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온 이력을 받은 고강도 경량 콘크리트의 물성 평가 및 잔존압축강도 추정방법 검토

Evaluation of the Properties of High Strength Lightweight Concrete with High Temperature History

Article information

Fire Sci. Eng.. 2024;38(1):85-91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February 28
doi : https://doi.org/10.7731/KIFSE.24bac260
임하준, 김원창, 정기신*, 이태규*,
세명대학교 소방방재공학과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Dept.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Engineering, Semyung Univ
* 세명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교수
* Professor, Dept. Fire and Disaster Prevention, Semyung Univ
Corresponding Author, TEL: +82-43-649-1315, FAX: +82-43-649-1787, E-Mail: ltg777@semyung.ac.kr
Received 2024 January 11; Revised 2024 January 23; Accepted 2024 January 24.

Abstract

요 약

본 연구는 압축강도 30, 60 MPa 급의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를 대상으로 온도 및 재령별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를 평가하여 그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단위중량, 압축강도를 측정하여 역학적 특성을 평가하고 초음파 속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검토하였다. W/B 비율을 0.41 및 0.28로 설정하였으며 재령 1, 3, 7, 28, 56 및 91일에서 측정하였으며, 온도 23, 100, 200, 300, 500 및 700 ℃까지 분류하여 물성을 평가하였다. 모든 시험체에서 재령에 따라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가 증가하였고, 고온일수록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의 감소가 나타났다. 초음파 속도와 압축강도 상관관계 분석 결과 지수 함수 형태의 강도 예측식이 나타났으며, 오차율 검정 결과 강도 예측식은 대체로 15% 이하의 오차율이 나타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rans Abstract

ABSTRACT

In this study, we evaluated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velocity based on the temperature and age of ordinary aggregate an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30 and 60 MPa) and examined their correlation. The unit weight and compressive strength of ordinary aggregate and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were measured to evaluate the mechanical properties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ic velocity and compressive strength. The W/B ratio was set at 0.41 and 0.28, and measurements were made at 1, 3, 7, 28, 56, and 91 days. The physical properties were evaluated at 23, 100, 200, 300, 500, and 700 ℃. In all test specimens,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speed increased with age; and the higher the temperature, the lower the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speed.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ultrasonic velocity and compressive strength, a strength prediction equation in the form of an exponential function was found. Moreover, from the error rate test, we confirmed that the strength prediction equation generally had an error rate of 15% or less.

1. 서 론

국내외 건설현장에서는 건축물의 시공에 따른 사고 및 재해가 끊임없이 발생하고 있다. 거푸집이 붕괴해 재해가 발생하거나 콘크리트의 충분한 강도가 발현되지 않은 채 공사를 진행하여 일어난 건축물의 붕괴 사고는 비교적 큰 인명사고 및 재산 피해를 초래한다. 최근 통계에 따르면 매년 약 483건의 건축물 붕괴 사고가 일어났으며, 약 1,508명의 사상자가 발생했다(1). 이에 따라 공사 전⋅후 콘크리트의 강도 예측은 중요하다고 판단 된다.

한편, 건축물은 도시화에 따라 고층화 및 설비 집약적 특성을 가지며 화재 발생 시 광범위하고 강도 높은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건축물의 화재 안전을 위한 많은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나, 기존 연구의 경우 건축물 내 설비 혹은 피난에 관한 연구가 대부분이며(2), 화재 이후 고온 이력을 받은 건축물의 대한 평가는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은 실정이다(3).

