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8(4); 2024 > Article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른 이해관계자 행동 의도의 차이에 관한 연구

요 약

본 연구는 서울 공동구 스마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이 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을 측정 분석하고 규명하여, 향후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횡단 전개 확대 시 효과적 시행 방향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해관계자로 하였고, 2023년 10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단순 무작위표본추출 방법에 의하여 400명을 선정하였다. 스마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에 따라 시스템 이해관계자의 행동 의도가 의미 있는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기 위해 평균 차이 검증(t-test)과 일원 분산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공동구에 스마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 시 시스템의 품질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한 해당 공동구 관리기관의 시스템 외부 환경, 연관 자원의 개발,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품질과 행동 의도 등에 대한 고려도 필요함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조사 대상 기관의 보안 관리상 접근 제한 시설 특성으로 인해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지만, 기존 선행연구들과 달리 이해관계자 특성에 따라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품질이 차이를 보이는지, 시스템 외부 환경과 서비스 품질을 기준으로 고객만족도와 행동 의도의 영향 관계를 측정 분석하는 연구 모형을 제시한 연구 사례로서 학술적 의의가 있다.

ABSTRACT

This study aims to measure, analyze, and identify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Disaster-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Seoul district in terms of system quality,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s, as well as to derive effective implementation directions for expanding similar systems in the future.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stakeholders of the Smart Seoul Communal District Disaster-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n addition to 400 people selected via random sampling from October 23 to November 11, 2023. A mean difference test (t-test) and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are conducted to determine whether the behavioral intentions of the system stakeholders are affec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smart disaster-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he result shows that when introducing a smart disaster-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to a utility, one must consider not only the quality of the system but also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utility-management agency’s system, the development of related resources, the service quality of the software used, and the behavioral intentions to maintain the service quality. In this study, the representativeness of the sample is not secured because of restricted access to facilities arising from the associated security management. However, the quality of the disaster-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iffers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akeholders. This study is meaningful as it presents a model that can measure and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based on the external environment of the system and service quality.

