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2 구획실 내 장애물이 있는 조건: 장애물의 위치 영향 검토
Figure 5에 구획실 내 장애물 위치가 화재 플룸의 거동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온도 분포 가시화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구획실 내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대한 가시화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Figure 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실 내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서는 화재 플룸이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는데, 이는 개구부를 통해 유입된 유동의 영향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과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1∼OL3에서도 Figures
5(b)∼
5(d)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 플룸이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화원과 개구부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4∼OL6에서는 Figures
5(e)∼
5(g)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 플룸이 개구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이 관찰되었다. OL4∼OL6은 장애물이 화재 플룸과 개구부 사이에 위치하여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이 화재 플룸에 직접적으로 접근하는 것을 막고 있는 조건이다. 이 경우,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은 장애물 측면을 통해 구획실 내로 유입되고, 유입된 유동은 구획실 공간에 의해 구속되어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쪽에서 개구부 쪽으로 이동하므로, 화재 플룸이 개구부 쪽으로 기울어지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구획실 내 장애물이 있는 경우, 화재 플룸의 거동은 앞서 언급한 개구부 유동의 영향뿐 아니라 장애물이 위치한 쪽에서 화재 플룸으로의 혼입(entrainment)이 제한되는 효과에 의해서도 영향받을 것으로 생각된다. 즉, 장애물, 화원, 개구부 간 상대적인 위치가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유동과 화재 플룸으로의 혼입에 영향을 미치고, 이러한 요인들에 의해 화재 플룸의 거동이 영향받는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5
Visualization of temperature distribution in compartment without (None) and with (OL1~OL6) obstacle.
Figure 6에 구획실 내 장애물 위치가
Figure 2의 Position ①에서 측정한 높이에 따른 온도 분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전산해석 결과를 나타내었다. 비교를 위해 구획실 내 장애물이 없는 조건의 결과를 함께 나타내었다. 모든 조건에서 구획실 바닥으로부터 측정 높이가 높아짐에 따라 온도가 상승하는 경향이 관찰되었다. 그러나 동일한 측정 높이에서의 온도는 장애물 위치에 따라 다른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장애물 위치가 구획실 내 온도 분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Figure 6
Temperature profile with measurement height in compartment without (None) and with (OL1~OL6) obstacle.
Figure 6에 나타낸 온도 분포 측정 결과를 토대로, 식(2)∼식(4)(
12)를 이용하여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와 두께를 도출하였다.
여기서, Hr은 구획실 바닥에서 천장까지의 높, Hi 는 연기층 높이, Tl은 구획실 내 하부 온도, Tu는 구획실 내 상부(연기층) 온도를 나타낸다.
Figure 7에 장애물 위치별 구획실 내 연기층 두께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장애물이 있는 조건은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비해 연기층이 얇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과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1∼OL3 중에서 OL3에서 연기층이 가장 얇았고, OL2, OL1 순서로 연기층이 두꺼워졌다. 또한, 화원과 개구부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4∼OL6 중에서 OL4에서 연기층이 가장 얇았고, OL5, OL6 순서로 연기층이 두꺼워졌다. 즉, 화원에서 장애물 위치가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또는 개구부 쪽으로 멀어짐에 따라 연기층이 두꺼워졌다.
Figure 7
Effect of obstacle location on smoke layer thickness.
Figure 8에 구획실 내 속도 분포 가시화 결과를 나타내었다. 장애물이 있는 조건에 비해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서 구획실 내 상부의 유동 영역이 넓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물이 있는 조건에서 화원으로부터 장애물 위치가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또는 개구부 쪽으로 멀어짐에 따라 상부 유동 영역이 넓어지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이러한 상부 유동 영역의 확장은 연기층 두께가 두꺼워지는 경향과 일치하는 것으로, 이러한 경향은
Figure 5에 나타낸 온도 분포 가시화 결과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8
Visualization of velocity distribution in compartment without (None) and with (OL1~OL6) obstacle.
Figure 9에 장애물 위치별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를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장애물이 있는 조건은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비해 연기층 온도가 대부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과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1∼OL3 중에서 OL3에서 연기층 온도가 가장 높았고, OL2, OL1 순서로 연기층 온도가 감소하였다. 반면, 화원과 개구부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4∼OL6 중에서 OL6에서 연기층 온도가 가장 높았고, OL4, OL5 순서로 연기층 온도가 감소하였다. 즉, OL1∼OL5의 경우, 화원에서 장애물 위치가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또는 개구부 쪽으로 멀어짐에 따라 연기층 온도가 감소하였다. 그러나 OL6의 경우, 장애물 위치가 화원에서 가장 먼 조건이지만, 연기층 온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Figure 9
Effect of obstacle location on smoke layer temperature.
Figure 9에 나타낸 장애물 위치에 따른 연기층 온도 경향을 분석하기 위해
Figure 10에 장애물 위치별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을 비교하여 나타내었다. 구획실 내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대해서는 전산해석 결과와 함께 기존 예측 상관식(
2)인 식(5)에 의한 예측값을 함께 나타내었다.
여기서, ṁg는 질량 유량, ρa는 공기 밀도, Ao는 개구부 면적, Ho는 개구부 높이, N은 중성대 높이, Ta는 구획실 주변 공기 온도, Tr은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를 의미한다. CD는 유 량계수로 본 연구에서는 0.7(13)로 적용하였다.
Figure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대한 본 전산해석 결과와 식(5)를 통한 예측값이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물이 있는 조건은 장애물이 없는 조건에 비해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과 화원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1∼OL3 중에서 OL3에서 질량 유량이 가장 적었고, OL2, OL1 순서로 질량 유량이 증가하였다. 또한, 화원과 개구부 사이에 장애물이 위치하는 조건인 OL4와 OL5 중 OL4의 질량 유량이 OL5보다 적었다. 즉, OL1∼OL5의 경우, 장애물 위치가 개구부 반대쪽에 있는 구획실 벽면 또는 개구부 쪽으로부터 화원에 가까워짐에 따라 질량 유량이 감소하였는데, 이는 장애물이 화원에 가까워짐에 따라 화원으로 혼입되는 주위 기체의 양이 장애물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반면, OL6의 경우, 장애물 위치가 화원에서 가장 먼 조건이지만 질량 유량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장애물이 개구부에 근접하여 개구부 유동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으로 추측된다.
Figure 10
Effect of obstacle location on mass flow rate on opening.
Figures
9와
10을 토대로 볼 때,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가 높은 조건에서는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적고, 연기층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는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은 다음과 같은 구획실 화재에 대한 열평형 관계식(
14)으로 설명될 수 있다. 구획실 내 화재 시 발생하는 열방출률(
Q˙)은 개구부를 통해 유출되는 고온의 가스 유동에 의한 열손실(
q˙g,loss)과 고온의 가스와 구획실이 접하는 경계면을 통한 열손실 (
q˙w,loss)의 합으로, 식(6)과 같이 단순화되어 표현(
14)될 수 있다.
여기서, hk는 유효 열전달 계수,Aw는 연기층이 구획실과 접하는 면적을 의미한다. 그리고 식(6)을 고온 연기층 온도로 정리하면 식(7)과 같이 표현된다.
식(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증가 또는 감소함에 따라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는 감소 또는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즉, 연기층 온도와 질량 유량은 반비례 관계), 이러한 경향을 Figures
9와
10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즉, 본 연구를 통해 장애물, 화원, 개구부 간 상대적인 위치에 따라 개구부 유동의 질량 유량이 변화하고, 이로 인해 구획실 내 연기층 온도가 달라진다는 것을 확인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