 화재 통계를 보면 방화에서 사용된 연료의 전체 비율 중 미상의 연료가 가장 많이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현재 통계를 보아도 방화에서 현장에서 인화성 액체의 케이스나 물건들을 발견하지 못할 경우 사용연료의 정황이나 패턴이 유사하더라도 특정하지 못하는 경우로 인한 이유가 대부분이다(1-2).
Figure 1
Fire related statistics of Seoul (a) number of aron according the year (b) distribution of fuel types used in arson.
kifse-36-2-46-g001.jpg
화재 발생 후 증거물을 수거함에 있어 잔해물이 특정물질 단독으로 수거되는 경우보다는 여러 물질이 혼합된 채로 수거되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그 탄화상태나 훼손상태가 다양하다. 그래서 방화와 관련하여 연소촉진제를 어떤 것을 사용했는지는 화재 원인을 밝히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3). 이러한 화재 원인을 밝히기 위한 것으로 유류 화재증거물은 gas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GC/MS)로 유류의 검출 및 분석 그 방법이나 절차가 번거롭거나 정밀분석을 하는데 다소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는 점이 있다. 방화 시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연소촉진제와 섬유류 등을 선정하여 연소 중 소화되거나 아직 증발하지 않고 섬유에 흡수되어있는 잔량의 연소촉진제를 검출하여 방화의 목적으로 사용한 유류 성분을 특정할 수 있는 방법을 찾고자 하고 연소촉진제가 다른 물질에 비해 휘발성이 좋다는 특성에 착안하여 그 주요 성분들이 증발하면서 생기는 변화로 시간대별 시료에 남아있는 연소촉진제를 흡수한 섬유 시료를 분석하였다(4). 주요 촉진제는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연소촉진제를 선정하였고, 미량의 연소촉진제에서 IR 검출이 가능한지 신속하고 간단하게 유류성분을 검출할 수 있는지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을 활용하여 알아보았다(5).

2. 시료 및 분석방법

2.1 연소촉진제 및 섬유류 시료

연소촉진제 시료들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구할 수 있는 촉진제 선정을 위하여 ‘G’사 정유사 및 ‘N’ 페인트사의 시료를 제공받아 사용하였다. 그 종류로는 휘발유, 시너(에나멜, 우레탄, 락카) 총 4종류를 사용하였다. 실험에 앞서 휘발유의 경우 GC/MS로 측정해 본 결과 타사 2개(H사, S사)의 유사제품과 비교하였을 떄, 총이온크로마토그램(TIC)은 전반적으로 매우 유사한 패턴을 나타났고, 흔히 구할 수 있는 ‘G’의 휘발유를 선정하였다. 또한 직물류로는 cotton 100%, polyester 100%, blended yarn fabric (cotton 60%, polyester 40%) 3가지 시료 선정하여 실험에 활용하였다.

2.2 분석 방법

2.2.1 분석시료 제조

분석에 사용되는 시료의 동일한 조건으로 비교하기 위하여 cotton (100%), polyester (100%), synthetic fiber (6:4)의 직물을 각각 동일사이즈(크기 50 mm × 50 mm, 두께 1 mm)로 연소촉진제 4종을 각 직물별로 동일양(4 ml)을 첨가하여 일정시간(약 3 min) 연소를 한 다음 미연소 부분 및 연소부분을 시료로 만들어 분석하였다.

2.2.2 분석 장비

분석에 사용된 시료를 채취한 다음 시료판(quartz plate) 위에 놓고 평편하게 한 후 attenuated total reflectance (ATR) 방법의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meter (FT-IR)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TR 방법은 신속하게 측정이 가능하고, 시료와 직접 접촉되므로 피크의 재현성이 우수하여 해석이 용이하므로 이 방법을 이용하였다. 기기는 frontier (Perkinelmer, USA)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스펙트럼은 Perkinelmer spectrum IR 이라는 프로그램으로 해석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3.1 FT-IR에 의한 섬유류 샘플의 비교