1. 서 론

1.1 연구의 목적 및 범위

우리나라 경제가 급속히 성장함에 따라 건축물이 대형화되어 가고 이와 더불어 지하 공간의 효과적인 활용이 필요하게 되었다. 또한 도시의 입체적 개발과 함께 현대 도시에서는 생활의 기반이 되는 전력, 통신, 상하수도, 난방관 등 각종 공익 생활기반 시설물의 지중화 작업이 추진되고 있다(1). 특히 이 중에서 공동구는 2종 이상의 생활기반 시설물을 공동으로 수용, 공급하는 지하시설로서 도시생활에 필요한 각종 도시생활 기반 인프라 시설을 통합 관리하기 위해 하나의 공간에 응집시켜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게 함은 물론 도시 미관 향상에 긍정적 영향의 장점이 있으므로 점차 확대 설치되고 있는 상황이다. 공동구는 지하에 전력, 통신, 수도, 난방관 등의 지하시설물과 통합 설치하여 유지관리 및 재난 대응능력을 강화하는 중요 시설물로 우리 일상생활에 있어서 필수적이고 국가 기능에 있어서도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는 도시 생활기반 인프라 시설로 매우 중요시되고 있다.
그러나 우리나라는 현재 국토계획법상 규정된 공동구의 수는 전국적으로 총 30개소로 양적으로도 부족하고 각각의 공동구 관리도 국토교통부의 공동구 설치 및 관리지침 개정 2023년 4월 4일 훈령 제1608호, 서울시의 『공동구 안전 및 유지관리』 5개년 계획: 2023∼2027년 등이 마련되어 있으나 강제 규정이 아니고 또한 일부 지자체는 이러한 관리지침조차 미비한 실정이다.
또한 공동구 관리에 있어서도 지방자치단체에서 직접 관리하거나 시설관리공단, 위탁관리기관 등을 통해 관리하는 등 관리 방법이 일원화되지 못하여 각 지자체의 판단에 따라 관리 주체가 상이하고 관리 방법에 있어서도 다양한 방법이 혼재되어 있고, 공동구 유지관리 비용 분담 기준도 불명확하고 현실을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1).
도시 계획에 있어서도 공동구 관리주체, 관리 방법, 유지관리 비용 분담 등을 명확하게 하지 않아 많은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특히,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과 운영의 효과성이 입증되고 있는 가운데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와 유지관리 비용의 분담, 미래 재난 예측을 통한 안정적인 방재 등을 위해서는 법 제도 마련과 더불어 운영 솔루션 구축과 운영 비용 분담의 명확화는 반드시 필요한 부분들이다.
본 연구는 서울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에 대한 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등을 측정 분석하여 공동구 재난안전의 효율적 관리 및 재난 대응능력 강화를 위하여 스마트 기술 도입의 확대 전개 시행의 당위성을 입증하고 시스템 이해관계자인 점용 기관의 비용 부담 완화, 공동구 복합재난관리의 편의성 향상 및 재난 발생 시 선제적인 재난대응 효과 등을 기대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하였다(2).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연구범위를 서울시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는 8개 지역 공동구에 도입되어 있는 스마트 재난관리정보시스템으로 한정하여 이해관계자를 설문대상으로 정하고, 2023년 10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단순 무작위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400명을 선정, 300명에게는 구글 온라인 설문 링크를 포함한 이메일과 카카오톡으로 보내고, 인쇄한 설문조사지 100부를 100명에게 보내는 등 총 400명을 선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2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현대 사회는 자연 재해, 인재, 테러, 전염병 등의 다양한 재난에 직면하고 있다. 이러한 재난은 사람들의 생명과 재산에 큰 위협이 되며, 국가와 지역 사회의 안전과 번영을 위협한다. 재난이 발생했을 때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이 필수적이며, 이를 위해 재난관리 정보시스템(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DMIS)의 도입과 활용이 중요하다.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며, 다양한 정보를 수집, 분석, 공유하여 효과적인 재난관리를 가능하게 하는 시스템으로서, 재난 발생 시 필요한 모든 정보를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데 다음의 역할을 수행한다.
첫째, 이 시스템은 지리정보시스템(GIS),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통신 시스템 등 다양한 기술을 통합하여 재난 대응을 지원한다.
둘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주요 기능으로는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관리한다.
셋째, 센서와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실시간으로 재난 상황을 모니터링하고,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며,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최적의 대응 방안을 제시한다.
넷째, 재난관리 기관, 정부, 지역사회와 정보를 공유하여 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다섯째,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인 대응을 지원하며, 재난 후 복구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한다.
여섯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다양한 정보와 자원을 통합적으로 관리하여 신속하고 정확한 대응을 가능, 재난 발생 가능성을 예측하고, 예방 및 대비 활동을 체계적으로 지원, 한정된 자원을 효율적으로 배분하고, 재난 대응의 효과를 극대화, 정확하고 투명한 정보 제공으로 신뢰성을 확보하고, 혼란 최소화 등 장기적인 관점에서 재난관리 체계를 구축하여 지속가능한 안전 사회를 구현에 기여한다.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다양한 구성요소로 이루어져 있다. 주요 구성요소는 지리 정보 시스템(GIS)으로 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고 분석하여 재난 대응을 지원한다. GIS는 재난 발생 지역의 지리적 특성을 파악하고, 자원 배분 및 이동 경로를 최적화하는 데 유용하며, 센서 네트워크는 기상, 지진, 홍수 등 다양한 재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모니터링하는 센서 네트워크를 통하여 신속한 대응을 가능케 한다. 데이터베이스는 재난 관련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저장하고 관리하여 필요 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 통신 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해 통신 시스템을 구축하고, 재난관리 기관 간의 협력을 강화하는데 기여한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재난 관리 담당자들이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여 시스템의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에서는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적극적으로 운영하고 있다.
미국의 federal emergency management agency (FEMA) 시스템은 지리 정보 시스템, 센서 네트워크, 데이터베이스 등을 통합하여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정보를 제공하고, 자원의 배분을 최적화하여 대응의 효율성을 높이는 형태로 재난 대응을 지원하고 있다.
일본의 J-ALERT 시스템은 지진, 쓰나미, 화산 폭발 등의 재난을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경고를 발령하는 시스템으로 재난 발생 시 국민들에게 신속하게 경고를 전달하여 피해를 최소화하는데 기여하고 있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시스템은 센서 네트워크와 GIS를 활용한 실시간 모니터링과 자원 배분 최적화를 통하여 지하 공동구를 모니터링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서울시는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2018년부터 도입하여, 재난의 예방, 대비, 대응, 복구의 모든 단계를 지원하는데 활용하여 효과를 보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ICT 기술 발전과 함께 보다 발전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을 확대하려는 정책이 타당한지 입증하기 위하여 해당 시스템을 도입한 경우 시스템 품질이 개선되고 이용자의 만족도가 증가하였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1.3 기존 문헌 검토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유용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행동 의도에 관한 문헌을 검토하여 정리한 결과는 Table 1과 같다. 기존 문헌을 분석해 보면 DeLone과 McLean (2003)은 정보 품질이 사용자 관점에서 이루어지는 경향이 많아 사용자 만족의 일부분으로 완전성, 보안성, 개인성, 관련성, 용이성을 주장하였다. 최종민(1993)은 정보기술 품질의 측정에서 시스템 사용이 강제적인 경우는 사용자 만족을 측정하고 자발적인 경우는 이용도를 측정하여야 한다고 제시하였다(3).
Table 1
System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and Behavioral Intention of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Key Contents
Sortation Researcher Study Topic
Information Quality DeLone & McLean (1992) Information Quality is Defined as Part of User Satisfaction because it Tends to be Done from a User’s Point of View.
Choi Jong-min (1993) Information Technology Measurement Suggests that User Satisfaction Should be Measured when the System is Compulsory, and User Satisfaction Should be Measured when it is Voluntary.
System Quality DeLone & McLean (2003) Based on the Evaluation and Verification of Other Researchers on the Existing Model 1992, the Need to Modify Measurement Variables and Factors in Line with the Changing Trend of the Times, and to Change the Structure of the Model is Recognized and Improved to Present a Modified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 and the Measurement of System Quality is Defined as Reflecting Technical Characteristics Including Adaptability, Usefulness, Reliability, Response Time, and Usability.
Yoon Joon-young (2014) It is Argued that System Quality is Evaluated as an Important Factor in Building Accuracy, Timeliness, and Reliability of Information Generation.
Service Quality Parasurman et al. (1988) Service Quality is Defined as Quality Perceived by Users as a Concept of Subjective Quality, not Objective Quality.
Customer Satisfaction Ives et al. (1993) User Customer Satisfaction was Divided into Two Dimensions: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Provided by the System and Satisfaction with the System Usage Sector, and Customer Satisfaction was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Satisfaction with the Information System Itself and Satisfaction with Hardware Computer Usage Information.
Treacy (1985) The Degree to which System Users Believe that the Information System is Useful in Satisfying the Information they Request is Defined as an Indicator of Perceived Effectiveness of the Information System.
Ahn Jae-young (1995) Information System User Customer Satisfaction is Defined as Measuring the Usefulness of the System for Users to Make Decisions, Rather than Directly Measuring the Degree to which they Support Users’ Decision-Making.
Breki & Huff (1985) In the Studies so Far, the Performance of MIS Mainly Uses Proxy Values, but User Satisfaction and System Utilization are Often Used as Proxy Values. It is Argued that Dual System Utilization is not a Desirable Measure when the Use of the System is Compulsory.
DeLone과 McLean (2003)은 시스템 품질의 측정은 적응성(adaptability), 유용성(availbility), 신뢰성(reliability), 응답성(반응속도, response time), 사용성(usability)을 포함한 기술적 특성을 반영한다고 주장하였다. 윤준영(2014)은 시스템 품질이 정보 생성의 정확성, 적시성, 신뢰성 등을 구축하는 중요한 요인으로 평가한다고 제시하였다.
Parasuraman 등(1988), 성백춘(2006)은 서비스 품질이 일반적으로 객관적 품질이 아니라 주관적 품질의 개념으로서 소비자에 의해 지각된 서비스의 품질이라는 의미로 정의하고 있다.
Ives et al. (1993)는 이용 고객만족도를 시스템이 제공하는 정보에 대한 만족과 시스템 사용적 부문에서의 만족, 두 가지 차원으로 구분하였고 이용 고객만족도를 정보시스템 자체에 대한 만족과 하드웨어적인 컴퓨터 사용 정보에 대한 만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Treacy (1985)는 시스템 이용자들이 자신이 요구한 정보를 충족시키는데 해당 정보시스템이 유용하다고 믿는 정도로서 정보시스템이 인지된 효과성 지표라고 정의하였다. Breki와 Huff (1985)와 안재영(1995)은 지금까지의 연구에서는 주로 관리 정보 시스템(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MIS)의 성과는 대리치를 사용하고 있는데, 그 대리치로서는 흔히 사용자 만족도와 시스템 이용도가 사용되고 있다. 이중 시스템 이용도는 시스템의 사용이 강제적인 경우에 바람직한 척도가 되지 못한다고 주장하였다(4).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통하여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에 대한 측정 변수를 도출하였다.

