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Paramedic Students

Article information

Fire Sci. Eng.. 2024;38(3):25-3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4 June 30
doi : https://doi.org/10.7731/KIFSE.45826bdb
오시윤,
한국교통대학교 대학원 응급구조학전공 대학원생
Graduate Student, Major in Paramedicin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Corresponding Author, TEL: +82-43-820-5211, FAX: +82-43-820-5212, E-Mail: soulomy@naver.com
Received 2024 April 19; Revised 2024 June 14; Accepted 2024 June 17.

Abstract

요 약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 감염관리 교육환경 개선과 임상 실습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마련하고자 수행되었다. 국내 2개 대학 응급구조학과 119명 재학생에게 온라인 및 서면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9.0 program을 사용하였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감염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를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는 감염관리 인식(β = .568, p < .001)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7.2%였다. 따라서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 시 감염관리 인식을 높이는 방안을 마련하여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Trans Abstract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mong paramedic students and provide foundational data to enhance the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nvironment and clinical training program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n online and paper questionnaire survey among 119 students from two domestic paramedic departments.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9.0 Program. Self-confidence in performing infection control was higher among students with higher knowledge of infection control and higher perceived importance. The factor influencing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was th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β = .568, p < .001), with an explanatory power of 57.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ise strategies to enhance the perception of infection control during educational sessions, thereby improving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1. 서 론

감염(infection)은 미생물이 숙주의 몸속으로 들어가 번식하는 현상을 말하며, 의료관련감염(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HAI)은 의료 서비스 제공 과정 중에 발생하는 감염을 의미한다(1).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 (coronavirus disease 2019, 이하 COVID-19) 팬데믹(pandemic)은 의료관련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재조명했으며, 이로 인해 응급구조사뿐만 아니라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역량도 중요하게 되었다(2). 「응급의료에 관한 법률 제43조의2」에 의해(3) 응급구조학과 학생은 소방현장실습과 병원 실습으로 실습 경험을 쌓게 되지만, 이러한 환경은 감염의 노출 위험이 높다(3-8).

소방현장실습에서는 119 구급대원과 함께 불특정 다수의 환자를 접촉하게 되며, 구급차 자체가 병원균의 저장소로 작용할 수 있다(3,4,6,7). 병원 실습에서도 응급실과 같은 다수인이 출입하는 공간에서 감염성 질환자와 접촉할 가능성이 높다(5,8). 이처럼 높은 감염위험 속에서 실습생은 감염원에 노출될 뿐만 아니라, 본인이 감염원이 되어 다른 환자에게 전파할 가능성도 있다. 이는 임상 실습 동안 일선 응급구조사와 같이 감염위험에 노출되는 반면, 전문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고, 감염 발생 후 적절히 대처하는 능력이 낮기 때문이다. 따라서, 임상 실습 과정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교육을 강화하고, 반복 훈련을 통해 이를 보완할 필요가 있다(9,10).

현재 국내에서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 연구(11-14)는 일부로 충분하지 않다. 뿐만아니라 응급구조학과 학생은 임상에서 감염관리에 대한 직접적인 실습 기회가 부족한 실정으로(15,16), 감염관리 수행 능력의 직접적인 평가보다는 감염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는 수행자신감에 초점을 맞춘 연구가 필요하다(14). 그러나 현재 국내에서는 응급구조학과 학생 대상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렵다.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13)에서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인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에게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에 대한 지식과 인식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감염관리 교육환경 개선 및 임상 실습 교육프로그램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실습생들이 감염관리 역량을 강화하여 실습 중 발생할 수 있는 감염위험을 줄이고, 보다 안전한 실습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고자 한다.

2. 연구방법

2.1 연구설계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및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관련성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 연구대상자

본 연구대상자는 국내 2개 대학 응급구조학과에 재학 중인 학생 119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본수는 G*power 3.1.9.7 program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가 없어 회귀분석에 필요한 중간정도의 효과크기 .15, 검정력 .95, 유의수준 .05로 설정하였을 때 표본수는 74명이었다. 중도 탈락을 고려하여 120명의 대상자에게 서면 설문 및 온라인 설문을 배포하였고 총 119부가 회수되어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2.3 연구도구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5문항, 감염관리 지식 42문항, 감염관리 인식 40문항,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40문항에 대해 자기보고 방식의 설문지를 활용하여 서면 및 온라인 배포 이후 수집된 응답을 분석하였다.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측정도구는 선행 연구(13)에서 개발된 문항을 사용하였으며, 본 측정도구의 사용 허락을 선행 연구자로부터 받은 후, 응급구조학과 교수 1인의 자문을 받아 응급구조학과 학생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였다.