연소촉진제에 의한 연소시료와 비교를 위하여 연소하기 전 섬유류를 분석해보았다. cotton 100%, polyester 100%, blended yarn fabric (cotton 60%, polyester 40%) 시료들은 Figur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폴리에스터는 2960-720 cm-1 범위에서 그 특징적 피크가 나타났고, 면섬유는 3000-1020 cm-1 범위에서 특징적 피크가 관찰되었으며, 혼방섬유는 3300 cm-1, 1715 cm-1, 1020 cm-1, 700 cm-1 범위에서 특징적 피크가 보이는데, 혼방섬유의 경우는 면과 폴리에스터가 혼재되어 있다는 특성상 전체적으로 면의 스펙트럼과 유사하나, 폴리에스터 스펙트럼과도 1710 cm-1부근과 1240 cm-1에서 동일 피크가 나타나는 등 유사한 특징이 동시에 도출되었다.
Figure 2
FT-IR spectra according to the textiles.
kifse-36-2-46-g002.jpg

3.2 FT-IR에 의한 시료의 비교

3.2.1 연소촉진제 휘발유에 의한 섬유시료별 스펙트럼 비교 분석

Figure 3과 같이 휘발유(gasoline)의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휘발유에서 가지는 고유한 C-H 결합 구조와 그 방향성으로 인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3100-1350 cm-1, 1000-650 cm-1 사이에서 강한 피크를 가지며 3000-2940 cm-1 범위인 C-H stretch의 구조와 900-690 cm-1의 ouf of plane bend (oop) 각변형 진동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유의 스펙트럼 모양은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볼 때, 가장 강한 피크는 2957.14 cm-1이며, 2926 cm-1, 2872 cm-1의 순으로 낮은 투과율을 보인다. 1600 cm-1 미만에서의 피크 중 다른 물질에 영향을 끼칠 수 있는 부분은 고유영역인 1000 cm-1 이하의 범주에 있는 스펙트럼일 것이다. 이 중 강한 스펙트럼의 주파수는 805 cm-1에서 강한 피크 값을 보이는 특성을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Figure 3
FT-IR spectrum comparison of gasoline itself, fabirc itself, burned section and unburned section in of (a) PE, (b) cotton, and (c) blended yarn fabric prepared by gasoline fire.
kifse-36-2-46-g003.jpg
휘발유를 첨가한 혼방섬유 연소부위별 측정 실험결과, 미연소 부분에서는 3000-2940 cm-1, 900-690 cm-1에서 피크가 나타나는 바, 휘발유의 공통 물성이 측정되었고, 연소 부분에서는 1390 cm-1, 720 cm-1에서는 미세하게 피크가 보이기도 하나, 휘발유나 혼방섬유에서는 관측되지 않던 1570 cm-1에서 피크가 돌출되는 등 원래의 혼방섬유와는 다른 특징을 나타내는 스펙트럼을 확인되었다.

3.2.2 연소촉진제 락카시너에 의한 섬유시료별 스펙트럼 비교 분석

Figure 4와 같이 락카시너(lacquer thinner)의 스펙트럼은 락카시너의 주성분인 톨루엔(toluene)이나 자일렌(xylene)에 구조와 같은 3100-3000 cm-1 이상에서 피크가 나타나는 특징이 있으며 C-H stretch의 특징을 가지는 것으로 휘발유에서는 나오지 않거나 강하지 않은 피크로 이 부분은 시너 종류의 고유의 스펙트럼 형태로 여겨진다. 또한, 3600-3200 cm-1에서 라운드 형태로 나타나는 O-H (hydoxyl 기) 구조의 stretch가 약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때, 알콜류의 휘발성 성분도 포함되어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모양의 스펙트럼의 모양 중 강한 피크는 2960 cm-1, 2924 cm-1, 2873 cm-1, 3026 cm-1의 순으로 나타났다. 1750-1735 cm-1 범위에서는 C = O 구조의 ‘stretch’에 의한 강한 피크가 2개 나타나고 1320-1000 cm-1에서 C-O stretch의 영향의 피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락카시너의 C-H ‘oop’의 진동에 의해 900-690 cm-1에서 강한 피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0 cm-1 미만의 피크 중 강한 부분은 844-694 cm-1에서 다소 강한 피크를 보이며 이러한 부분은 락카시너의 특징이 보인다. 락카시너의 특징적인 스펙트럼의 영향에 섬유시료와 혼재된 스펙트럼이 나타나며 공통적으로 섬유시료에서는 없는 3020 cm-1 부근의 범위에서 락카시너의 영향으로 피크가 형성이 되며,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피크가 약한 폴리에스터의 경우는 락카시너와 같은 형태로 나타났다. 1000 cm-1이하의 영역에서 락카시너의 영향으로 다소 강한 피크가 생성이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900-690 cm-1 사이에 나타나는 피크로 C-H의 각 변형 진동에 의한 것으로 예상되고, 섬유시료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친 피크 값은 796 cm-1, 771 cm-1 등의 값에서 변화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Figure 4
FT-IR spectrum comparison of lacquer thinner itself, fabirc itself, burned section and unburned section in (a) PE, (b) cotton, and (c) blended yarn fabric prepared by lacquer thinner fire.
kifse-36-2-46-g004.jpg