2. 이론적 고찰

2.1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의 개념

스마트 공동구 재난 예방 및 대응의 선제성 및 효율성 제고로 센서, IoT, AI 등의 신기술 융합 적용을 통해 실시간으로 재난 발생을 감지하고, 예측할 수 있다. 또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에 취약한 지역과 시설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대응책을 마련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재난 발생을 예방하고, 재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5).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는 재난 발생 시 신속한 재난 초동조치가 매우 중요하므로 현장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이를 공유함으로써 신속하고 효율적인 대응을 지원하여야 한다. 또한,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재난 피해를 최소화하고, 복구 속도를 높일 수 있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의 민⋅관 협력 활성화를 위해 각종 센서, IoT, AI 등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기 때문에, 민간 기업의 참여가 필수적이다. 이를 통해 민⋅관 협력을 활성화하고, 공동구 복합재난관리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6).
이러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는 공동구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복합재난으로부터 안전한 국가 사회를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향후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민⋅관 협력이 더욱 활성화된다면,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최소화하고, 재난에 강한 사회를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지하공간 통합정보관리, 재난 예측 및 방재, 시설물 관리 및 유지 보수 등의 기능을 제공하여 공동구의 안전성을 향상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구체적인 사례를 살펴보면, 서울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 IoT 레일 로봇과 AI 조기 대응 시스템을 도입하여 AI 사고 위험 예측으로 선제적으로 사전 공동구 복합재난예방관리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이러한 인공지능(AI)를 활용한 재난 예측 시스템은 기상청의 기상예보와 연계하여 재난의 발생 가능성을 조기에 감지하고, 예측함으로써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다.
레일형 로봇 시스템 적용한 사례에서 보면, G 지역 공동구에서 레일형 로봇이 시간당 1회 순찰을 통해 구조물 및 수용시설의 상태를 감시하고 영상 정보를 통한 현장성과 실시간성을 확보해서 정보의 신뢰성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었다.
국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구축 현황은 Table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은평, 안동, 세종, 광주, 해운대 등에 구축하여 운영 중에 있다.
Table 2
Status of Construction of the Smart Apartment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Sortation Eunpyeong Andong Sejong Gwangju Haeundae
Year 2019 2019~2020 2019~2020 2020 2021
Construction Performance (Administrative Extension, km) 2.4 3.3 14.6 4.8 4.7
Key Technologies Rail Robot Vibration Detection Vibration Detection /Rail Robot DTS /Railbot DTS /Complex Sensor /Rail Robot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공동구의 안전성을 향상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하며, 재난 발생 시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하는 핵심적인 시스템이다. 스마트 출입관리 기술의 지문인식 동작은 공동구 내부 환경 및 복합재난 환경까지 고려하여 적용하였다. 스마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하드웨어적 구성요소로는 영상인식 카메라, 데이터 저장소 및 센터, 데이터 보안, 유무선 통신 모듈, 원격제어 모니터링, 데이터 축적, 메인 컨트롤러, 레일형 로봇 영상 취득 장치, 로봇 동체, 로봇암, 센싱, 자동소화기, 레일, 레일 전원 공급 장치, CCTV 등이 있다. 이러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공동구의 구조물 상태, 내부 시설물의 상태, 재난 발생 위험 등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분석함으로써 공동구의 안전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공동구의 유지관리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유지관리를 지원하고, 유지관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요약해서 정리하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은 재난 발생 시 현장의 상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하고, 재난 발생 경보를 발령함으로써 신속한 대응을 가능하게 한다(7).

