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2. 제연구역의 특성 및 설치기준
2.1 제연구역의 가압 방식별 특성
2.2 제연구역에 관한 국내외 기준
2.3 건물의 기밀성능 평가 기준
Table 1
3. 실험 시나리오
3.1 실험 시나리오 설정
Table 2
4. 제연구역 급기량 및 기밀성능 평가
4.1 계단실 단독가압(부속실 개방) 기밀성능
Table 3
4.2 계단실 단독가압(부속실 폐쇄) 기밀성능
Table 4
4.3 부속실 단독 가압방식 기밀성능
Table 5
4.4 계단실 및 부속실 동시 가압방식 기밀성능
Table 6
4.5 전체 기밀성능 결과 비교
Table 7
Table 8
Table 9
5. 결 론
(1) 각 가압방식별 압력차(10~60 Pa)에 따른 누설량을 측정한 결과, 계단실 단독가압은 부속실을 개방한 경우, 가압 시 801~2,204 m3/h, 감압 시 685~2,330 m3/h의 누설량을 보였고 부속실을 폐쇄한 경우, 가압 시 711~2,031 m3/h, 감압 시 611 ~2,231 m3/h의 누설량을 보였다. 부속실 단독가압은 가압 시 81~256 m3/h, 감압 시 85~249 m3/h의 가장 낮은 누설량을 나타냈다. 동시가압의 경우 가압 시 1,304~3,155 m3/h, 감압 시 1,578~3,943 m3/h로 가장 높은 누설량을 보였으나, 이는 각각의 단독가압 누설량 합 대비 37% 낮은 수준으로, 동시제연시 급기량이 낮아짐을 확인하였다.
(2) 누설특성 계수 분석 결과, 유동계수는 계단실 단독가압이 감압/가압 시 부속실을 개방한 경우와 폐쇄한 경우, 각각 211.3/143.1, 179.2/147.0로 나타났고 부속실 단독가압이 17.3/21.9, 동시가압이 399.7/468.5로 나타났다. 유체지수의 경우 계단실은 부속실 개방 시 0.572/0.688, 폐쇄 시 0.590/0.670, 부속실은 0.661/0.597로 층류, 난류 혼합흐름 특성을 보였으며, 동시가압은 0.501/0.515로 난류 특성이 지배적임을 확인하였다. 모든 측정에서 결정계수(R2)가 0.98 이상으로 나타나 높은 신뢰도를 확보하였다.
(3) 유효누설면적 분석에서는 50 Pa 기준(ELA50) 계단실이 부속실 개방 시 0.0620 m2, 폐쇄 시 0.0579 m2, 부속실이 0.0069 m2, 동시가압이 0.0960 m2로 측정되었다. 특히 단위면적당 유효누설면적을 비교한 결과, 외피면적 기준(ELAE50) 부속실이 3.302 cm2/m2로 계단실 0.657 cm2/m2, 0.613 cm2/m2과 동시가압 1.017 cm2/m2 대비 현저히 높은 값을 보였다. 이는 부속실의 작은 체적 대비 방화문, 설비 관통부 등 다수의 누설경로가 존재하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4) 50 Pa 기준 누설특성 비교 결과, 시간당 환기율은 계단실 단독가압이 2.17 회/h, 2.03 회/h, 동시가압이 3.36 회/h로 나타났으며 부속실이 36.32 회/h로 부속실의 높은 시간당 환기율은 타 가압방식 대비 제연설비의 낮은 가압 효율을 나타낸다.
(5) 압력-유량 관계 분석을 통해 각 가압방식별 급기량 예측식을 도출하였다. 계단실 단독가압은 부속실이 개방된경우 Q = 177.2 × P0.630, 부속실이 폐쇄된경우 Q = 163.1 × P0.630, 부속실 단독가압은 Q = 19.6 × P0.629, 동시가압은 Q = 434.1 × P0.508의 관계식을 얻었으며, 이는 건물의 형태 및 특성을 반영한 수치로 건물 내 급기량 산정을 위해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