2.3.1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지식은 표준화된 감염관리에 대해 알고 있는 정도(17)로, 이를 측정하기 위해 국내 질병관리청의 의료관련감염표준예방지침을 근거로 Kim 등(13)이 개발한 감염관리 지식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42문항으로 7개의 하위영역(표준주의 6문항, 손위생 6문항, 개인보호구착용 13문항, 안전주사실무 9문항, 무균술 3문항, 환경관리 2문항, 폐기물 관리 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역문항 16문항을 포함한다. ‘정답’ 1점, ‘오답과 모른다’는 0점으로, 점수범위는 0점에서 42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지식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Kim 등(13)의 연구에서 Kuder-Richardson 20 (KR 20) = .824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927이었다.

2.3.2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인식은 감염관리에 대해 얼마나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주관적으로 표시하는 것을 말한다(18). 본 연구에서는 Choi 등(19)이 개발하고 이를 Kim 등(13)이 수정⋅보완한 감염관리 인식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40문항으로 8개의 하위영역(손위생 5문항, 개인보호구 5문항, 호흡기 에티켓 5문항, 안전 3문항, 의료 직물 및 환경 3문항, 전파경로별 주의 9문항, 개인위생 6문항, 예방접종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전혀 중요하지 않다’ 1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5점으로, 점수범위는 40점에서 200점이다.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인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Kim 등(13)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 .995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992이었다.

2.3.3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감염관리 조치를 수행하는 데 있어 확립된 지침과 절차에 따라 실제로 실행해 낼 수 있다는 확신의 정도를 의미한다(14). 이를 측정하기 위해 Choi 등(19)이 개발하고 이를 Kim 등(13)이 수정⋅보완한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측정 도구로 측정하였다. 총 40문항으로 8개의 하위영역(손위생 5문항, 개인보호구 5문항, 호흡기 에티켓 5문항, 안전 3문항, 의료 직물 및 환경 3문항, 전파경로별 주의 9문항, 개인위생 6문항, 예방접종 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L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여 ‘수행할 자신이 전혀 없다’ 1점에서 ‘항상 수행할 자신이 있다’ 5점으로, 점수범위는 40점에서 200점으로 점수가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음을 의미한다. 본 도구의 신뢰도는 Kim 등(13)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 .99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99이었다.

2.4 자료수집

자료수집 기간은 2023년 12월 11일부터 2024년 1월 15일까지 36일 동안 이루어졌다. 국내 응급구조학과 2개 대학의 학생에게 연구목적과 내용에 관해 설명하였고 동의를 받은 후 서면 설문 및 온라인 설문 형식으로 배부되고 회수되었다. 연구 참여자에게 서면과 온라인으로 제공된 설명문을 통해 연구목적, 자발적 참여, 익명성 보장, 그리고 수집된 자료의 연구목적 이외로의 사용금지를 안내하였다. 또한, 참여 소요시간을 설명하고 연구 참여 중 언제든 참여를 중단할 수 있음을 공지하였다. 이에 연구 참여에 동의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2.5 자료분석

자료분석은 SPSS 29.0 program을 사용하여 진행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분석은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였다. 일반적 특성에 의한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차이는 t-test와 ANOVA로 분석하였고, 사후분석은 Scheffé test로 시행하였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r regression)을 시행하였다.