2.2 스마트 공동구 재난안전 관리의 시설 설치 기준

공동구 내공 단면 설계 관련 주요 기준으로 활용되고 있는 공동구 설치 및 관리지침[시행 2023년 4월 4일] [국토교통부훈령 제1608호, 2023년 4월 4일, 일부개정]에는 공동구 설계 기준의 주요 설계 기준 항목들이 있다.
공동구 설치 및 관리지침은 ‘국토계획법’에 따라 공동구 내 수용되어야 하는 시설물의 설치 기준을 정하고 있으며, 제2장 공동구 설치 중 ‘제2절 공동구 내 수용시설’, ‘제3절 부대설비’에 공동구 단면 설계와 관련한 수용시설 배치 및 부대설비 설치 지침을 규정하고 있다(8).
공동구 설계 기준(국토교통부, 2018)은 ‘제4장 설계 4.1 구조물 설계’에는 시설 한계 및 내공 치수, 최적 단면 결정 및 배치와 관련한 사항들이 규정되어 있으며, ‘4.2 부대설비’에는 공동구내 설치되는 기계 설비, 전기 설비, 소방 시설 등의 설계 기준과 개착식 공동구의 본체 및 수용시설 상세 배치 표준이 제시되어 있다. 현행 공동구 일반적인 설계 기준 요구사항은 “공동구 설계 기준”에서 정의하고 특히, 공동구에 사용되는 전기 설비는 “공동구 전기 설비 설계 기준(KDS 31 85 20)”을 인용하고 있다.
공동구 설계 기준(2010)은 제정 이후 코드체계 통합, 한국산업표준 건설기준, 행정안전부 내진설계 기준 반영 등의 목적으로 개정되었다.
기계설비 요구사항으로 환기설비는 환기설비 설계 기준(KDS 31 25 20)에 따르고, 급⋅배수설비는 급수설비 설계 기준(KDS 31 30 15)에 따른다.
전기 설비 요구사항은 공동구 전기 설비 설계 기준(KDS 31 85 20)에 따르고, 소방시설 요구사항은 국가화재안전기준(NFSC)을 따른다.
공동구 관리시스템의 요구사항으로 ① 통제 상황실, 관리사무소, 통합 관리 센터는 공동구 규모, 효율적 관리를 고려하여 설치⋅운영한다. 또한 ② 관리시스템은 주변의 노선 현황과 개별 공동구의 통합 범위를 고려하여 선정하며, 단기적⋅중기적⋅장기적 계획을 고려하여 통제 상황실, 관리사무소, 통합 관리 센터를 계획한다. 그리고 ③ 관리 시스템의 구성은 통합감시⋅자동설비 제어시스템⋅방범시스템⋅운영 관리 시스템 등으로 기능적인 측면을 고려한다(9).
중앙통제설비는 공동구 내 설비시스템을 감시하고, 각종 설비를 자동으로 운전하며. 공동구에 관한 자료를 기록, 보관 및 분석하는 중앙통제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중앙통제장치를 원활하게 운용하기 위하여 무정전전원장치를 설치하여야 한다. 공동구 관리사무소에 중앙통제설비를 수용할 통제 상황실을 설치하고, 다른 공간과 따로 구획하여 통제구역으로 설정하여 관계자 외의 출입을 엄격히 통제하여야 한다. 중앙통제설비 설계 기준은 감시제어설비(전기분야) 설계 기준(KDS 31 75 10)에 따른다. 공동구 내부와 공동구 관리사무소 사이에 교신이 가능하도록 비상전화⋅인터폰 등 유선통신 설비를 공동구 내 주요 지점에 설치하여야 하고 무선통신보조설비를 설치⋅운용하여야 한다. 소방서, 경찰서와의 긴급 연락을 위해 공동구 관리사무소와 소방서⋅경찰서는 비상전화 또는 비상벨 등을 통하여 긴급히 연락할 수 있는 핫라인 통신체계를 갖추어야 한다. 또한 공동구 관리자는 공동구 관리사무소에 설치되어 있는 중앙통제 시스템이 소방서⋅경찰서 등에 연결될 수 있는 자동화 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공동구의 화재 재난을 예방 대응하기 위한 자동 화재 탐지설비 시스템을 설치하여야 한다. 공동구 소방시설은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 관리에 관한 법령 및 화재안전기준을 따르고 소방전기 설비에 관한 사항은 소방전기 설비 설계 기준(KDS 31 80 30)을 따른다.
공동구 내에 시설되는 배관. 배선은 유지관리가 용이하도록 온도, 습도 유지, 유해가스 및 악취 제거 등의 목적으로 환기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환기를 위한 공기 유속은 2.5 m/s 이상을 전구역에서 유지시켜야 하며, 외부 공기는 입구, 출구 및 환기구에서 유입되게 하여야 한다. 또한 비상시를 위하여 환기는 정방향, 역방향으로 공기흐름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화재 시를 대비하여 환기 팬은 250 ℃에서 60 min 이상 가동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환기구는 250 m 이내의 간격으로 설치하고, 시뮬레이션을 통하여 설치 간격을 결정할 수 있으며, 환기구로 유입되는 소음은 생활소음규제기준 이하가 되도록 하고 오염물질이 유입되지 않도록 공기의 유속은 5 m/s 이하가 되도록 해야 한다. 환기구를 이용하여 공동구 내로 장비 반입 및 점검 관리자가 입출입이 가능하도록 한다(10-12).

