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8(2); 2024 > Article
국내 및 해외의 119종합상황실 수보요원 교육 및 배치기준 비교에 관한 연구

요 약

본 연구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서 초등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에서의 수보요원들의 배치 및 배치 전⋅후의 교육 및 훈련사항을 선진외국의 상황요원들과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업무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국내의 상황실의 전입 인사기준의 내부문서로 관리되는 곳은 경기도 1개 지역만 파악되었으며, 그리고 대부분의 상황실 요원들은 배치전 각 시⋅도본부 상황실 선배 대원들의 비공식적인 실무적응교육을 통한 상황실 업무에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일본도 국내와 같이 여러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실 즉, 공동지령센터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나, 국내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상황실의 업무에 투입전 체계화되고 명확한 내용으로 교육 후 지령센터의 본업에 투입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주로 이루어진 국가이고 주마다 법과 제도가 상이하나 재난안전에 관해서는 연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통제를 하고 있으며, 주정부별로 규정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주마다 교육훈련, 자격증 취득기준 및 기존 요원들에 대한 보충교육 규정을 가지고 있었다. 독일의 경우에는 상황실의 근무자가 되기 위한 교육 자체가 직업 교육 훈련으로 이루어진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직업학교에서는 수보요원들의 다양한 교육과정이 가능해야 하며, 입학 요건, 및 전문 자격 등의 절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ABSTRACT

This study proposes an efficient way to strengthen work capabilities based on a comparison of the education and training of guard personnel before and after their deployment in the 119 Emergency Operations Center, which is in charge of elementary responses to various disasters and accidents, with that given to advanced foreign situation personnel. Only one area of Gyeonggi-do Province was identified in an internal document on personnel standards for moving into the situation room in Korea, and it was found that most of the situation room agents were used for situation room work through the informal OJT training of senior members of each city and provincial headquarters before deployment. Japan, like Korea, is organized into several prefectures and operates the sam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or Joint Command Center. However, the most distinctive feature of the Japanese system with respect to Korea is that situation room agents are employed in the day-to-day operations of the command center after education with systematic and clear contents before being put into the work of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Similarly, the United States comprises 50 states, each with its own laws and emergency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federal government actively controls disaster safety and establishes and operates regulations by state, and each state has education and training, certification standards, and supplementary education regulations for existing agents. In Germany, there is a specific system of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to become a worker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and the curricula in vocational schools for security personnel, as well as the admission requirements and professional qualifications, are specified by the government.

1. 서 론

1.1 연구배경

119 종합상황실은 화재, 구조, 구급, 기타 민원 등의 각종 재난 상황을 시⋅도 본부의 상황매뉴얼에 맞게 소방서에 출동⋅지령하고 있다. 그러나 재난현장은 급작성, 불확실성, 시간압박 등 특수한 환경이 조성되고 있으며, 신고자의 흥분, 성격, 신고능력 및 신고접수자의 상황처리, 인지능력에 따라 출동 시간이 지연될 수가 있다. 이러한 재난대응상황을 고려하여 보다 신속하고 효율적이고 적절한 대응을 하기 위해서 재난대응의 속성을 분석하고, 이에 따라 119종합상황실의 더욱 효율적인 운영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매우 중요한 상황이다. Figure 1은 국내 경북소방본부의 119종합상황실 내부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1).
Figure 1
Inside 119 emergency operations center (Gyeongbuk).
kifse-38-2-70-g001.jpg
또한, 소방서는 119상황접수를 통해 소방 이외에도 재난안전과 관련된 구조, 구난, 응급 업무를 종합적으로 담당하고 있으며, 업무량 또한 상당하다. 따라서 상황접수요원(수보요원)들은 다양한 상황에 적절히 대응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배경과 상황을 종합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능력이 요구된다(2).
Table 1에서는 2016년도부터 2021년까지의 신고접수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해마다 조금씩 증가하여 작년에는 12,057,804건으로 국내 인구를 약 5천 만명으로 가정하면, 평균적으로 4명중에 1명은 한해에 119로 신고를 하는 것으로 파악되며, 그만큼 우리나라에서 국민들이 한국의 소방조직에 대하여 강한 신뢰와 동시에 의지하고 있는 것을 반증하고 있다. 또한, 국민들이 신뢰하는 만큼 수보요원들의 상황실에서의 업무강도 또한 매우 높다는 것을 예상할 수 있다.
Table 1
Report Processing Status of 119 Emergency Operations Center in Korea by Year(3)
Classifica-tion (year) Total Number of Cases Fire Rescue, First Aid The Public’s Related Organization A Civil Petition for Information No Response Mis- Connectedness Etc
2016 10,727,743 234,798 3,164,216 580,526 127,083 3,216,320 1,594,268 877,052 933,480
2017 11,550,786 323,515 3,272,979 672,255 129,083 3,307,760 1,898,771 946,892 998,910
2018 11,384,521 335,545 3,314,781 671,876 130,636 3,336,411 1,748,186 873,892 973,285
2019 11,567,173 340,757 3,320,771 713,797 104,990 3,328,167 2,000,756 892,141 865,794
2020 11,274,559 329,312 3,107,044 798,314 87,615 3,272,023 1,886,019 931,521 862,711
2021 12,057,804 375,409 3,530,192 818,866 85,195 3,542,718 1,832,968 971,332 919,124
그러나, 119종합상황실 상황접수요원들의 역할에 비하여 업무 실정은 국민의 기대와는 조금 차이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이유는 개인의 경험 부족과 역량 차이에서 원인을 찾을 수도 있으나, 근본적으로는 이러한 부족과 차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업무를 유형화하지 못하였고, 상황접수요원들을 충분히 교육 및 훈련시키지 못한 체계적인 시스템의 부재의 문제로 판단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서 초등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의 업무역량강화를 위한 상황실 배치전 수보요원들의 교육을 통한 개선 방향에 대하여 일본, 미국 및 독일의 재난관련 상황실에서의 배치전 교육에 대한 비교⋅분석을 통하여 제시할 계획이며 국내의 119종합상황실에서의 수보요원들의 효율적인 교육을 통한 업무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4).

