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열전도율 측정에 관한 선행연구
Table 1
Materials | Density | Size | Note |
---|---|---|---|
Water | |||
Cement | 3.15 | OPC | |
Fly-asy | 2.23 | 4000Class | |
Silica0-fume | 2.20 | 200000Class | |
Sand | 2.54 | 5 mm | Sea sand |
Gravel | 2.59 | 19 mm | Crushed stone (Granite) |
Table 2
Fc (MPa | W/B (wt.) | Air (%) | Unit Weight (kg/m3) | |||||
---|---|---|---|---|---|---|---|---|
B | C | FA | SF | S | G | |||
21 | 0.60 | 4 | 287 | 249 | 29 | 9 | 756 | 1022 |
50 | 0.32 | 4 | 516 | 413 | 77 | 26 | 722 | 864 |
80 | 0.22 | 4 | 705 | 543 | 106 | 56 | 640 | 797 |
100 | 0.18 | 4 | 833 | 625 | 125 | 83 | 552 | 778 |
3. 열전도율 추정 모델
3.1 Maxwell의 모델 및 콘크리트 적용 방법
4. 콘크리트 구성 재료의 체적비와 열전도율
4.1 콘크리트 구성 재료의 체적비
4.1.1 콘크리트의 경화모델
4.1.2 고온에서의 공극포화도 추산(수분의 잔존율)
4.2 구성 재료의 열전도율
5. 다양한 콘크리트의 열전도율 추산 결과
Table 3
Case No. | Air Volume Value | Existence of Excess Water | Decrease in Excess Water |
---|---|---|---|
Case 1 | Design | None | None |
Case 2 | Design | Existence | Apply |
Case 3 | Measurement | None | None |
Case 4 | Measurement | Existence | Apply |
6. 결 론
1) 열전도율 추정에 있어서 콘크리트를 물과 공기, 공극, 스켈레톤, 잔골재 및 굵은 골재로 구성하는 5종의 혼합물로서 취급하여 경화 후 콘크리트의 구성비를 나타내는 간이 추정 모델을 제시하였다.
2) Maxwell의 모델을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열전도율을 추산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고온에서의 함수율 감소를 검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3) W/B비에 따른 4가지 콘크리트 배합을 이용하여 다양한 온도 조건에서의 열전도율을 추정하였으며, 공기량과 함수율 감소 모델 적용 유무에 대한 영향을 검토하였다. 그 결과 콘크리트의 비빔과정에서 측정된 공기량을 사용하고, 수분 감소의 조건을 적용한 Case 4의 추산값이 측정값과 비교 시 보다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4) 저온 영역에서의 열전도율 추산값은 고온영영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신뢰성을 나타내고 있다. 각 콘크리트의 구성 재료에 대한 고온 시의 열전도율 측정 결과에 대한 적용 시에 수분 감소의 영향이 검토되지 않았으며, 이점을 개선한다면 저온의 영역에서도 보다 신뢰성 높은 추정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