3. 조사 설계

3.1 표본 설계와 자료 수집 방법

이 연구의 조사대상은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운영 관리 및 사용에 직⋅간접적으로 경험이 있는 사람들이다. 자료 수집은 구글 설문지를 통한 전자설문을 주로 하였고 공동구 시설물의 보안 관리 사정상 일부 인터넷을 사용할 수 없는 여건을 고려하여 종이 설문지 응답 방법을 일부 병행 사용하였다. 설문 대상은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해관계자를 대상으로 2023년 10월 23일부터 11월 11일까지 단순 무작위표본추출방법에 의하여 400명을 선정, 300명에게는 구글 온라인 설문 링크를 포함한 이메일과 카카오톡으로 보내고, 인쇄한 설문조사지 100부를 100명에게 보내는 등 총 400명을 선정하였다.
설문지 조사는 시설 운영 관리자 및 유지 보수관리자 등에게 시스템 외부환경 필요성, 정보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행동 의도 등에 대한 객관적인 질문의 문항을 포함한 설문지를 배포하여,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이 시행된 이후의 시스템 운영에 대한 고객만족도, 행동 의도 등을 측정하였다. 인터뷰는 관계자들 중 일부를 선정하여 개별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여, 개선 방안에 대한 소감과 만족도 등에 대한 자료를 수집할 수 있었다.

3.2 연구 방법

3.2.1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의 시스템 품질, 만족도, 행동 의도 연구 모형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이 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모형 설계를 위하여 시스템의 속성, 즉 독립변수들은 Delone과 McLean (2003) 모델에서 차용하였다(13).
즉, Delone과 McLean (2003) 모델은 정보시스템의 시스템 서비스 품질이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정보 품질은 선행연구 Delone과 McLean (2003) 모델의 보완성, 완전성과 연관성, 이해 용이성 중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서 다루는 정보의 특성상 보완성은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 정보 품질의 완전성은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되는 정보 범위와 수준이 충분 정도’를 말하며 연관성은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되는 정보가 업무 수행에 활용하기 적합한 연관 정도’를 용이성은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서 산출된 정보의 명확성 정도’를 뜻한다.
시스템 품질은 Delone과 McLean (2003) 모델의 적응성, 가용성, 사용성, 신뢰성, 응답성 등을 참고하여 사용성, 신뢰성, 상호 작용성을 선정하였다. 이는 선행연구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업무의 특성상 적응성과 응답성은 재난 예⋅경보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도가 미비하기에 이를 제외하였으며, 신뢰성은 ‘시스템이 제공하는 기능을 사용자가 신뢰한다고 느끼는 정도’로, 사용성은 ‘시스템을 활용할 때 사용자가 느끼는 쉽고, 편리한 정도’ 등으로 재정의하여 사용하였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이 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에 미치는 영향 요인 발굴을 위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시스템 외부 환경요인 필요성에 대해 정의를 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지표를 재난예방, 재난대응, 재난복구 분야로 세분화하여 영향 요인 측정지표를 발굴하였다. 측정지표 개발은 파라슈라만(Parasuraman) 방식을 이용하였으며 국내⋅외 선행연구 자료와 전문가 회의를 거쳐 개발하였고 시스템 외부 환경 측정지표 요인은 Table 3과 같다.
Table 3
System External Environmental Indicators of Smart Apartment Disaster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Item Classification Indicator Factors
Disaster Prevention Effect The Rates of Identification of Risk Factors in Common Areas
The Rate of Disaster Prevention Measures
Disaster Likelihood Reduction Rate
Disaster Response Effect Time to Identify the Situation in the Event of a Disaster
Disaster Response Time
Disaster Damage Minimization Rate
Disaster Damage Recovery Effect Time to Identify Disaster Damage Conditions
Disaster Recovery Time
Disaster Recovery Cost Reduction