3.2.3 연소촉진제 우레탄시너에 의한 섬유시료별 스펙트럼 비교 분석

Figure 5와 같이 우레탄 시너(urethane thinner)의 특징으로는 3100-2800 cm-1의 영역의 모양은 락카시너와 비슷하지만 더 깊고 강한 피크가 나타났다. 락카시너에서 나오는 약한 O-H (hydoxyl 기) 구조는 없지만, 3020 cm-1대의 피크가 다른 시너에 비하여 강하게 나오는 특성이 있으며,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모양의 스펙트럼의 모양 중 강한 피크값은 3023-2875 cm-1의 등에 나타나는 특성을 보인다. 우레탄 시너에서는 2732 cm-1 부근에 Aldehyde의 C-H 결합 구조로 인하여 약한 피크를 가지고 있고, 락카시너에서보다 좀 더 드러나는 것이 특징으로 보였다. 1740-1720 cm-1의 범위에서 C = O 구조에 의한 강한 피크 1741 cm-1에서 나타나고 Alkene 의 C = C 결합의 영향으로 1606 cm-1의 피크가 약하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다. 1320-1000 cm-1에서는 C-O stretch의 영향인 것 같다. 우레탄시너도 C-H의 진동에 의해 900-690 cm-1에서 강한 피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다. 1000 cm-1 미만의 피크 중 강한 부분은 876 cm-1, 796 cm-1에서 다소 강한 피크를 보이며 이러한 부분이 우레탄시너의 특징이 보였다.
Figure 5
FT-IR spectrum comparison of urethane thinner itself, fabirc itself, burned section and unburned section in (a) PE, (b) cotton, and (c) blended yarn fabric prepared by urethane thinner fire.
kifse-36-2-46-g005.jpg
면, 폴리에스터, 혼방섬유(면 60%, 폴리에스터 40%)에 각각 우레탄시너를 적신 섬유의 스펙트럼을 원 섬유와 비교 분석한 것으로 우레탄시너의 특징적인 스펙트럼의 영향에 섬유시료와 혼재된 스펙트럼이 나타나며 공통적으로 섬유시료에서는 없는 3020 cm-1 부근의 범위에서 우레탄시너의 영향으로 피크가 형성이 되며, 락카시너와 범위는 같지만 조금 더 round 형태를 띄는 것이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겠다.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피크가 약한 폴리에스터의 경우는 우레탄 시너와 같은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1000 cm-1 이하의 영역에서 우레탄시너의 영향으로 다소 강한 피크가 생성이 된 것을 알 수 있으며, 900-690 cm-1 사이에 나타나는 피크는 C-H의 각변형 진동으로 볼 수 있으며, 섬유시료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친 피크는 796-691 cm-1 부근의 값에서 변화가 나타난 것을 알 수 있었다.
우레탄시너를 첨가한 면섬유 연소부위별 측정 실험결과, 미연소 부분에서는 3000-2940 cm-1, 900-690 cm-1 뿐만 아니라 1760-1665 cm-1, 780-760 cm-1, 695-685 cm-1의 모든 특정 범위에서도 피크가 나타나는데, 우레탄시너의 공통 물성이 측정되어 락카시너, 에나멜시너의 미연소 부분과 마찬가지로 섬유별로 우레탄시너의 특징적 피크가 동시에 나타났다. 이에 미연소 시 섬유에 연소촉진제 중 시너류가 첨가되면 섬유류 자체 특징적 피크와 시너류의 특징적 피크가 모두 검출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연소부분에서 특정 스펙트럼의 확인 여부가 다소 어려웠다.