1.2 연구수행 방법

2022년 전국의 18개 시⋅도 본부 119 종합상황실을 자세히 파악하기 위하여 서울의 종합상황실부터 제주 종합상황실까지 현장방문을 실시하였으며, 직접 업무에 참여하는 수보요원, 상황실 담당 및 팀장들을 만나 운영되고 있는 2021년 기준으로 119 종합상황실에서의 배치인력 현황, 교육 현황을 중점으로 문제점 및 개선사항들을 파악하였다.
구체적인 연구수행 방법으로는 상황실 근무자에 대한 설문조사 및 분석, 현장방문 후 의견수렴, 관련법령 및 국외사례 검토, 119 종합상황실 운영현황 분석 등을 통하여 국내의 119 종합상황실을 개선하기 위한 사항 등을 파악할 수 있었으며, 본 연구에서는 전국 18개 시⋅도 소방본부의 119종합상황실에서의 배치현황 및 배치 후 교육현황에 관하여 파악한 연구이며, 추가로 선진 해외에서의 국내와 유사한 상황실에서의 배치 및 교육사항에 대한 비교를 통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한 연구이다.

2. 119종합상황실 배치인력 및 교육현황

2.1 국내 119종합상황실 인력 현황

2021년을 기준으로 국내 119종합상황실 사항으로서, 전국 18개 소방본부에 약 359의 접수대가 있으며, 71개의 응급의료 상담접수대 및 460개의 보조접수대를 보유하고 있으며, 소방서에는 86개의 119 접수대가 있으며 254개의 보조접수대를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119 신고용 회선현황으로 소방본부의 119회선으로 주회선을 3,340회선, 예비회선을 862회선 및 403개의 비상접수회선을 가지고 있으며 소방서 119회선으로 723개의 회선을 가지고 있으며, 857개의 비상접수 회선을 보유하고 있다.
상황실 직원들의 자격증 보유현황을 살펴보면 소방설비분야에서는 소방기술사 1명, 기사 426명, 산업기사 206명 및 기능사 자격증을 421명이 보유하고 있다. 그리고 전문자격증으로 화재진화사가 637명, 인명구조사가 37명, 소방교육사가 47명이 있으며, 의료분야 자격으로서 전문의 2명, 간호사 128명 및 응급구조사가 707명이 현재 상황실에서 근무하고 있다. 한편, 거짓 및 장난신고 건수는 2021년 기준으로 장난전화가 78건, 거짓신고가 2건, 과태료 부과가 2건 정도로 많은 퍼센트를 차지하는 것은 아니지만, 매우 급박하고 중요한 소방력의 낭비를 가져오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able 2에서는 상황실의 근무자 직급별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여기에서 구급상황관리센터, 행정지원 및 정보통신 인원을 제외한 직급별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실장, 팀장 및 상황요원에서는 약 1,172명이 근무하고 있으며 여기에서 소방장과 소방위가 가장 많은 직급군으로 파악되고 있다. 여기에서 팀장급 이상의 관리직을 제외한 상황요원 업무분야별 현황을 살펴보면 상황접수 인원은 811명, 상황분석 인원은 37명, 상황관제 인원은 134명, 상황보고 인원은 90명 및 지원인력 18명으로 파악되었다.
Table 2
119 Status of Workers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by Position
Personnel A fire official Etc Total
A Small Group Assistant Fire Commi- ssioner Chief Super- intendent Fire- Chief Deputy Fire Captain Fire Captain Fire Lieute- nant Fire Sergeant Fire Fighter A Small Group A General Administra- tive Position Contract Worker Etc
Chief, Team Leader, Situation Agent 1,169 1 17 61 71 332 409 249 29 3 3 - - 1172
Director of the Center, Administrator, Doctor 163 - - 4 1 41 63 50 4 132 - 68 64 295
Administrative Staf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Etc. 180 - 2 29 32 34 44 23 16 14 10 4 - 194
구급상황관리센터의 근무자 직급별 현황에서는 구급상황관리센터에서는 총 295명의 인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이중에는 소수의 센터장, 관리사 및 의사의 인원을 포함하고 있으며, 소방장, 소방교 및 소방위의 직급군이 가장 많은 것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기타 인원으로 계약직 외 인원도 132명으로 비교적 많은 인원으로 현황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행정지원, 정보통신 및 기타의 인원으로서 주로 지원인력에 대한 직급별 현황을 보여주고 있다. 기타 인원으로서는 총 194명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소방장, 소방위, 소방경의 직급군이 가장 많은 인원으로 파악되었다.