3. 연구결과

3.1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Table 1과 같다. 성별은 남성이 51.3% (61명), 여성이 48.7% (58명)로 남성이 많았고, 학년은 1학년 25.2% (30명), 2학년 27.7% (33명), 3학년 29.4% (35명), 4학년 17.6% (21명)로 3학년이 많았다. 전공만족도는 만족이 66.4% (79명), 보통이 31.1% (37명), 불만족이 2.5% (3명)로 만족이 많았다. 실습 경험은 있다가 47.1% (56명), 없다가 52.9% (63명)로 없다가 많았으며 이 중 실습 장소로는 병원이 58.9% (33명)로 많았고 총 실습 주 수는 9주 이하가 67.9% (38명)로 많았으며 실습만족도는 만족이 55.4% (31명)로 많았다. 감염교육 경험은 있다가 67.2% (80명), 없다가 32.8% (39명)로 있다가 많았으며 이 중 감염교육 장소로 학교는 37.5% (30명), 병원은 23.8% (19명), 학교와 병원 모두는 38.8% (31명)로 학교와 병원 모두가 많았다.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3.2 연구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정도는 Table 2와 같다. 감염관리 지식은 총 42점 만점에 평균 27.72 ± 8.82점 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개인보호구착용 8.32 ± 3.25점, 안전주사실무 6.75 ± 2.52점, 표준주의 4.26 ± 1.56점, 손위생 3.48 ± 1.50점, 무균술 1.92 ± 0.96점, 폐기물관리 1.74 ± 0.87점, 환경관리 1.30 ± 0.80점 순이었다. 감염관리 인식은 5점 만점에 평균 4.68 ± 0.65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개인보호구 4.73 ± 0.68점, 예방접종 4.70 ± 0.69점, 호흡기 에티켓 4.70 ± 0.67점, 전파경로별 주의 4.68 ± 0.68점, 손위생 4.68 ± 0.67점, 개인위생 4.65 ± 0.70점, 안전 4.62 ± 0.73점, 의료 직물 및 환경 4.61 ± 0.74점 순이었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5점 만점에 평균 4.53 ± 0.67점이었으며, 하위영역별로 개인보호구 4.60 ± 0.71점, 호흡기 에티켓 4.58 ± 0.67점, 예방접종 4.56 ± 0.69점, 안전 4.53 ± 0.72점, 개인위생 4.51 ± 0.74점, 전파경로별 주의 4.49 ± 0.71점, 손위생 4.48 ± 0.72점, 의료 직물 및 환경 4.47 ± 0.79점 순이었다.

Infection Control Knowledg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3.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차이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의 차이는 Table 3과 같다.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가 보통인 경우와 불만족인 경우보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F = 18.57, p = .000)이 높게 나타났다. 실습경험이 있는 경우 실습 장소가 병원인 경우가 소방서와 병원 둘 다인 경우보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t = 4.219, p = .045)이 높게 나타났고. 실습 경험이 있는 경우 실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가 보통인 경우와 불만족인 경우보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F = 6.173, p = .004)이 높게 나타났다.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3.4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간의 상관관계

대상자의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간의 상관관계는 Table 4와 같다.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인식(r = .264, p < .004) 및 감염관리 수행자신감(r = .294, p < .001) 간,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r = .780, p < .000) 간에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즉 감염관리 지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에 대해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으며 감염관리를 잘 수행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감염관리를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감염관리를 수행하는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Correlation betwee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3.5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