3.2.4 연소촉진제 에나멜시너에 의한 섬유시료별 스펙트럼 비교 분석

Figure 6과 같이 에나멜 시너(enamel thinner)의 특징으로는 3100-2800 cm-1의 영역의 피크가 다른 시너에 비하여 더 깊고 강한 피크가 나타났다. 락카시너에서 나오는 약한 O-H 구조가 있는 것을 알 수 있었고 라운드한 형태가 아닌 약간 각이 진 형태의 스펙트럼이 나오는 것은 에나멜시너의 특징으로 보인다.
Figure 6
FT-IR spectrum comparison of enamel thinner itself, fabirc itself, burned section and unburned section in (a) PE, (b) cotton, and (c) blended yarn fabric prepared by enamel thinner fire.
kifse-36-2-46-g006.jpg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나타나는 모양의 스펙트럼의 모양 중 강한 피크는 2956 cm-1, 2855 cm-1 등 강한 스펙트럼이 나타났다. 다른 시너들과는 다르게 2800 cm-1대에서 두 개의 비슷한 피크가 나타나며, 2872 cm-1과 2855 cm-1 부근에서 근접하게 나타나는 특징이 있다. 에나멜시너에서는 2732 cm-1 부근에 Aldehyde의 C-H 결합구조로 인하여 약한 피크를 가지고 있고, 1740-1720 cm-1의 범위에서 C = O 구조의 ‘stretch’의 구조에 의한 강한 피크가 다른 시너들의 비하여 1740 cm-1 부근 보다 1717 cm-1에서 더 강하게 나타났고, Alkene의 C = C 결합구조의 영향으로 1608 cm-1의 피크가 약하게 나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C-O stretch의 영향의 피크로는 1360 cm-1 부근에서 좀 더 강하게 피크가 나타났다. 에나멜시너 역시 C-H oop에 의해 900-690 cm-1에서 강한 피크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는데, 1000 cm-1 미만의 피크 중 강한 부분은 795-691 cm-1에서 다소 강한 피크를 보이며 이러한 부분이 에나멜시너의 특징이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면, 폴리에스터, 혼방섬유(면 60%, 폴리에스터 40%)에 각각 우레탄시너를 적신 섬유의 스펙트럼을 원 섬유와 비교 분석한 것으로 에나멜시너의 특징적인 스펙트럼의 영향에 섬유시료와 혼재된 스펙트럼이 나타나며 공통적으로 다른 시너와는 다르게 3020 cm-1 부근의 범위의 영향이 크게 미치지 않고, 2955 cm-1 부근과 2920 cm-1의 강한 피크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을 알 수 있었다.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피크가 상대적으로 강하여 섬유의 스펙트럼의 에나멜 시너의 형태와 유사한 피크형태를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1000 cm-1 이하의 영역에서 에나멜시너의 영향으로 다소 강한 피크의 영향을 따라가는 것을 알 수 있으며, 900-690 cm-1 사이에 나타나는 피크는 C-H의 각변형 진동으로 볼 수 있었다. 섬유시료의 스펙트럼에 영향을 미친 피크 값은 795-691 cm-1 부근의 값에서 변화가 발생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여러 분석을 한 결과, 면섬유에서는 연소촉진제의 영향으로 3000-2940 cm-1 각 섬유시료 미연소부분에서 유사한 특성을 지니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연소촉진제를 첨가하여 연소를 하였을 때 미연소된 부분에서는 섬유의 고유한 피크와 연소촉진제의 영향으로 변화된 피크가 강하게 나타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900-690 cm-1에서 각 연소촉진제의 공통 물성 피크가 측정되어 첨가된 연소촉진제 여부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소촉진제로 연소시킨 폴리에스터의 경우 섬유 조직 자체가 다소 강한 결합구조로 인하여 스펙트럼의 큰 변화는 확인 할 수는 없었으나 3000 cm-1 주변의 피크와 900-690 cm-1에서 연소촉진제로 인한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혼방섬유에서도 마찬가지로 미연소부분에 잔류한 연소촉진제가 피크가 검출되는 것으로 확인이 되고, 시너종류의 경우 1600-1500 cm-1 주변에서도 연소촉진제와 같은 위치에서 피크가 추가적으로 검출이 되며, 3000 cm-1 이상에서 피크가 나타난다는 특징이 있다.