2.2 국내 119종합상황실 배치전 수보요원 전입기준 및 교육

119종합상황실의 근무 여건상 모든 재난상황을 대응하는 시발점인 부서로 다양한 업무 경험자가 필요하다. 또한, 상황업무는 다른 부서의 업무와 다르게 행정업무와 현장업무 그리고 민원업무영역까지 포함되어 복합적인 업무형태이므로 전입자에 대한 일반적인 기준이 필요하다는 의견이 있으나, 119종합상황실 전입 인사기준이 내부 문서형태로 있는 곳은 경기도 1개 지역만 파악되었다.
인사기준이 별도로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인사부서에서 인사업무 시 충분히 고려하겠지만 119종합상황실의 근무여건이 반영된 인사기준은 대부분의 시⋅도 소방본부에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는 상황실 근무자의 분야별 업무 경험의 부족으로 나타나며, 신속한 대응이 필요한 업무 특성상 업무미숙으로 인한 민원발생 소지가 충분하다. 상황실 업무를 적응하기 위한 교육도 필요하지만, 상황실 근무자를 선발함에 있어 업무분야별 최소한의 현장활동 경험의 필요성을 상황실 근무자가 느끼고 그것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19종합상황실의 편제는 서울시장 직속기관인 서울본부를 제외한 18개 시⋅도 119종합상황실은 소방본부내 부서이다. 하지만 상황실 직원은 본부직원 또는 소방서 직원보다 승진이 늦다는 인식을 강하게 가지고 있으며, 인사가점을 조사한 결과 일부 시⋅도 소방본부에서는 일근 근무자에 비해 교대 근무자는 인사가점을 낮게 주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소방공무원 가점평정 규정」 제7조에 의하면 격무⋅기피부서를 지정하여 소속 직원들에 대해 가점을 부여할 수 있고, 「119종합상황실 표준 운영규정」 제34조에 의하면 상황실을 격무부서로 지정하여 근무가점을 부여할 수 있도록 노력하게 되어있으나 일부 시⋅도 소방본부는 미흡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시⋅도본부 마다 조금씩은 다르지만 대체로 유사한 형태로 대부분 각 시⋅도 본부 상황실의 자체교육 및 실무적응교육(OJT) 등을 통해서 수보요원 및 팀장이상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Table 3에서는 주요 시⋅도별 인사기준 및 상황실 발령 시 교육방법에 대한 방법을 보여주고 있다.
Table 3
Personnel Standards and Emergency Operations Center Training Methods by Major Cities and Provinces
Region Personnel Standards Teaching Method Etc
Seoul Doesn’t Exist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for 2 Weeks After Appointment
Kyung-gi Standards for Transferring Internal Documents 3 Weeks of Internal Training in Emergency Operations Center Using Own Textbooks
Daejon Doesn’t Exist Internal Training with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Busan Doesn’t Exist 4 Weeks Interna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Training
Kangwon Doesn’t Exist 1 Week Internal Mentoring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Chung-buk Doesn’t Exist 4 Weeks Interna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Training
Chung-nam Doesn’t Exist 2 Weeks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Kyung-buk Doesn’t Exist 1 Week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Ulsan Doesn’t Exist 1 Week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Jeju Doesn’t Exist 2 Weeks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Kyung-nam Doesn’t Exist 3 Weeks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Changwon Doesn’t Exist 1 Week Internal Training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이와 같은 점을 정리해보면 소방공무원으로서 상황실에서의 업무 경험이 없는 직원들의 경우 119종합상황실에 배치받게 되면, 일정교육의 교육과 훈련을 거쳐야 하는 것은 지극히 기본적인 사항이라고 생각된다. 현재 119종합상황실로 배치 시 각 시⋅도 본부의 지침이 있으나 이와 같은 지침이 매우 형식적인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각기 다른 상황실의 여건과 개인 차이등에 의하여 교육기간에 대한 규정 등이 매우 모호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실제 상황실에 방문하여 상황실로의 배치 시 교육에 대하여 문의결과, 시⋅도 본부마다 교육기간, 방법 및 교재 등이 모두 다 상이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교육교재도 공식적인 교보재 없이 각 시⋅도 본부의 ‘119상황관리가이드라인’을 통해서 교육하고, 실제 수보요원으로 배치받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119종합상황실에 배치 시 상황실에 맞는 ‘119상황관리가이드라인’이 아닌, 통일된 교보재의 개발이 빠른 시일 내에 필요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에서 119종합상황실에 대한 정식 교수요원들이 매우 부족하거나, 정식으로 발령받은 상황실 교관 편성이 거의 없는 실정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교관의 부재로 인해서 상황실에서의 중요성 및 업무범위 등에 대한 표준이 현재 없는 가능성이 매우 크다고 판단되며, 실제 각 시⋅도본부의 상황실에서 이와같은 점을 지적하는 수보요원들이 있었으며, 인지하는 가운데에서도 현실적으로 반영이 늦는 것으로 판단된다. 지금 119종합상황실의 교육을 시⋅도본부에서 자체적으로 교육을 수행 시 대부분 상황실의 팀장 또는 선배직원들의 실무적응교육의 교육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119종합상황실에 배치 후 상황실의 직원들은 상황실장의 책임하에 「119종합상황실 표준운영규정」 제17조(교육⋅훈련)에 따라 매년 교육⋅훈련 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여야 하며, 상황근무자에 대하여 상황 관련 전문교육과정 수료를 지원하고, 상황훈련을 실시하게 규정화되어 있다. 또한, 소방청장은 상황근무자의 자질향상 및 직무능력 배양을 위하여 국내⋅외 재난관리교육기관에 교육을 위탁하거나 해외 선진기술연수 등을 실시할 수 있다고 언급되어 있다. 또한, 재난관리교육위탁기관은 공무원인재개발원, 중앙소방학교, 지방소방학교, 긴급 신고 공동관리센터에 한하며, 상황관리에 필요한 최소 교육이수기간은 연간 30 h (사이버교육 및 집합교육 시간을 포함한다)고 규정화되어 있다.
그러나, 여기에서 2가지 문제점이 도출이 되는데, 첫째는 재난관리교육위탁기관에 교육을 신청할 경우 지원한 인원만큼, 교육생의 제한으로 교육을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는 것으로 밝혀졌으며, 교육을 받는 인원이 많이 발생할 경우 남아있는 상황실의 직원들이 각종 재난신고에 과부하가 걸리는 문제점이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둘째는 상황관리에 필요한 최소 교육 이수기간이 연간 30 h으로 언급되지만, 실제 교육의 내용들은 일반적인 화재, 구조 및 구급과 관련된 상황실의 교육내용이 아닌 소방의 전반적인 교육 내용들로 채워진 문제점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내용 들은 실제 시⋅도본부의 방문을 통해서 발견할 수 있었으며 상황실의 직원으로서 받아야 할 교육내용으로 개선이 필요한 부분으로 판단된다.