건축물은 화재 이후 재사용 여부가 매우 중요한 사항으로서, 화재 이후 건축물의 안전 평가를 위해 건축물의 주요부재를 천공하여 코어를 채취한 평가가 이루어지고 있다(4). 그러나 코어 채취 후 강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시험 수행중의 안전성에 대한 부분이 선행된 상태에서 이루어져야 하며, 화재가 일어난 부재에도 구조적인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 이에 비파괴검사방법을 활용한 시험방법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Table 1은 선행연구를 통하여 초음파 속도 및 잔존 압축강도에 따른 건축물 주요부재의 품질 등급을 나타낸 것으로 파괴시험 전에 비파괴검사를 통하여 콘크리트 품질 진단을 수행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5). 이에 따라 화재가 발생한 건축물에 추가적인 피해를 입히지 않고 강도를 평가할 수 있는 비파괴 진단법인 초음파 속도법을 본 연구에 활용하였다.

Quality according to Ultrasonic Speed and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또한 고층 건축물의 자중을 감소시키기 위해 경량골재가 콘크리트에 사용되는데, 경량골재는 보통골재 대비 많은 공극으로 인해 보통골재 콘크리트보다 낮은 강도가 발현되는 실정이다. 이에 따라 경량골재 콘크리트에 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지만(6,7), 고온 이력을 받은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굵은 골재의 종류를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를 사용한 콘크리트와, 화재 후 콘크리트의 물성 평가를 위해 고온 가열 후 역학적 특성 평가를 시행하였다.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중 하나인 압축강도를 예측하기 위해 초음파 속도법을 사용하였다. 또한 초음파 속도를 활용한 압축강도 예측식의 오차율을 평가하였다.

2. 실험 계획 및 방법

2.1 실험 계획

Table 2에 본 연구의 실험 계획을 나타내었다. 콘크리트는 보통골재를 사용한 normal aggregate concrete (NC)와 경량골재를 사용한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LC)로 설정하였다. 실험에 사용된 굵은 골재 중 보통골재는 부순 화강암계 골재를 사용하였고, 경량골재는 석탄재를 인공적으로 가공하여 제조한 석탄계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하였다. 또한 설계압축강도는 30, 60 MPa로 설정하였으며 평가는 단위중량, 압축 강도 및 초음파 속도로 분류하였다. 온도 조건으로는 상온(23 ℃)를 포함하여 100, 200, 300, 500, 700 ℃까지 설정하였고, 가열 속도는 1 ℃/min로 설정하였다.

Experimental Plan

2.2 사용 재료

Table 3에 실험에 사용된 재료들의 특성을 나타내었다. 시멘트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종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Type 1 ordinary portland cement)로 밀도 3.15 g/cm³ 및 분말도 3,200 cm2/g의 특성이 있다. NC에 사용된 굵은 골재는 밀도 2.68 g/cm³, 조립률 7.03 및 흡수율 0.68%의 화강암계(granite) 골재, LC에 사용된 굵은 골재는 밀도 1.47 g/cm³, 조립률 6.39 및 흡수율 8.68%의 석탄계(coal-based) 인공 경량골재를 사용했다. 실험에 사용된 잔골재는 강모래(river sand)로 밀도 2.54 g/cm³, 조립률 2.54, 흡수율 1.6%의 특성이 있다. 또한 폴리카르복실계 고성능 감수제를 사용하여 고강도 콘크리트의 유동성 및 작업성을 개선하였다.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2.3 콘크리트 배합 및 실험방법

Table 4에 본 연구의 콘크리트 배합을 나타내었다. W/B는 목표 강도(30, 60 MPa)를 발현시키기 위해 각각 41.3, 28.0%로 설정하였다. 잔골재율의 경우 46, 43%로 설정하였고, 굵은 골재의 영향성 평가를 위해 동일 W/B에서 단위 수량, 단위 시멘트량 및 단위 잔골재량은 동일하게 설정하였다.

Concrete Mix Design

실험 방법의 경우 고온 콘크리트의 역학적 특성 시험 방법인 RILEM TC 129-MHT에 준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8). 목표 가열 온도의 경우 100, 200, 300, 500 및 700 ℃로 설정하였으며, 제작된 콘크리트 공시체를 1 ℃/min로 저속 가열 후 외부⋅내부의 균일한 온도를 위하여 가열로의 덮개를 닫은채 60 min 유지하였다. 이후 가열로 덮개 개방 후 상온에서 24 h 냉각시킨 후 시험체의 역학적 특성을 측정하였다.

