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 Inst. Fire Sci. Eng. Search

CLOS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1998;12(3):21-30.
Published online September 30, 1998.
구획 화재시 창유리 파괴 현상에 관한 실험적 연구
이수경김종훈최종운이정훈
1서울산업대학교 안전공학과2서울산업대학교 안전공학과3서울산업대학교 재료공학과4LG 반도체
A Experimental Study on Window Glass Breakage in Compartment Fires
요약
본 연구는 실제 화재실험을 통하여 구획 화재 시 일어날 수 있는 창유리의 파괴 형태 및 시간 그리고 개구 조건과의 관계 등을 고찰하고자 했다. 화재 시 창유리의 파괴현상은 창호 유리 중간 부분과 프레입 안에 있는 유리부분의 현저한 온도차이로 인한 열웅력으로 일어남을 확인했다. 실험 1-3은 프레엄 내부와 유리면의 온도차가 233.4$^{circ}C$ 였으며, 실험 2-1은 138$^{circ}C$, 실험 2-2는 83.6$^{circ}C$의 차이를 보였다. 파괴 발생 시 실내의 온도는 실험 2-1의 경우 434.4$^{circ}C$, 실험 2-2는 83.6$^{circ}C$의 차이 를 보였다. 파괴 발생 시 실내의 온도는 실험 2-1의 경우 434.4$^{circ}C$, 실험 2-2는 440.6$^{circ}C$ 실험 2-3 은 400.9$^{circ}C$를 기록하여 화염이 직접 닿지 않는 경우의 균열은 400-50$0^{circ}C$의 온도에서 발생한다. 화재로 인한 창유리(한글라스 플로탱 유리)는 1541.14kW의 화재에 노출되었을 시 열웅력에 의한 파괴가 일어나기는 하나 유리면이 파괴에 의해 개구부가 되지 않는다.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relation of window glass breaking time, shape, and vent condition in a compartment fire through the experiment. We recognize the phenomenon that window glass breakage in a compartment fire be arose from the thermal stresses due to the temperature temperature difference was 233.4$^{circ}C$ for test 1-3, 138$^{circ}C$ for text 2-1, 83.6$^{circ}C$ for test 2-2. The interior test 2-2, 400.9$^{circ}C$ for test 2-3. so if the flame didn't reach at the surface of window glass, the breakage of glass occure at 40$0^{circ}C$~50$0^{circ}C$. when the fire size reached to 1541.14kW, the window might be broken by thermal stress. But window glass was not collapsed.
Key Words: compartment Fire, Window glass breakage, Experiment, Estimate time, Breaking shape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