3.2.2 변수의 조작적 정의, 측정항목

본 연구에서 변수의 조작적 정의를 위하여 과거 문헌연구를 고찰하였고, 설문 문항을 측정가능하도록 조작화하였다. 이러한 시스템 품질 측정변수의 측정항목과 조작적 정의 내용은 Table 4와 같다.
Table 4
Measurement Items and Operational Definitions of System Quality Variables
Variable Name Measurement Items Operational Definition References
Information System Quality Ease of Use The Degree to Which it is Easy to Learn and Use How to Operate DeLone & McLean (2003), Petter et al. (2008)
System Features The Degree to Which the Various Functions Required for the Job are Sufficiently Provided DeLone & McLean (2003), Petter et al. (2008)
Information System Quality Response Time Less Buffering, Faster Work Processing, Faster Software Response DeLone & McLean (2003; 2016), Petter et al. (2008)
Flexibility Compatible Compatible with Existing Systems the Degree to Which Something is Done Petter et al. (2008)
Reliability Degree to Which Error and Failure are Available DeLone & McLean (2003; 2016), Petter et al. (2008)
Service Quality Supply Seamless Supply and Demand of Equipment and Parts Required for Maintenance and Use DeLone & McLean (2003; 2016), Petter et al. (2008)
Responsiveness Quickly when Maintenance is Required the Extent to Which Measures are Taken
Expertise Maintenance Personnel are Professional the Degree to Which a Service is Provided
Behavioral Intentions Related Resources Staff Sufficient Number of Management (Maintenance) Personnel Multa & Mostert (2010)
Budget For System Use and Maintenance the Sufficient Amount of Financial Support Supported Wamoto & Hwang (2016)
Training The Degree of Professional Training Provided to Administrators to Facilitate System Administrators’ Smooth Delivery

3.2.3 자료분석 방법

본 연구에서 실증분석에 활용할 스마트 서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의 이해관계자 집단을 대상으로 시스템 외부 환경요인 필요성, 제공되는 시스템 품질, 이용 체험 고객 만족도, 이용 체험 행동 의도 측정 항목을 설문조사하여 실증분석하고자 SPSS 28.0을 활용하여 각 변수들의 기술 통계 값과 결측치 분석을 하였다. 또한 집단 차이 분석을 위한 독립 표본 T-test, 일원 배치 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독립 표본 T-test 분석 시 표본의 등 분산성 가정을 조사하기 위하여 Levene test를 실시하였다.

4. 연구결과

4.1 신뢰성과 타당성 분석

설문 문항 측정 도구의 내적일관성을 검증하고자 Cronbach’s α 계수에 의해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전체 측정항목에 대한 신뢰성 분석 결과 Table 5와 같이 Cronbach’s α 계수 값은 대부분 0.982로 매우 높게 나타났으며 요인별로도 대부분 0.9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매우 높다고 할 수 있었다.
Table 5
Reliability Analysis Results for All Metrics
Factor Variable Cronbach’s α No. of Items
System External Environment Facility Management 0.948 11
Maintenance Management 0.934 8
Quality of Information Systems Information Quality 0.953 10
System Quality 0.972 12
Customer Satisfaction System Experience Customer Satisfaction 0.947 6
The Intention of Action Reuse Intention 0.953 4
Recommendation Intention 0.958 5
Total Cronbach’s α 0.982
Sum of Items 56
또한 설문항목의 구성타당성 검증을 위하여 요인분석한 결과, KMO 측도값은 0.953으로 0.5 이상보다 높아 표본 적합도는 타당하다고 할 수 있었고, Varimax 직각회전 후 도출된 요인 적재량은 0.6 미만인 ‘전력시설 관리(0.539)’ 항목을 이외에는 모두 0.6 이상으로 요인에 대한 변수 구성의 타당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4.2 성별(여성, 남성)에 따른 t-Test 결과로 본 차이 분석

통상적으로는 디지털정보역량수준은 남성이 여성보다 높다는 연구가 있어 왔다. 이러한 결과가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시스템의 시스템 품질, 이용자 고객만족도와 행동의도에서의 차이로 이어지고 있는지 검증하기 위하여 응답자의 성별에 따른 t-test를 한 결과 (1 = ‘여성’, 2 = ‘남성’),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4.3 소속기관별(운영 기관, 유지관리기관)에 따른 t-test 결과로 본 차이 분석

응답자의 소속기관(운영 기관, 유지관리기관) 별 t-test 차이 분석 결과는 Table 6와 같다. 소속기관별(운영 기관, 유지관리기관) t-값이 시설관리, 유지 보수관리,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재이용 의도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추천 의도의 t-값은 소속기관별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t-값 = -1.827, p < 0.05).
Table 6
Results of t-Test Difference Analysis by Affiliated Organizations (Operating Organizations, Maintenance Organizations)
Sortation N Mean Standard Deviation t-Value
Facility Management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4.29 0.716 -0.685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4.35 0.655
Sum 313 8.64 1.371
Maintenance Management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4.10 0.817 -0.835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4.18 0.765
Sum 313 8.28 1.582
Information Quality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3.81 0.736 0.721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3.75 0.703
Sum 313 7.57 1.439
System Quality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3.84 0.746 0.538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3.79 0.786
Sum 313 7.63 1.532
Customer Satisfaction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3.90 0.767 0.359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3.87 0.793
Sum 313 7.77 1.560
Intention to Reuse An Operating Institution 193 4.01 0.830 -1.077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4.11 0.820
Sum 313 8.12 1.650
Intent to Recommend Aan Operating Institution 193 3.90 0.849 * -1.827
Maintenance Organization, Etc 120 4.08 0.819
Sum 313 7.98 1.667

4.4 근무기간별(1년 미만, 1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ANOVA 차이 분석