압축강도의 경우 KS F 2405 (콘크리트 압축 강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으며, 초음파 속도의 경우 KS F 2731 (콘크리트 압축강도 추정을 위한 초음파 펄스 속도 시험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9,10). 모든 역학적 특성 측정 시 시험체 3개를 측정하여 평균값을 산출하였다.

3. 실험 결과

3.1 콘크리트 단위 중량

Figure 1에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1일 및 91일에서의 단위 중량을 나타냈다. NC 41의 경우 재령 1일에서 2,256 kg/m³, 재령 91일에서 2,301 kg/m³의 단위 중량이 나타났다. NC 28의 경우 각각 2,417, 2454 kg/m³의 단위 중량이 나타났다. LC는 배합에 사용된 굵은 골재인 경량골재의 영향으로 인해 NC 대비 낮은 밀도가 나타났다. LC 41의 경우 재령 1일에서 1,889 kg/m³, 재령 91일에서 1,921 kg/m³의 단위 중량이 나타났고, LC 28의 경우 각각 2,000, 2,050 kg/m³의 단위 중량이 나타났다. 모든 시험체에서 91일까지 양생 후 소폭의 단위 중량 상승이 나타났다.

Figure 1

Unit weight of concrete at age.

Figure 2는 재령 91일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단위 중량 변화를 나타내었다. high temperature heated normal aggregate concrete (HNC)의 경우 100 ℃에서 모든 수준 평균 1% 미만의 매우 작은 단위 중량 손실률이 나타났으며, 이후 온도에서는 손실률이 지속적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high temperature heated light weight aggregate concrete (HLC)도 HNC와 마찬가지로 100 ℃에서 약 1% 가량 작은 단위 중량 손실이 나타났으나, HNC와 달리 700 ℃ 구간에서 0.85%의 가장 작은 단위 중량 손실률이 나타났다. 최종 온도에서 HLC는 HNC를 상회하는 단위 중량 손실을 보였다.

Figure 2

Unit weight of 91 aged concrete by temperature.

3.2 콘크리트 압축강도

Figure 3은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냈다. NC의 경우 재령 28일 기준 NC 41은 35.0 MPa, NC 28은 71.1 MPa인 목표 강도(30, 60 MPa) 이상의 압축강도가 발현되었다. 반면 LC의 경우 재령 28일에서 목표 강도를 하회하는 강도(LC 41: 36.9 MPa, LC 28: 60.9 MPa)가 발현되었다. 이는 배합에 사용된 굵은 골재인 보통골재와 경량골재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Figure 3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age.

Figure 4는 재령 91일 콘크리트의 고온 가열 후 온도에 따른 압축강도를 나타내었다. 모든 시험체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압축강도는 감소하였다. 가열 전, 동일 목표 강도에서 NC의 경우 굵은 골재의 영향으로 LC 대비 매우 높은 압축강도(NC 28: 95.7 MPa, LC 28: 60.9 MPa)를 보였다. 그러나 700 ℃에서 HNC 28은 40.4 MPa, HLC 28은 34.0 MPa가 나타나며 상온 대비 작은 차이를 보였다. 최종 온도 가열 후 압축강도 감소율은 상온 대비(HNC 41: 84.5%, HNC 28: 57.8%, HLC 41: 63.1%, HLC 28: 44.2%)과 같이 나타났다. 기존 고온 특성 연구에서도 이와 같은 경향을 보였으며, 콘크리트 내부 수분 증발에 따른 수증기압 및 골재의 팽창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300 ℃ 구간에서의 압축강도 상승은 미수화물의 재수화 반응 등의 영향으로 보고하였다(11-21).

Figure 4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temperature.