3. 해외사례

3.1 일본 소방공동지령센터 교육 현황

일본도 국내와 같이 여러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현 단위로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실 즉, 공동지령센터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리고, 현마다 다른 교육시스템을 가지고 있으며, 비교적 일본의 공동지령센터의 경우 국내보다는 좀 더 체계적인 교육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교육 후 지령센터의 현업 업무를 시작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여기서 가장 큰 특징은 현마다 틀리지만, 동경과 치바현 같이 비교적 크고 인구가 많은 곳에서는 상황실의 업무에 투입전 교육을 받고 확인 뒤에 지령센터의 본업에 투입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자격인증제와 같은 자격증 제도는 별도로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일본은 국내의 경기도와 비슷한 영역의 이치하바시의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를 대표로 해서 일본의 공동지령센터(국내의 119종합상황실)의 경우를 살펴보았다. 일본의 이치하바시 경우 20개의 소방본부(국내 소방서)로 구성되어 있는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에서 상황실을 운영하고 있으며, 재해 종류별로는 화재, 구급, 구조 및 기타대응으로 국내와 비슷한 소방의 체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의 상황실 대원들도 다양한 주특기 분야에서 상황실로 파견되고 있으며 상황실의 전문 자격증과 같은 체계는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국내의 상황실 배치와 거의 비슷한 구조체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의 경우 파견되는 직원은 구급구명사(한국의 응급구조사), 구급I 과정, 구급II 과정, 응급수당지도원, 제1급 육상특수무선기가, 제2급 육상특수무전기사, 제3급 육상특수무전기사, 통신근무 등 경험이 1년 이상인자 및 소방서장의 추천자를 바탕으로 상황실로 배치받고 있으며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의 책임자는 재해현장에서의 지휘, 통제권 등의 권한은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와 같은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로의 상황실 파견 전에 3월과 9월에 「신입지령과제원기초연수」로 65 h의 교육을 받은 후 매년 4월 또는 10월 상황실의 대원이 교체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파견 후에는 「신임 지령관제원 실무 연수」로 80 h의 교과목으로 구성된 교육을 받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육 장소는 치바소방공동지령센터 내에서 실시하고 있으며, 교관은 책임자로부터 지명된 관제원이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와 같은 파견 전의 「신입지령과제원기초연수」로 65 h의 교육내용은 Table 4와 같은 과목으로 편성되고 있으며, 파견 후 「신임 지령관제원 실무 연수」로 80 h의 교육내용은 Table 5와 같은 교육내용으로 편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Table 4
Ichihara City Fire Department New Order Control Officer Basic Training Contents (65 h before dispatch)
Sortation Training (Education) Training (Education) Contents and Reachievement Instructor
1 Morning Mini-test Every Morning from 8:30 a.m., Written Tests such as Place Names and Radio Call Names are Conducted A Management Team
2 Enhance Understanding the Composition of the Council and the Relationship with each Rire Department, and the Mindset as a Dispatched Employee Director of the Center
3 Response and Communication Training Training on How to Communicate with the Reporter (Not Upsetting the Other Party, etc.) Vice Chief
4 Human Error and Coountermeasures Coping with the Occurrence of Human Error (Acquiring Precautions) Vice Chief
5 Service Ethics Training Understanding the Council Staff Service Guidelines Vice Chief
6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Understanding the Council’s Basic Policy on Information Security and Standards for Information Security Measures Vice Chief
7 Command and Control Procedures Check the Contents of the Command Control Procedure (Method) and Understand the Order of Handling in the Event of a Disaster A Management Team
8 A Command System Get an Overview of the Command System and Understand the Machine Connection to Each Fire Department A Management Team
9 Fire Service Digital Wireless Understanding the Overview and Characteristics of Fire-Equipped Digital Wireless and Acquiring Basic Wireless Knowledge Current Crisis Management Division
10 Command Judgment Criteria Confirmation of the Criteria for Determining the Order of Various Disasters and Understanding the Necessity of Common Recognition A Management Team
11 Nearby Cheering Life Response, Understanding of Support Requests for Assistance A Management Team
12 Medical Helicopter, Air First Aid Aerial Rescue Activities Understand the Consent Outline and Various Operating Procedures, A Command Board
13 Command System Operation (Basic) Acquisition of Basic Knowledge for the Promotion of Unified Activities of the Command Center A Command Board
14 A Verbal Map (Theory and Simulation) Learning the Basic Operation Method of Dispatching Instructions, etc A Command Board
15 How to Operate the Radi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Oral Guidance and Acquire Skills A Command Board