응급구조학과 대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된 다중회귀분석의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유의한 차이를 나타낸 전공만족도, 실습 장소, 실습만족도와 상관관계 분석에서 유의한 상관을 보인 감염관리 지식 및 감염관리 인식을 다중회귀분석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전공만족도, 실습 장소, 실습만족도를 더미변수(dummy variable)로 설정하고 이를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Factors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기 전 다중공선성을 검토한 결과 공차한계 .557∼.856으로 0.1 이상을 보였고, 분산팽창계수(VIF)는 1.169∼1.796으로 10 이하로 나타나 모든 변수에서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감염관리 인식(β = .568, p < .001)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57.2%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 논 의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감염관리 교육환경을 개선하며 임상 실습 교육프로그램을 발전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지식은 42점 만점에 27.72점(100점 만점에 66.00점)이었다. 같은 연구도구를 사용한 국내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은 42점 만점에 33.60점(100점 만점에 80.00점)(13)으로 본 연구보다 감염관리 지식점수가 높았고, 본 연구도구와 다르지만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등(20)의 연구에선 15점 만점에 9.16점(100점 만점에 60.67점), Seong과 Nam(21)의 연구에선 1점 만점에 0.30점(100점 만점에 30.00점)으로 본 연구보다 감염관리 지식점수가 낮았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지식수준이 국내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에 비해 낮게 나타난 것은 교육 과정 차이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13). 국내 간호대학에서는 감염관리를 전문적으로 다루는 미생물학과 같은 교과목이 따로 마련되어 있고(22), 의과대학에서는 미생물학, 면역학, 감염내과학과 같은 교과목이 따로 마련되어 있어(23) 학생들이 감염관리에 대해 더욱 체계적이고 깊이 있는 지식을 습득할 기회가 있었을 것이다. 반면, 응급구조학과의 경우 감염관리 교육은 응급환자관리학 교과목에서 한 영역으로 제한적으로 다뤄지고 있으며(1), 이 외의 교과목에선 감염에 대해 부분적으로 다루고 있다. 이러한 교육 과정의 차이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감염관리에 대해 상대적으로 적게 노출되며 이로 인해 감염관리 중요성 인식에 어려움을 겪게 되어, 감염관리 지식수준에 영향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그러나 Kim 등(20)의 연구와 Seong과 Nam(21)의 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감염관리 지식점수가 낮게 나타난 것에 대해서는 감염관리 지식수준을 비교하는데 사용된 연구 도구의 차이에 따른 결과라 생각된다. 따라서, 다양한 연구 도구를 사용하여 연구결과 간의 차이를 명확히 이해하기 위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지식을 향상시키기 위해 응급구조학과에 감염관리 전문 교과목을 신설하고,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감염관리에 관한 워크숍이나 세미나에 정기적으로 참석하여 감염관리 최신 지식을 습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24,25). 또한 간호대학생이나 의과대학생과의 감염관리 교육 협력 프로그램을 마련하여 감염관리에 대한 다학제적 접근과 지식 공유를 함으로써,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감염관리의 중요성과 효과적인 관리 방법에 대해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26).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인식은 5점 만점에 4.68점으로 나타났다. 같은 연구도구를 사용한 국내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은 4.74점(5점 만점)으로 비슷하였고(13), 간호대학생은 4.42점(5점 만점)으로(20)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인식보다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은 향후 응급환자와 최초로 접촉하는 응급의료종사자로서 감염 우려 및 확산으로부터 본인 및 동료를 보호하는 책임을 배운다(11,12). 또한 예측할 수 없는 다양한 응급처치 상황에 대비하는 교육을 받는다(11,12,27). 이러한 교육 과정이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인식을 높인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감염관리 인식 하위영역 중 개인보호구에 대한 인식이 가장 높았고,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이 가장 낮았다. 또한 하위영역 중 개인보호구, 예방접종, 호흡기 에티켓, 전파경로별 주의, 손위생에 대한 인식이 높고, 개인위생, 안전,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이 낮아 선행연구(13)와 일치하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COVID-19를 경험하며 감염병 전파 차단에 대한 인식이 향상됨에 따라 개인보호구, 예방접종, 호흡기 에티켓, 전파경로별 주의, 손위생 등의 감염관리 인식이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25,28). 