3.3 콘크리트 초음파 속도

Figure 5는 콘크리트의 재령에 따른 초음파 속도를 나타냈다. 콘크리트의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모든 시험체에서 재령에 따라 증가하는 초음파 속도가 나타났다. NC의 경우 3.60∼4.65 km/s의 초음파 속도가 나타났고, LC의 경우 3.10∼4.07 km/s의 초음파 속도가 나타났다.

Figure 5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t age.

Figure 6은 재령 91일 콘크리트의 온도에 따른 초음파 속도를 나타냈다. 모든 시험체에서 온도가 증가함에 따라 초음파 속도는 감소하였다. HNC 41의 경우 최종 온도 가열 이후 상온 대비 74%, HNC 28의 경우 70% 감소된 초음파 속도가 나타났다. 또한 경량골재 콘크리트는 상온 대비 최종 온도 가열 후 HLC 41: 53%, HLC 28: 50% 감소된 초음파 속도가 나타나며 HNC의 감소율을 하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6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t temperature.

3.4 콘크리트 초음파 속도-압축강도 상관관계 및 오차율 검증

Figure 7에 보통골재 및 경량골재 콘크리트의 초음파 속도 및 압축강도 상관관계(강도 예측 모델)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강도 예측식은 지수 함수 형태가 가장 높은 상관계수(R2)를 보이며 다른 형태 대비 가장 적합했다. 함수의 형태는 동일한 형태가 나타났는데, 낮은 초음파 속도 구간에서는 적은 압축강도 증가율을 보였으나 이후 초음파 속도가 증가할수록 압축강도의 급격한 상승이 나타났다.

Figure 7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Figure 8에는 고온 이력을 받은 콘크리트의 초음파 속도 및 압축강도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고온 이력을 받은 콘크리트의 예측식의 경우 HNC 41: y=5.75e0.52x, HNC 28: y=30.79e0.24x, HLC 41: y=9.00e0.44x, HLC 28: y=21.68e0.25x과 같이 나타나며, 상온에서의 예측식과 같이 지수 함수 형태가 가장 적합하였으나, 해당 모델은 비교적 낮은 기울기의 그래프가 나타나며 선형적인 형태를 보였다. 이는 온도 증가에 따른 초음파 속도의 선형적인 감소에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8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fter high temperature heating.

Figure 9에는 해당 연구에서 계산된 예측 식에 대한 오차율 검증을 나타내었다. 각 데이터의 추세선은 일차함수 형태로 표현하였고, 중심선을 기준으로 바깥으로 갈수록 10%씩 증가하는 오차율을 나타냈다. HNC의 경우 예측식이 낮은 신뢰도가 나타났는데 이는 HNC 41 및 HNC 28의 데이터 차이에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HNC를 제외한 나머지 예측식은 비교적 적은 오차를 보이는 경향이 나타났다.

Figure 9

Error test of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model.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의 재령 및 온도에 따른 단위 중량, 압축강도 및 초음파 속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초음파 속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고 강도 예측식의 오차율 검증을 시행하였으다. 본 연구의 실험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면 다음과 같다.

  • 1) 콘크리트의 단위 중량의 경우 동일 W/B에서 NC가 LC보다 높은 단위 중량을 보였으며 고온 가열 이후 HNC는 9.4%, HLC는 12.9%의 단위 중량 손실을 보였다.

  • 2) 압축강도의 경우 NC가 LC 대비 높은 강도가 발현되었는데, 이는 배합에 사용된 굵은 골재의 영향으로 판단된다. 700 ℃에서 동일 W/B의 HLC는 HNC 대비 적은 압축강도 손실을 보였다.

  • 3) 초음파 속도의 경우 압축강도와 마찬가지로 NC 대비 LC는 하회하는 초음파 속도가 나타났다. 이는 굵은 골재인 경량골재의 다공성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모든 시험체에서 초음파 속도는 온도에 따라 선형적인 감소가 나타났다.