3.3 시간경과에 따른 연소촉진제 분석

시간 경과에 따른 연소촉진제의 잔류 유무 확인을 위해 섬유류에 연소촉진제를 첨가하여 약 1~2 min간 연소시킨 후 소화하였다. 소화방법은 소화로 소화시키는 냉각소화와 산소 공급 차단하는 질식소화를 이용하였고, 실험은 시료마다 1 min에서 60 min까지 시간 범위 내에서 측정하였다. 우선, 대기 중에 각 연소촉진제의 시간 경과별 잔류량은 Table 1과 같다.
Table 1
Weight Percentage of Fire Accelerants Due to Evaporation According to Time Increase (Unit(%))
Time (min) Gasoline Lacquer thinner Urethane thinner Enamel thinner
0 100.0 100.0 100.0 100.0
10 38.2 68.7 91.6 95.4
20 23.6 54.7 84.8 91.1
30 16.1 44.6 78.3 86.9
40 10.3 35.4 72.2 82.9
50 67.8 28.7 66.4 78.9
60 4.6 22.5 60.7 74.9
시간 경과에 따라 증발하는 동향을 봤을 때 휘발유가 가장 많이 휘발하는 것을 보였고 그다음이 락카시너, 우레탄시너, 에나멜시너 순이었다.
ATR-FTIR방식으로 검출할 수 있는 시간을 파악하여 휘발유의 사용이 의심될 때 검출이 가능한 시간을 파악하고 휘발유의 성분으로 볼 수 있는 피크를 확인하였다. 시간 경과에 따른 섬유시료와 휘발유의 분석결과를 보면 Figure 7과 같다. 전반적으로 휘발유의 스펙트럼에 기초하여 분석한 결과 휘발유에서 가지는 고유한 C-H 결합 구조와 그 방향성으로 인하여 스펙트럼 상에서 3100-2800 cm-1에서 강한 피크를 가지며 C-H stretch의 구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휘발유의 스펙트럼 모양은 3100-2800 cm-1의 영역에서 볼 때, 3000 cm-1 이상에서의 피크는 약한 형태로 나타나고, 가장 강한 피크는 2957.14 cm-1이며, 2926.23 cm-1에서 낮은 투과율을 보였다.
Figure 7
FT-IR spectrum changes by gasoline evaporation in (a) cotton (b)PE (c) blended yarn fabric according to time increase.
kifse-36-2-46-g007.jpg
또한, 휘발유에 적신 다음 방치한 결과 면섬유의 경우 약 40 min 정도 까지는 연소촉진제인 휘발유의 분석이 가능하였고, 폴리에스터 및 혼방섬유도 마찬가지로 시간 경과별로 시료를 측정해 본 결과 60 min도 측정이 어느 정도는 가능하였지만, 40 min 정도가 판별하기가 쉬운 상태로 보였다. 락카시너, 우레탄시너, 에나멜시너도 각 섬유시료와 60 min 동안 방치 후 10 min간 시료를 측정해보았을 때 휘발유와 마찬가지로 평균적으로 40 min 정도에 분석이 확연해졌다. 또한, 각 연소촉진제의 동일 조건에서 시간대 무게를 측정한 결과를 볼 때, 각각 증발되는 양이 다르고 그 비율도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하지만 증발 속도가 현저하게 빠르다고 하여 스펙트럼의 변화가 더 빠른 것은 아니며, 상온에서 방치하였을 경우 피크마다 검출 가능 시간대의 차이는 나타났으나 약 30~40 min 사이에서는 연소촉진제의 영향으로 인한 변형된 스펙트럼이 유지된 것을 확인하였다.