그러나 감염관리 경험 부족과 익숙지 않은 감염관리 환경에서 이뤄지는 복잡한 감염관리 절차, 빠른 처치를 요구하는 응급처치 환경, 위생 시설의 이용 제한 등은 개인위생, 안전, 의료 직물 및 환경 등의 감염관리 인식을 낮춘 것으로 생각된다. 특히, 환자 처치에 있어 즉각적인 처치 속도와 효과를 우선시하는 응급처치 경향은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안전과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한 인식을 낮추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29). 이에 불량한 위생의 실제 사례와 이에 따른 감염 영향에 대해 학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교내 환경에서 개인위생 및 안전,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해 접근성이 높은 게시물의 지속적 노출로 이에 대한 인식이 자연스레 조성될 수 있도록 하여 감염관리 인식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임상 실습 전 오리엔테이션이 이루어졌을 때 감염관리 인식이 오리엔테이션을 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11,25)에 따라 임상 실습 전 체계적인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여 감염관리 인식 강화 방안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5점 만점에 4.53점으로 나타났다. 같은 연구도구를 사용한 국내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은 4.61점(5점 만점)으로 비슷하였고(13), 간호대학생은 4.18점(5점 만점)으로(19) 나타나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은 실제 응급처치 상황과 유사한 다양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는다(27,30). 이를 통해 학습된 수행 경험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사료된다(30). 특히 다양한 가상의 응급처치 상황 속에서 효과적인 의사소통과 팀워크를 해내며 형성된 자신감 획득이 감염관리 자신감을 높이는데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하위영역 중 개인보호구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가장 높았고,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가장 낮았다. 이는 선행연구(13)에서 호흡기 에티켓의 수행자신감이 가장 높고, 개인위생의 수행자신감이 가장 낮았던 것과는 차이가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하위영역 중 개인보호구, 호흡기 에티켓, 예방접종, 안전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높고, 개인위생, 전파경로별 주의, 손위생, 의료 직물 및 환경에 대한 수행자신감이 낮아 선행연구(13,19)와 차이를 보였다.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최근 몇 년간 매스컴을 통해 접한 COVID-19 대응 교육과 홍보는 감염관리에 대한 기본적인 중요성을 인식시켰고, 이 기간 임상 실습을 통한 실제 감염병 대응 경험은 감염관리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만들었을 것이다. 이는 감염병에 대응하는 구체적 기술과 절차에 대해 학습하고, 필요한 조치를 자신 있게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을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였을 것이다. 이에 개인보호구, 호흡기 에티켓, 예방접종 등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게 나온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개인위생과 손위생에 대한 체계적 실천 부족, 환경 전파의 중요성에 대한 교육 및 경험 부족, 의료 직물 및 환경관리의 복잡성 및 상대적 교육 부족(31) 등은 개인위생, 전파경로별 주의, 손위생, 의료 직물 및 환경 등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낮춘 것으로 생각된다. 이에 동기나 선배의 모범적인 개인위생 및 손 위생을 모델링(modeling)하여 체계적 실천을 강화하고, 전파경로에 따른 실제 감염 사례를 분석하여 감염관리 문제 해결 능력을 키우며, 의료 직물 및 환경관리의 경험이 많은 멘토(mentor)를 지정하여 팁(tip)과 피드백(feedback)을 제공받아 복잡한 지침의 원활한 습득과 숙련을 이뤄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향상 시킬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게 나타난 경우는 전공만족도가 만족이며, 실습경험이 있는 경우 실습 장소가 병원인 경우와 실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였다. 전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와 실습만족도가 만족인 경우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게 나타난 것에 대해 이전 연구(32,33)에서 전공에 만족할수록 성공하려는 동기가 더 강해지고 술기를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는 자신감이 커진다고 보고한다. 또한, 실습에 만족할수록 인지 능력 향상과 학습 내용 적용이 용이하여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Kim 등(13)의 연구에서는 성별, 학년, 감염노출예방 교육에서 유의한 결과를 보여 본 연구결과와 차이가 있었다. 실습경험이 있는 경우 실습 장소가 병원인 경우가 소방서와 병원 둘 다인 경우보다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게 나타났다. 