  • 4) 초음파 속도와 압축강도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한 강도 예측식은 지수 함수 형태로 나타났으며, 고온 가열 후에는 비교적 낮은 기울기의 강도 예측식이 나타났다. 또한, 오차율 검증 결과 HNC의 경우 W/B에 따라 큰 차이를 보이는 예측식이 나타나며 큰 오차를 보였지만, HNC 제외한 모든 수준에서 약 13% 이내의 작은 오차율을 보이며 비교적 준수한 강도 예측식임을 검증할 수 있었다.

후 기

이 저작물은 2021학년도 세명대학교 연구년 지원에 의한 연구임.

References

1.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Industrial Accidents in 2021” Ulsan (Korea):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2021.
2. Lee H. Y., Choi Y. S., Choi Y. O., Choi J. W., Hong W. H..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Evacuation Plans Considering the Vulnerable in the Event of a Building Fire. Proceedings of 2013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175–176. 2013;
3. Cheon Y. J., Shin Y. S., Kim H. S.. Safety Evaluation Techniques for Fire-damaged Buildings. Journal of the Korea Structural Engineers Association 29(2):6–9. 2022;
4. Pellegrino F., Salvador R., Aparicio S., Hernández M. G., Anaya J. J., Cavalaro S. H. P., Segura I.. Continuous Monitoring of Early age Properties of Sprayed Mortars by in Situ Ultrasound Measurement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292:123389. 2021;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21.123389.
5. Saha A. K., Majhi S., Sarker P. K., Mukherjee A., Siddika A., Aslani F., Zhuge Y.. Non-destructive Prediction of Strength of Concrete Made by Lightweight Recycled Aggregates and Nickel Slag.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3:101614. 2021;https://doi.org/10.1016/j.jobe.2020.101614.
6. Lee K. H., Yang K. H.. Reliable Design Models for Mechanical Properties of Structural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Magazine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5(5):55–61. 2023;
7. Park C. B., Kim Y. H., Jun Y. B., Kim J. H., Ryu D. H.. Durabilities of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and Natural Aggregate Concrete. Journal of the Korea Concrete Institute 33(3):227–234. 2021;https://doi.org/10.4334/JKCI.2021.33.3.227.
8. RILEM TC 129-MHT. “Test Methods for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at High Temperatures” 1997;
9. KS F 2403. “Method of Producing a Specimen for Strength Testing of Concrete, 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2019;
10. KS F, 2731. “Ultrasonic Pulse Velocity Test Method for Estimating Concrete Compressive Strength, National Standard Certification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2018;
11. Nikbin I. M., Aliaghazadeh M., Charkhtab S., Fathollahpour A.. Environmental Impact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Lightweight Concrete Containing Bauxite Residue (Red Mud). Journal of Cleanr Production 172:2683–2694. 2018;https://doi.org/10.1016/j.jclepro.2017.11.143.
12. Saha A. K., Majhi S., Sarker P. K., Mukherjee A., Siddika A., Aslani F., Zhuge Y.. Non-destructive Prediction of Strength of Concrete Made by Lightweight Recycled Aggregates and Nickel Slag. Journal of Building Engineering 33:101614. 2021;https://doi.org/10.1016/j.jobe.2020.101614.
13. Majhi R. K., Padhy A., Nayak A. N.. Performance of Structural Lightweight Concrete Produced by Utilizing High Volume of Fly Ash Cenosphere and Sintered Fly Ash Aggregate with Silica Fume. Cleaner Engineering and Technology 3:100121. 2021;https://doi.org/10.1016/j.clet.2021.100121.
14. Sua-iam G., Makul N.. Use of Increasing Amounts of Bagasses Ash Waste to Produce Self-compacting Concrete by Adding Limestone Powder Waste. Journal of Cleaner Production 57:308–319. 2013;https://doi.org/10.1016/j.jclepro.2013.06.009.
15. Shariq M., Prasad J., Masood A.. Studies in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Containing GGBFS.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40:944–950. 2013;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2.11.070.
16. Rao S. K., Sravana P., Rao T. C.. Experimental Studies in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Roller Compacted Concrete Pavement Containing Fly Ash and M-sand. International Journal of Pavement Research and Technology 9(4):289–301. 2016;https://doi.org/10.1016/j.ijprt.2016.08.003.
17. Saha A. K., Sarker P. K., Majhi S.. Effect of Elevated Temperatures on Concrete Incorporating Ferronickel Slag as Fine Aggregate. Fire and Materials 43(1):8–21. 2019;https://doi.org/10.1002/fam.2664.
18. Jumaat M. Z., Alengaram U. J., Ahmmad R., Bahri S., Islam A. B. M. S.. Characteristics of Palm Oil Clinker as Replacement for Oil Palm Shell in Lightweight Concrete Subjected to Elevated Temperature. Construction and Building Materials 101:942–951. 2015;https://doi.org/10.1016/j.conbuildmat.2015.10.104.
19. Ghanem H., Machaka M., Khatib J., Elkordi A., Baalbaki O.. Effect of Palm Fibres Addition on Absorption Characteristics and Mechanical Properties of Concrete. In Proceedings of the Fifth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ustainable Construction Materials and Technologies (SCMT5) 22020;https://doi.org/10.18552/2019/IDSCMT5098.
20. Song H. W., Saraswathy V.. Corrosion Monitoring of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s-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chemical Science 2(1):1–28. 2007;https://doi.org/10.1016/S1452-3981(23)17049-0.
21. Agunwamba J. C., Adagba T..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Rebound Hammer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in Testing Concrete. Nigerian Journal of Technology 31(1):31–39. 2012;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Quality according to Ultrasonic Speed and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Ultrasonic Pulse Velocity Grade Residual Compressive Strength
4.5 km/s or Higher Excellent 0.8 or Higher
4.0~4.5 km/s Very Good 0.6∼0.8
3.5~4.0 km/s Good
3.0~3.5 km/s Fairly Good
2.0~3.0 km/s Poor 0.6 or Less
2.0 km/s or Less Very Poor