16 Command System Operation (Wireless) Understanding Wireless Communication Principles, Precautions, and Radio Communication Guidelines A Command Board
17 Handling of Various Devices From Dispatch to Your Ears, You’ll Learn the Radio Instructions A Command Board
18 System Shutdown, Large Scale Disaster Response Basic Operation of Various Devices in the Command Center is Acquired A Command Board
19 Command System Operation (Application) Learn How to Operate Other than Normal Operations (Shortening Operations, Earthquake Response Plans, etc) A Command Board
20 Education of the Vice-Captain (Vice-Captain) Acquisition of Vehicle Selection, etc. Based on the Standards of the Order Stage and Various Agreements, etc A Command Board, Vice Chief
21 Confirmation of Effectiveness Understand the Work of the Vice-captain (Vice-Captain) Leader and Learn Appropriate Guidance Methods A Command Board
22 Total Organizing the Contents of Education, Solving and Identifying Questions through Q&A A Command Board
Table 5
Ichihara City Fire Department New Order Control Officer Basic Training Contents (80 h After Dispatch)
Sortation Training (Education) Training (Education) Contents and Reachievement
1 Life-Saving Response (PA-Linked) Learn the Characteristics and Operation Methods of Each Fire Department
2 Nearby Cheering Understand Life Issues and Learn How to Write Support Requests from Neighboring Fire Brigade
3 A Medical Helicopter Understand the Case of Operational Symptoms, Learn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4 Medical Helicopter (Hospital Transfer) Understand the Case of Operational Symptoms, Learn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5 An Express Ambulance Understand the Case of Operational Symptoms, Learn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6 A Medical Helicopter Doctor Understand the Case of Operational Symptoms, Learn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7 Aqualine (Submarine Tunnel Name)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8 Narita International Airport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9 Special Dangerous Goods Fire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10 Matters Other than Issuance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Non-case Matters and Learning How to Manipulate Them
11 Fireboat (Boat) Support Team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12 System Failure, Shortening Operation Plan Understand the Meaning of Shortened Operation and Learn the Dispatch Instructions According to the Withdrawal Mode
13 Earthquake Response Plan Learning Response to Large-Scale Earthquakes
14 Same Report Receipt Processing Regarding the Judgment of the Same Disaster Site Acquisition of a Solution
15 Special Communications Response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16 Dedicated Line Notification Response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Dispatch Order
17 Send to Out-of-Town Fire Service Acquire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Transportation Method
18 Contacting Authorities Learn the Order and Procedure of Contact Methods
19 A Radio Test Learning Wireless Methods on Time and in Emergency
20 Disaster Reporting, Disaster Information, Hospital Information, and Reporting Response Acquiring the Corresponding Judgment of Various Disasters
21 119 Mail, Fax Response Device Manipulation Acquisition
22 Caller Inquiry Understanding Monthly Statistical Office Processing
23 Waiting to Move Acquiring the Order and Procedure of the Mobile Standby Command
24 Wireless Operations Acquisition of Proper Radio Operation
25 A Long Recording Device Learning How to Manipulate
26 Large Multi-Electronic Board Learning How to Manipulate
27 A Surveillance Camera Learning How to Manipulate
28 Fire Department Call Learning How to Manipulate
29 Musical Piece, Digital Maintenance Device Learning How to Manipulate
위의 내용과 같이 파견 전에 65 h의 교육을 받은 후 상황실로 배치 후에 재교육을 80 h을 받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국내의 상황실 교육체계와 비교 시 더욱 체계화되고 구체화된 「사전교육(65 h) ⇨ 배치 ⇨ 배치후 재교육(80 h)」으로 나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바공동지령센터의’ 체계적인 교육후 배치, 배치후 재교육의 시스템은 국내상황실의 교육⋅훈련 부분에 있어서 적극적인 도입 검토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부분이다.