병원 내 감염관리는 2010년 의료기관 평가제도 시행과 2020년 의료법 개정을 통해 강화되어 보다 체계적인 평가와 명확한 행동 지침이 수반되고 있다(34). 이러한 가운데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병원 내 임상 실습 부서는 응급실, 중환자실, 수술실 등으로 엄격한 감염관리 지침을 따른다. 이러한 감염관리 지침을 정기적으로 수행함으로써 실습생들은 감염관리에 점차 익숙해지고, 그 결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상승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감염성 질환, 수술 등 높은 수준의 감염관리를 수행하는 보건의료인으로부터 학생들이 직접 평가와 피드백(feedback)을 받아 감염관리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높이는 데 영향을 받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응급구조학과 학생이 임상 실습 동안 맞닥뜨릴 수 있는 다양한 임상 상황에 대해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을 도입하여 실제와 같은 응급구조사의 업무를 수행해본다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본 연구결과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인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간호대학생과 의과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Kim 등(13)의 연구와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Yu(35)의 연구, Jeong(36)의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다. 이는 감염관리 지식과 감염관리 인식을 높이는 교육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이는 데 중요함을 나타낸다. 그리고 임상 실습 전 감염관리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이 이루어졌을 때 감염관리 인식과 수행도가 오리엔테이션을 하지 않은 대상자에 비해 높게 나타난 연구결과(11)에 비춰볼 때 임상 실습 전 감염관리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인식을 재강조하여 임상 실습에 임할 수 있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이나 시뮬레이션(simulation)을 적용한 감염관리 실습도 학생 개별 역량에 맞춰 단계적으로 교육한다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임상 실습 전 감염관리의 올바른 지침 수행이 환자와 임상 실습생에게 미치는 영향을 포함한 교육도 함께 이뤄진다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강화시키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한편, 임상병리사를 대상으로 한 Kim 등(37)의 연구에 따르면, 이들은 감염 위험성을 보통 수준으로 인식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연간 5회 미만의 교육을 주로 온라인 비대면 형태로 수행하면서도 감염 표준 예방 지침을 잘 준수하고 있다는 점이 주목할 만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에게도 감염 예방 교육이 효과적일 수 있으며, 특히 온라인 비대면 형태의 교육도 충분히 효과적일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수행자신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온라인 비대면 형태의 교육을 포함한 다양한 감염 예방 교육 프로그램을 도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학생들이 감염 예방 지침을 철저히 준수하고, 실습 현장에서 자신감을 가지고 임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연구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감염관리 인식이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설명력은 57.2%였다. 즉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인식이 높을수록 감염관리를 위해 실제로 수행해 낼 수 있다는 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38,39)에서 보면 감염관리 수행에 있어 감염관리 인식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비춰볼 때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및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과 같은 기술을 활용한 몰입형 학습을 적용하여 다양한 감염 시나리오 시뮬레이션(simulation)으로 병원체 확산을 보여줌으로써 감염관리의 중요성을 시각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Choi 등(40)의 연구에서 감염관리 지식과 지각된 유익성이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연구결과가 있었다. 이러한 차이는 연구대상자 차이와 소속 환경 차이에 따른 것으로 추측된다. 이에 추후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파악하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함에 그 의의가 있다. 그리고 본 연구는 2개 대학교의 응급구조학과 학생만을 대상으로 하여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한 것으로 연구결과를 일반화하는 것에는 한계가 있다. 또한,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감염관리에 대한 연구가 많지 않아 연구 대상 간 비교에 제한점이 있으며, 특히 감염관리 수행도가 아닌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대한 연구는 찾아보기 어려웠다.