응답자의 근무기간(1년 미만, 1년 이상-10년 미만, 10년 이상) ANOVA 차이 분석 결과는 Table 7과 같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시스템 외부환경 하위 요인인 유지 보수관리에서 1년 이상~10년 미만 집단의 평균이 4.03, 10년 이상 집단의 평균이 4.31로 나타났고,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3.109, p < 0.05).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시스템 외부환경의 하위 요인인 시설관리 집단보다 유지 보수관리 집단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제공의 시스템 외부환경에 긍정적이었다.
Table 7
ANOVA Difference Analysis Results for Working Period (Less Than 1 Year, More Than 1 Year - Less Than 10 Years, More Than 10 Years)
Sortation Group N Mean Standard Deviation F-Value Scheffe Test Result
  ① Less Than a Year ② More Than 1 Year - Less Than 10 Years ③ More Than 10 Years
Facility Management 94 4.27 0.725 2.489
139 4.26 0.716
80 4.46 0.592
The Entire 313 4.31 0.693  
Maintenance Management 94 4.13 0.790 * 3.109      
139 4.03 0.838      *
80 4.31 0.708    *  
The Entire 313 4.13 0.797  
Information Quality 94 3.75 0.726 1.147
139 3.76 0.711
80 3.90 0.739
The Entire 313 3.79 0.723  
System Quality 94 3.76 0.754 1.924      
139 3.78 0.730      
80 3.96 0.809      
The Entire 313 3.82 0.761  
Disaster Information System Quality 94 3.98 0.613 3.061
139 3.96 0.612
80 4.16 0.578
The Entire 313 4.01 0.607  
Customer Satisfaction 94 3.83 0.751 1.206      
139 3.87 0.766      
80 4.00 0.819      
The Entire 313 3.89 0.776  
Intent to Reuse 94 3.99 0.796 1.184
139 4.02 0.795
80 4.17 0.909
The Entire 313 4.05 0.827  
Intent to Recommend 94 3.93 0.761 2.420      
139 3.90 0.877      
80 4.15 0.850      
The Entire 313 3.97 0.840  
The Intent of Action 94 3.96 0.742 1.844
139 3.96 0.812
80 4.16 0.843
The Entire 313 4.01 0.802  

① Less Than 1 Year, ② More Than 1 Year - Less Than 10 Years, ③ More Than 10 Years

재난정보시스템 품질 하위 요인인 정보 품질과 시스템 품질에서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 = 1.147, F = 1.924).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재난정보시스템 품질의 하위 요인인 정보 품질 요인과 시스템 품질 요인이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제공의 근무기간별 재난정보시스템 품질에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용 체험 고객만족도는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 = 1.206).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용 체험 고객만족도는 근무기간별 고객만족도에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용 체험 행동 의도 하위 요인인 재이용 의도와 추천 의도에서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 = 1.184, F = 2.420). Scheffe’ 사후 검정 결과, 이용 체험 행동 의도의 하위 요인인 재이용 의도와 추천 의도 모두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 대한 근무기간별 이용 체험 행동 의도에 긍정적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5. 결 론

5.1 연구결과의 요약

이 연구의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설문 응답 결과의 신뢰성을 판단하기 위하여 측정 척도의 신뢰성(reliability) 분석의 구성된 측정 도구의 내적 일관성을 검증하고자 Cronbach’s α 계수에 의해 신뢰성을 확인하였고 요인별로 대부분 0.9 이상으로 나타나 신뢰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성별에 따른 차이 분석(t-test)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이용자의 성별에 따른 디지털역량강화 방안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소속기관(운영 기관, 유지관리기관) 별 t-test 분석 결과는 시설관리, 유지 보수관리, 정보 품질, 시스템 품질, 고객만족도, 재이용 의도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지만, 추천 의도의 t-값은 소속기관별로 차이가 있었다(t-값 = -1.827, p < 0.05). 넷째, 연령(20대, 30~40대, 50대 이상) 별 ANOVA 차이 분석 결과는 시스템 외부환경 하위 요인인 시설관리에서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연령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7.551, p < 0.01). 다섯째, 고객만족도는 연령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6.452, p < 0.05, p < 0.01). 재이용 의도 및 추천 의도에서 연령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5.069, p < 0.05), (F = 7.757, p < 0.01). 여섯째, 응답자의 근무기간별 ANOVA 차이 분석 결과는 시스템 외부환경 하위 요인인 유지 보수관리에서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F = 3.109, p < 0.05). 일곱째, 서비스 품질, 고객만족도, 행동 의도 각각의 하위 요인에서는 근무기간에 따라 평균값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5.2 연구의 의미와 시사점 및 향후 연구 방향