3.2 미국의 상황관리 요원 교육

또한,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주로 이루어진 국가이고 주마다 법과 제도가 상이하나 재난안전에 관해서는 연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통제를 하고 있으며, 응급상황 신고와 관련하여 연방통신위원회가 위기 시에 국민을 대상으로 하는 통신 방안을 3가지로 규정하고 있다. 첫째, 공공안전응답센터를 통한 911 신고전화처리와 전달 둘째, 비상시 경고시스템 셋째, 라디오와 공공방송 또는 케이블 텔레비전의 뉴스로 구분되어 있으며, 현재 미국의 911 서비스인 PSAP “public-safety answering point”라고 불리는 응급 콜센터로서, PSAP에 수신되는 상황에 따라 경찰, 소방, 구급차 서비스로 연결되어 현장에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5).
미국에는 메인 PSAP가 2022년 기준 약 8,777여(6) 곳이 설치⋅운영되고 있으며, 지역별로 명칭을 달리하여 부르기도 하지만 911로 동일한 번호를 사용하며 긴급전화 신고처리 절차도 유사하다. PSAP에 신고가 접수되면 접수요원은 전화를 받는 즉시 신고자의 위치정보를 computerized automatic dispatch (CAD) 시스템을 통해 확인하고, 접수요원은 사건내용을 청취하여 경찰, 소방, 구급차 서비스 가운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서비스를 판단한다. 어떤 서비스를 우선적으로 제공할지를 결정하면 지령을 내리고 나서는 지령자와 연결되는 시스템으로 운영된다. 또한, 접수요원이 취득한 정보는 모두 지령자의 시스템 화면에서도 확인이 가능하며, 초기 신고접수 요원은 현장 대응요원이 사고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신고자와 지속적으로 통화를 유지한다.
그리고, 각 미국의 주정부에서는 주정부별로 규정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주마다 교육훈련 및 자격증 취득기준, 기존 요원들에 대한 보충교육 규정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일정 교육과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가운데 911접수요원을 모집해 투입하고 있다. 미국의 주요 주에서의 상황실의 수보요원들에 대한 교육과목과 교육시간을 살펴보면 Table 6과 같다.
Table 6
Emergency Operations Center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Hours in Major States in the United States
Sortation California Virginia Texas
An Educational Subject Professionalism Professional Fashionism Crisis Communications Training
Work Ethics Judgment
Telephone Technology and Programs Police/Fire/Emergency Medical Care (Related Instruction Procedures and Technologies) For the Deaf Communication Training
Use Procedure A Legal Issue National Crime Information Center Training, etc
Radio Technology and How to Use It Communication
Training Hours Dangerous Accident Handling Procedures, etc (A Total of 14 Subjects) - 80 h of Completion within 12 Months by Law
- Includes 40 h of Vocational Training
- 40 h of Basic Certification Within 12 Months
이와 같이 미국은 주마다 각기 다른 법과 제도를 가지고 상황실에 대하여 유지 및 관리를 하고 있지만, 미국에서는 CALEA, ACE-IAED, APCO-33-ANS(7)와 같은 상황실에 대한 인증기관을 통하여 상황실의 직원들의 자격을 가지고 있는 전문적인 시스템을 갖추었다는 점과, NFPA-1061(8)에서는 상황실의 접수요원들은 통신후보자로서 ①철자능력, ②기본적인 읽기능력, ③기초수학계산, ④명료하게 말할 수 있는 능력, ⑤기초작문 능력, ⑥손재주, ⑦서면 및 구두지시를 따르는 능력, ⑧알파벳순으로 분류하고 분류하는 능력, ⑨필요에 따라 키보드 및 마우스 기술등과 같은 기술능력을 권장하고 있다. 그리고, 상황실의 후보자의 기본적인 ①다양한 활동 수준에 적응, ②멀티태스킹, ③의사결정 능력을 바탕으로 판단, ④평정유지, ⑤연관되지 않은 사실로부터 결론 형성, ⑥타인과의 협업/팀워크, ⑦비판에 대처하기, ⑧정보를 기억하고 회상, ⑨언어 및 폭력 처리, ⑩대인관계 관리, ⑪스트레스를 이겨내는 능력, ⑫기밀유지와 같은 기본적인 적성등을 확인하여야 한다는 내용을 언급하고 있다. 이와 같은 기본적인 적성을 확인하는 절차는 국내의 상황실의 인사 배치 시에도 적용할 필요가 있는 기본적인 훈련절차 이전에 필요한 절차 및 확인절차로서 국내에서도 상황실의 배치 시 적용하기에 필요한 제도라 판단되는 부분이다.