Table 2

Experimental Plan

Classification Detail
Concrete Type • NC: Normal Aggregate Concrete
LC: Lightweight Aggregate Concrete
Coarse Aggregate Type • Granite-based Crushed Stone Aggregate
• Coal-based Artificial Lightweight Aggregate
Target Compressive Strength • 30 MPa
• 60 MPa
Measuring Items • Unit Weight
• Compressive Strength
• Ultrasonic Pulse Velocity
Target Temperature • 23, 100, 200, 300, 500, 700 °C
Heating Rate • 1 °C/min

Table 3

Mechanical Properties of Materials

Classfication Type 1 Ordinary Portland Cement Coarse Aggregate River Sand
Granite Coal-based
Density (g/cm³) 3.15 2.68 1.47 2.54
Powder Amount (cm2/g) 3,200 - - -
Assembly Rate (%) - 7.03 6.39 2.54
Absorption Rate (%) - 0.68 8.68 1.6
Maximum Size (mm) - 20 20 -

Table 4

Concrete Mix Design

ID W/B (%) S/a (%) Unit Weight (kg/m3)
W C S G
NC 41 41.3 46 165 400 799 956
LC 41 758
NC 28 28.0 43 600 676 913
LC 28 724

Figure 1

Unit weight of concrete at age.

Figure 2

Unit weight of 91 aged concrete by temperature.

Figure 3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at age.

Figure 4

Compressive strength of concrete by temperature.

Figure 5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t age.

Figure 6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t temperature.

Figure 7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Figure 8

Correlation between compressive strength and ultrasonic pulse velocity of concrete after high temperature heating.

Figure 9

Error test of compressive strength prediction mod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