본 연구는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의 시스템 품질과 만족도, 행동 의도 간의 영향 관계 분석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그 결과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첫째, 공동구에 스마트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 시 시스템의 품질뿐만 아니라 서비스 품질 유지를 위한 해당 공동구 관리기관의 시스템 외부환경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다. 또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외부환경 필요성이 높은 것에 비하여 낮은 수준의 서비스 품질 만족도는 시스템의 유지 보수 및 관리를 위한 환경과 역량이 갖추어져 있지 않다는 것을 뜻한다. 그리고 시스템 소프트웨어의 상호 호환성이 잘 작동되지 않는다는 일부 의견은 고객만족도 저하의 요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이해관계자들이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시스템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시스템 유지 보수를 위한 질 좋은 서비스 환경 구축이 필수적이다. 반면 낮은 서비스 품질은 향후 시스템 품질 만족도 또한 하락시킬 수 있는 위험 요소이기 때문이다.
만약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지원 계획 수립 시 관리기관이 시스템을 관리 및 유지 보수할 수 있는 환경이 제한적이라고 분석되었다면 시스템 구축이라는 인프라 구축 외에 기술 역량을 개발할 수 있는 별도의 지원 방안이 수반되어야 할 것이다(14).
둘째,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지속적인 도입과 이용 활성을 위해 연관 자원의 개발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부 관계 부처 시범 구축 사업 정책을 통해 지원된 정보시스템이 공동구 관리기관에서 시스템 품질을 유지하며 지속가능한 사용을 위해서는 서비스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연관 자원 마련 계획이 수립되어야 한다(15).
그러나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조사대상 기관의 보안 관리 상 접근 제한 시설 특성으로 인해 표본의 대표성을 확보하지 못했다는 한계를 가지고 있다.
둘째, 서울시 소재 스마트 공동구의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사례만을 대상으로 데이터를 수집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 결과를 전국 모든 공동구의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에 적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겠다는 일반화의 문제도 내포하고 있다.
셋째,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하드웨어인 정보시스템 품질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의 서비스 품질과 행동 의도에 대한 고려도 필요하다(16).
향후 기술집약적 성격의 정보시스템 도입 사업의 경우 정부 관계 부처와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하여 효과적인 지원 활성화 방안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기존 선행연구들과 달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의 사용자, 관리자, 유지 보수, 점검, 교육, 현장지원 등 세부적으로 구분하였고 시스템 외부 환경과 서비스 품질을 기준으로 고객만족도와 행동 의도의 영향 관계를 측정 분석하는 연구 모형을 제시한 연구사례로서 학술적 의의를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스마트 공동구 재난관리 정보시스템 도입의 효과성 제고를 위한 연구로서 최초 연구라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와 실무적 의의를 가진다고 할 수 있다.

References

1. M. H Kim and I. S Hong, “A Study on Ubiquitous Sensor Network Model for Underground Utility Tunnel Management”, Proceedings of the Korea Multimedia Society Conference, (2008).

2. S. J Kim, “A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Disaster Prevention System Using Smart IT Technology”, Doctoral's Thesis, Konkuk University (2020).

3. J. S Kim, C. W Lee, S. H Park, J. H Lee and C. H Hong, “Development of Fire Detection Model for Underground Utility Facilities Using Deep Learning:Training Data Supplement and Bias Optimiz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 - 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21, No. 12, pp. 320-330 (2020), https://doi.org/10.5762/KAIS.2020.21.12.320.
crossref
4. J. S Kim, C. H Hong, J. H Lee and S. H Park, “Development of Detection System for Abnormal Situation in the Underground Facility for Public Utilities Based on Deep Learning”,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51-52 (2021).

5. J. E Kim, M. S Lee and W. S Jung, “A Study on the Disaster Response Decision Support Method in Disaster Safety Platform of Underground Lifelines based on Digital Twin Technology”,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Sciences, (2021).

6. H. J Kim and W. S Jung, “Survey and Analysis of the Wireless Environment of the Underground Utility Tunnel for the Network of the Digital Twin-Based Fire Disaster Support Platform”, The Korean Society of Disaster Information, pp. 53-54 (2021).

7. S. K Nam, Y. S Oh, J. A Kang and S. K Ryu, “Development of Realtime Monitoring System based on USN for Safety Management of Underground Common Duct”,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pp. 1769-1772 (2009).

8. S. H Son, S. G Kwon, J. I Jung, I. S Weon and B. S Seo, “Smart Safety Management System by Using VR”, Journal of Civil and Environmental Engineering Research, pp. 188-189 (2022).

9. A. S Oh, “A Study on Automatic Switch Control System for Systematic Control and History Management of Underground Utility Tunnel 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Engineering, Vol. 19, No. 6, pp. 1443-1448 (2015), https://doi.org/10.6109/jkiice.2015.19.6.1443.
crossref
10. Convergence Research Policy, Infrastructure Deterioration Measures through SOC and ICT Convergence“, (2018).

11. J. A Jun, J. H Lee, C. H Chin, C. H Choi, S. J Lee, B. W Yum and I. H Lee, “IoT based Urban Underground Utility Monitoring and Management System”,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Trends, Vol. 30, No. 5, pp. 28-38 (2015).

12. J Kim, J. U Bang, S. B Shim and G. C Cho, “Experimental Study on Structural Integrity Assessment of Utility Tunnels Using Coupled Pulse - Impact Echo Method”, Journal of Korean Tunnelling and Underground Space Association, Vol. 25, No. 6, pp. 479-493 (2023), https://doi.org/10.9711/KTAJ.2023.25.6.479.
crossref
13. S. Y Hong, S. E Kim and H. M Lee, “Assessing the Effectiveness of the Disaster Information System Using an IPA Analysis from the Perspective of Users and Maintenance Managers:A Case Study of Mozambique”, International Area Studies Review, Vol. 25, No. 2, pp. 93-122 (2021).
crossref
14.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Ministry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Develops M2M-based Underground Space Disaster Response Interactive Smart Network System“, (2017).

15. J. Y Choi, “A Study on Maintenance Management and Fire Protection Measures in Underground Utility Tunnel”, Master's Thesis, University of Seoul, (2007).

16. Y. J Kim, “Development of Desig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Technology to Prevent Disaster and Strengthen Safety in Common Distric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006).

TOOLS
Share :
Facebook Twitter Linked In Google+ Line it
METRICS Graph View
  • 0 Crossref
  •    
  • 122 View
  • 7 Download
Related articles in Fire Sci. En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