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1.2 연구방법
2. 소방시설을 활용한 실험적 연구
2.1 실험 개요
2.2 실험 및 측정
2.2.1 [실험 1] 건축물 옥외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65 A) 활용 실험
Table 1
Table 2
2.2.2 [실험2] 3층 옥내소화전함 내 방수구(65 A)를 송수구로 활용한 실험
Table 3
Table 4
2.2.3 [실험3] 건물 1층 옥내소화전함 내 방수구(40 A)를 송수구로 활용한 실험(소방호스 2 EA 전개)
Table 5
Table 6
2.3 실험 결과 및 고찰
Table 7
2.4 실험 결과의 시사점
(1)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발견이 쉬운 경우, 최우선은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에 소방호스(65 A)를 결합한다.
(2)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발견이 어려운 경우 1층 옥내소화전함을 열어 옥내소화전 방수구(40 A)에 전개한 소방호스(65 A) 결합하고, 저압(0.39 MPa∼0.49 MPa)으로 방수개시 한다.
(3) (2)번 항목 실시 후 후착 소방 출동대로 하여금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찾아 송수토록 한다.
(4) [실험3] 소방전술시 주의사항 진압대원은 노즐(nozzle)을 열고 방수 개시하고 운전대원에게 방수압 상승 지시토록하며, 방수 중지 시에도 무전으로 운전대원에게 방수중지 요청 후 운전대원이 방수압을 낮추고 방수 중지 무전이 나오면 진압대원은 노즐(nozzle)을 폐쇄한다. 반드시 이 절차는 준수되어야 한다. 만일, 방수 중에 운전대원이 방수압을 낮추지 않은 상태에서 진압대원이 노즐(nozzle)을 폐쇄한다면 배관 내 압력이 급격히 상승하여 배관 누수에 따른 수손 피해 등 재산피해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현장답사를 통해 조사된 아파트 대부분이 배관압력이 1.2 MPa이하인 일반배관용 소방배관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이며, 진압대원이 방수 중 노즐(nozzle)을 급격히 폐쇄한다면 배관 내 압력이 1.2 Mpa 이상인 경우의 수가 발생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