4. 결 론

본 연구는 방화와 관련하여 미상의 연소촉진제에 대한 화재증거물 수집 후 신속하게 분석이 가능한지에 대한 여부를 판단하는 목적으로 FT-IR를 활용하여 분석하고자 하였다. FT-IR을 활용 사례로 국내에서는 국립과학수사연구원, 국립농산물품질관리원 등에서 페인트, 인화성물질 등 화학적 감정분야에 활용되고 있고, 국외에서도 일본, 중국, 영국, 독일 등 다양하게 활용 중에 있다. 소방관련 화재증거물 분야에서도 이를 접목하고자 이 연구를 추진하게 되었고, 가장 흔하게 사용되고 있는 연소촉진제와 가연물을 선정하여 시료를 만든 다음 분석하게 되었다. 연소촉진제는 휘발유, 시너 3종(락카, 우레탄, 에나멜)과 가연물로 많이 사용되는 섬유류를 연소시켜 확인해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각 섬유시료(면, 폴리에스터, 혼방)의 미연소부분에서 연소촉진제로 연소를 하였을 때 미연소된 부분에서 섬유의 고유한 피크와 연소촉진제의 영향으로 변화된 혼방섬유 > 면섬유 > 폴리에스터 순으로 스펙트럼이 검출이 비교적 잘 된다는 특징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로 미연소부분은 연소촉진제 존재여부 확인 및 연소촉진제 성분을 규명하는데 적절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되어 연소된 물질의 FT-IR 정성분석 적응성 확인에 대한 가능성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고, 해당 분석 자료들을 스펙트럼 분석 프로그램의 라이브러리에 축적하여 모의실험을 통한 시료를 재확인해본 결과 스펙트럼 유사도 및 검색한 물질까지 높은 매칭률(대부분 90% 이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의미있는 결과로 예상된다.
그리고, 화재진압 후 증거물을 수집하는데 있어 연소촉진제가 잔류 여부는 시간대별로 연관이 있기때문에 화재조사관은 화재증거물을 수거 시 보관용기를 잘 밀봉하여야 연소촉진제의 유무 및 종류에 대하여 분석⋅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하지만, 아직은 FT-IR의 연소촉진제에 대한 데이터축적이 부족하여 FT-IR 보다는 정성적 분석에 대한 것은, 정확한 데이터는 GC/MS로 분석을 해야된다는 한계는 있지만, 이번 연구 결과를 통해 FT-IR의 가능성을 볼 수 있었고, 향후 다양한 연소촉진제에 대한 자료를 축적하는 연구가 추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고, 연구자료를 활용하여 화재증거물 분석에 대한 다각적인 방법으로 추진되어 여러 화재조사관들이 화재증거물을 분석함에 있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후 기

본 연구는 소방청 소방대응력 향상을 위한 연구개발지원 사업(1761002380)의 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References

1.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oul open data square(safety-fire)”, http://www.data.seoul.go.kr (2021).

2. H. S Park, K. W Kim, S. C Heo, S. J Ryu, H. I Lee and J. S Min, “Comparison of pigment in automotive solid color paints by FT-IR and XRF spectroscopy for forensic aspect”, Analytical Science and Technology, Vol. 26, No. 4, pp. 245-255 (2013), https://doi.org/10.5806/AST.2013.26.4.245.
crossref
3. Y. H Lee, “Development of new surface analytical methods and construction of database for forensic trace evidence”, National Forensic Service, (2015), https://doi.org/10.23000/TRKO201600003697.
crossref
4. D. H Kwak, M. J Choi, Y. I Song, J. W Choi, Y. S Ok and D. E Lee, “A Study on Standard Model for Forensic Investigation Identification Appraisal Laborator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2018).

5. S. Y Lee, “Development of methods for identifying components of synthetic resin combustion residues”, National Fire Service Academy, (201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