3.3 독일의 상황관리 요원 교육

독일의 경우에는 상황실의 직원을 위한 교육체계가 한국과는 시스템적으로 다른 사항을 보여주고 있다. 독일의 상황실의 근무자가 되기 위한 교육 자체가 직업 교육 훈련으로 이루어진 체계로서 자료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었다. 독일에서는 상황실에서 근무하려면 현재 소방대, 구조 서비스 및 시민 보호 분야에서 운영 경험이 있는 연방 주에서 다양한 사전 자격이 필요한 것으로 나와 있다. 연방주의 소방, 응급 서비스 및 시민 보호에 관한 법률은 일반적으로 상황실 직원의 자격에 대한 최소 요구사항만을 공식화한다고 언급되어 있다(9).
독일의 경우 직업학교에서는 수보요원들의 다양한 교육과정이 가능해야 하며, 각 교육과정은 궁극적으로 필요한 자격 기준을 보장해야 하며, 입학 요건(졸업 증명서, 전문 자격 등)에 따라 현재 생각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이 있으며, 상황실에서의 근무를 위한 수보요원으로서의 절차는 다음과 같다. ①직업교육과정의 일반적인 시작은 중등교육을 마친 후 직업학교를 통한 훈련 ②비상서비스 및 소방대의 측면 진입자는 국가에서 승인한 전문 교육과정을 통해 제어 센터 파견원이 될 수 있는 자격③현재 운영중인 제어 센터 직원에게도 동일한 사항이 적용되지만, 전환 기간 내에 추가 교육실시 ④구조 서비스 및 소방대의 다른 유사한 교육과정과 마찬가지로 응급 구조대원이 되기 위한 교육은 특히 통제센터에서 근무하도록 조정된 소량의 전문지식을 제공 가능한 한 연방에서 균일한 자격만이 관제센터의 품질 수준을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설정 ⑤현재, 통제센터는 비경찰 당국과 보안업무를 수행하는 조직의 유일한 영역이며, 직원들의 훈련 품질에 대한 연방 규정이 없음.
그리고, 독일의 직업학교 있는 직무기술서 부분에 언급되어 있으며, 상황실 3년의 학습영역에 대한 커리큘럼 및 시간에 대한 부분은 Table 7과 같이 언급되어 있다.
Table 7
German Vocational School Emergency Operations Center Curriculum and Training Hours
Number A Learning Area The Total Sum Year 1 (hours) Year 2 (hours) Year 3 (hours)
1 Explore Integrated Control Center Activity Areas, Identify Your Role, and Act as Control Center 150 100 20 30
2 Set and Maintain the Operational Readiness of the Control Station 180 90 60 30
3 Organize Activities in the Control Center Based on Quality, Legal and Economic Standards 180 90 80 10
4 Medical and Fire Technology Emergency Identification, Recording and Analysis, and Action Guidance Provided 410 50 200 160
5 Planning, Documenting and Monitoring Medical and Fire-fighting Operations as Required 300 40 160 100
6 Cooperation with Professional Services, Authorities and Organizations and Other Stakeholders 210 50 80 80
7 Provide Communication, Advice and Support with Stakeholders, Authorities and Operators 200 80 40 80
8 Handle Routine and Complex Cross-Service Tasks 240 20 80 140
9 Contributing to Quality Control, Monitoring and Optimizing the Quality of Order Fulfillment 150 80 50 20
Total Hours 2020 600 770 650
독일에서의 상황관리 요원에 대한 내용을 정리하면, 직업전문학교에서 3년간 총 2020 h (약 84일)의 교육을 통한 수보요원으로서의 교육을 통하여 양성되며, 교육의 수료와 자체평가 등을 통하여 상황실로 배치받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전문 자격인증제의 별도의 시험제도는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국내의 소방공무원으로서의 상황관리실의 교육과는 비교가 어렵고, 교육내용으로서는 법률적인 부분을 제외하고 기본적인 교육내용은 유사하다고 판단되는 상황이다(10-13).

3.4 국내⋅외 종합상황실 비교 및 역량강화 제시

Table 8에서는 국내, 일본, 미국 및 독일에서의 상황실에서의 인사기준, 교육방법 및 특징에 대하여 비교 분석한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Table 8
Comparison of Domestic and Foreign Emergency Operations Center
Classification Korea Japan U.S. German
Personnel Standards • Only the Gyeonggi-do Fire Department has Internal Personnel Standards
• Most City and Provincial Headquarters Do Not Have Personnel Standards
• Operations Based on the Selection Criteria of Workers in Each Region
• Personnel Standards are Similar to Those in Korea
• New Employees are Not Allowed to Work
• Establish and Operate Regulations by State
• Schedule Training and Licensed Personnel are Placed in the 911 Situation Room Each Week (CALEA, ACE-IAED, APCO-33-ANS Qualification Required)
• Various Pre-qualification Requirements in Federal States
• Arrange Training and Certification Holders After Completion of Vocational Training
Teaching Method • Education through “119 Situation Management Guidelines” of the City and Provincial Departments
• Conduct Self-training of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of the City and Provincial Headquarters
• Working-level Adaptation Training (OJT) through Senior Members
• Education Status Varies from Region to Region, But the Situation Room is Placed After Training Before Input
• The Situation Room in a Large City Establishes and Operates Pre-input Training and Post-input Training Courses
• Integrated Operation of Physical Facilities
• Each State Government has Standards for Obtaining Education and Training and Certifications
• Strengthen Basic Education Based on Aptitude
• Vocational Education and Training System
• Pre-qualification System Operation
• Operation of Situation Room Curriculum and Training Hours in Vocational Schools
Characteristics • Lack of a Unified Curriculum When Placing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 Lack of Equipment, etc. in the Emergency Operations Center Necessary for Training or Not Being Deployed
• Lack of Formal Instructor Manpower in the Curriculum
• There are Many Areas Similar to Those in Korea
• Does Not Require a Certificate, etc
• Training Before Situation Room Placement and Operation as a Training System After Placement
• Placement of Certificate Holders in the Situation Room
• Integrated Situation Room Operation for Police, Fire, Rescue and First Aid
• Operation of Training Content and Training Hours in the State
• 3 Years of Vocational School After Completing Certain Period of Completion and Operating the Situation Room as a Certificate Holder
• Test System is not in Operation
• Basic Training Content is Similar to That of Korea
위와 같은 내용을 종합적으로 판단 시, 국내의 119종합상황실에서 배치 및 교육방법에 대한 역량강화를 위해서는 첫째, 소방공무원의 임용 시에도 상황실의 중요성에 대한 기초교육이 필요하며, 상황실의 배치 전 일본 몇 개의 현에서 시행하는 체계화되고 명확한 내용으로 교육 후 119종합상황실의 본업에 투입하며 둘째, 미국과 독일과 같은 상황실 근무 자격인증을 통한 검증된 요원을 투입하는 상황실 업무에 대한 전문성을 강화시킬 필요가 있다고 판단된다. 그리고, 상황실의 배치 시 각 시⋅도에 특성화된 배치기준을 작성하여 상황실의 요원들의 배치에 대한 공정성, 형평성 및 전문성과 더불어서 격무부서에 대한 인사기준 등을 명확히 하여 재난상황에 대한 첫 시발점인 국내의 119종합상황실의 역량을 강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시하는 바이다.

4. 결 론

본 연구는 각종 재난 및 사고에서 초등대응을 담당하고 있는 119종합상황실에서의 수보요원들의 배치 및 배치전⋅후의 교육 및 훈련사항을 일본, 미국 및 독일과 같은 선진 외국에서의 상황요원들과의 비교를 통한 효율적인 업무역량 강화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국내의 상황실의 전입 인사기준의 내부문서로 관리되는 곳은 경기도 1개 지역만 파악되었으며, 나머지 시도본부에서는 인사기준 및 교육에 관한 기준은 대부분의 시⋅도 본부에 없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대부분의 상황실 요원들은 배치전 각 시⋅도본부 상황실 선배 대원들의 실무적응교육등을 통한 상황실 업무에 투입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2. 일본도 국내와 같이 여러 개의 현으로 이루어진 국가로서 현 단위로 우리나라와 같은 상황실 즉, 공동지령센터를 운영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국내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상황실의 업무에 투입전 체계화되고 명확한 내용으로 교육 후 지령센터의 본업에 투입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라고 할 수 있으며, 미국과 같은 자격인증제와 같은 자격증 제도는 별도로 운영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3. 미국의 경우에는 여러 주로 이루어진 국가이고 주마다 법과 제도가 상이하나 재난안전에 관해서는 연방정부가 적극적으로 통제를 하고 있으며, 주정부별로 규정을 제정해 운영하고 있으며 주마다 교육훈련 및 자격증 취득기준, 기존 요원들에 대한 보충교육 규정을 가지고 있다. 미국은 일정 교육과 자격증을 보유한 사람가운데 911접수요원을 모집해 투입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4. 독일의 경우상황실의 근무자가 되기 위한 교육 자체가 직업 교육 훈련으로 이루어진 체계로서 자료를 통해서 확보할 수 있었다. 그리고, 직업학교에서는 수보요원들의 다양한 교육과정이 가능해야 하며, 각 교육과정은 궁극적으로 필요한 자격 기준을 보장해야 하며, 입학 요건(졸업 증명서, 전문 자격 등)의 절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국내⋅외 119종합상황실 수보대원 교육 및 배치 기준에 대한 비교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우리나라의 수보대원 영량 강화 및 업무 효율의 극대화를 위해서는 수보대원의 사전 교육⋅훈련 시스템에 대한 전면적인 개편을 통해 전문 분야로서의 위상 정립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를 위해서는 일본과 같이 실증적 사전 교육 프로그램의 확보 및 미국과 독일의 전문 자격증 체계를 도입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같은 시스템과 체계는 중⋅장기적인 관점에서 추진하여야 하며 우수한 수보대원 육성을 추진하여야 할 것이다.

References

1. B. C. Kim and H. S. Kong, “Efficient Operation Plan of 119 Comprehensive Situation Room According to the Nature of Disaster Response”, Master's Thesis, Woo-Suk University, (2021), https://doi.org/10.17762/turcomat.v12i13.9875.
crossref
2. National Fire Agency, “The History of Korea Fire &Rescue Service Administration”, Part.4, Chapter. 5, (2019).

3. National Fire Agency, “National Fire Agency Statistical Year-book”, (2022).

4. T. H. Kim, J. G. Kim, N. K. Woo and J. H. Kim,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Work and Training to Make Better Korean 119 Dispatcher's Response Ability”, Journal of the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Vol. 13, No. 4, pp. 550-561 (2017), https://doi.org/10.15683/kosdi.2017.12.31.550.
crossref
5. K. S. Kim, K. W. Joo, H. Kim and E. S. Kim, “Provincial 119 Report on the Improvement of Situation Management in the Situation Room”, The Service of the Fire Department, Jeonbuk, (2015).

6. The United States Federal Government, “911 Master PSAP Registry”, Available From: https://www.fcc.gov/general/9-1-1-master-psap-registry, (accessed November 29, 2023).

7. 911 Call Center Accreditations and Awards, “Emergency Communications Accreditations and Awards”, Available From: https://raleighnc.gov/safety/emergency-communications-accreditations-and-awards, (accessed November 22, 2023).

8. NFPA 1061, “Standard for Public Safety Telecommunications Personnel Professional Qualifications”, (2018).

9. Kooperative Regionalleitstelle Nord, “Herzlich Willkommen bei der Kooperativen Regionalleitstelle Nord”, Available From: https://www.leitstelle-nord.de/, (accessed December 3, 2023).

10. Qualifikationsanforderungen für Leitstellenpersonal Integrierter Leitstellen, “AG Berufsbild Leitstelle Ergebnisdarstellung Stand”, German Society for Control &Claim Management eV, German, (2015).

11. Qualifikationsanforderungen für Leitstellenpersonal Integrierter Leitstellen, “AG Berufsbild Leitstelle Zusammenfassung Stand”, German Society for Control &Claim Management eV, German, (2016).

12. Technical Committee Subcommittee, “Praktika Leitstellenausbildung Stand”, “Qualification of Control Center Dispatchers for Work in Integrated Control Centers, Appenix”, Vol. 3. Berlin (2016).

13. Geretsried State Fire Service Training School, “Stunden in Lernfeldern Stand”, AVBayFwG:§8 Training of Dispatchers of Integrated Control Centers, Bayern, (2015).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835 View
  • 29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Fire Sci. En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