5. 결 론

본 연구는 응급구조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감염관리 지식, 감염관리 인식,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확인하고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결과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지식은 보통 이상의 수준이었고, 감염관리 인식과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은 높은 수준이었다. 대상자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감염관리 인식이 확인되었다. 즉, 감염관리에 대한 인식이 높은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나 감염관리 교육에서 감염관리 인식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감염관리 인식을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높일 수 있도록 감염관리 상황을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과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로 구현할 수 있는 장비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준비가 필요하다. 또한 임상 실습 전 오리엔테이션을 경험한 실습생의 감염관리 인식과 수행도가 높아진 연구결과(11)를 반영하여 임상 실습 전 감염관리에 관한 교육을 필수 과정으로 시행하여 감염관리 수행에 대한 자신감을 갖는 기회로 활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COVID-19 대유행을 경험하며 임상 실습생의 감염관리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진 만큼 연구대상자를 전국 응급구조학과 학생으로 확대하여 본 연구에서 파악된 감염관리 수행자신감 영향요인에 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응급구조학과 학생의 감염관리 수행자신감을 높일 수 있는 효과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References

1. National Department of Paramedicine Professor Council. Infection Control. Emergency Patient Management Book Publishing University Seorim, Seoul :61–65. 2021;
2. Park D. S., Kim G. S., Lee M. J., Kim Y. R.. A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Knowledge and Attitude on Coronavirus Disease-19 (COVID-19)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Paramedic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Technology Convergence 2(3):25–32. 2023;https://doi.org/10.23152/JATC.2023.02.03.025.
3. Republic of Korea. Emergency Medical Service Act. Decree 2024;
4.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Guidelines for Registration and Management of Ambulance” https://www.mohw.go.kr/board.es?mid=a10409020000&bid=0026&act=view&list_no=328982. 2015.
5. An J. S.. Factors Influencing in Performance of Infection Prevention in Emergency Room Nurses. Master's Thesis DongA University 2015;
6. Oh S. Y., Lee I. S.. Correlation Between the Infection Control Organizational Culture, Infection Control Fatigue, and Burnout.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37(5):71–80. 2023;https://doi.org/10.7731/KIFSE.59ac0d12.
7. Oh S. Y.. Prevention Knowledge, Attitude and Practice of COVID-19 Infection Control of 119 Paramedics.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Transportation 2021;
8. Sim K. Y., Kim J. H., Lee H. C., Kim C. T.. Influencing Factors of Prevention Practices Against Infection Exposure among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 in Emergency Room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2(1):21–34. 2018;https://doi.org/10.14408/KJEMS.2018.22.1.021.
9. Jeong S. Y., Kim O. S.. The Structural Model of Hand Hygiene Behavior for the Prevention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in Hospital Nurse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4(2):119–129. 2012;https://doi.org/10.7475/kjan.2012.24.2.119.
10. Shin D. M., Cho B. J.. 119 Emergency Medical Technicians'Infection Control Education Status, Stress, and Needs related to Emerging Infectious Diseases.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28(12):201–209. 2023;https://doi.org/10.9708/jksci.2023.28.12.201.
11. Lee H. J., Lee K. Y.. Paramedic Students'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n Ambulance Attendant Training.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0(2):21–35. 2016;https://doi.org/10.14408/KJEMS.2016.20.2.021.
12. Kim J. U., Kim Y. S., Ji H. K., Bae K. S.. Cognition and Practice of Standard Precautions towards Hospital Infection Control in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64–273. 2014;https://doi.org/10.5762/KAIS.2014.15.1.264.
13. Kim O. S., Kim K. M., Kim T. H., Lee J. C., Jeong S. Y., Cha K. S., Choi J. H., Hong S. J.. Infection Control Knowledge, Awareness, and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mong Nursing and Medical Students in Korea. Korean Journal of Healthcare-Associated Infection Control and Prevention 27(2):168–176. 2022;https://doi.org/10.14192/kjicp.2022.27.2.168.
14. Kim Y. M., Kim M. Y., Seo Y. H.. The Effects of an Intensive Education Program on Hospital Infection Control on Nursing Students'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in Infection Control.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18(4):318–326. 2016;https://doi.org/10.7586/jkbns.2016.18.4.318.
15. Lee G. Y., Choi E. S.. The Perception Types of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in Paramedic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1(1):59–73. 2017;https://doi.org/10.14408/KJEMS.2017.21.1.059.
16. Choi S. S.. Current Status of Clinical Practice and Associated Factors with Satisfaction among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mergency Medical Service.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12;
17. Choi K. A.. The Effect of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Infection Control Knowledge on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Among General Hospital Nurses.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2023;
18. Lee H.. Effects of Nurses'Infection Awaewness, Perceived Control, and Infection Safety Environment on Infection Prevention Activities. Master's Thesis Shinhan University 2024;
19. Choi J. R., Ko I. S., Yim Y. Y.. Factors Influencing Nursing Students'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Joru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23(2):136–148. 2016;https://doi.org/10.7739/jkafn.2016.23.2.136.
20. Kim J. H., Song H. S., Par Y. H.. Knowledge on Nosocomial Infection,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Standard Precautions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3):669–687. 2020;https://doi.org/10.22251/jlcci.2020.20.3.669.
21. Sung Y. H., Nam H. K.. The Study of the Knowledge and Performance of Nursing Students for the Nosocomial Infection Control.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15(1):40. :49. 2006;
22. Kim M. W., Park J. M., Han A. K.. Analysis of Curriculum of 4- year Nursing School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17(3):414–423. 2011;https://doi.org/10.5977/JKASNE.2011.17.3.414.
23. Choi S. S.. The Revised Curriculum of Department of Medicine in the Year of 1995. Ewha Medical Journal 18(4):287–300. 1995;https://doi.org/10.12771/emj.1995.18.4.287.
24. Jeong S. Y., Lee J. Y., Kim S. R., Shin M. J., Lee S. E., Kim O. S..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an Education Program for Novice Infection Control Nurses. Korean Journal of healthc assoc Infect Control Prev 21(1):18–30. 2016;https://doi.org/10.14192/kjnic.2016.21.1.18.
25. Kim H. J., Lee Y. J., Choi H. J., Yim S. Y., Choi E. S.. Paramedic Student's Awareness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on Clinical Field Training.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8(1):47–62. 2024;https://doi.org/10.14408/KJEMS.2024.28.1.047.
26. Seo S. H.. Best Practice for Infectious Diseases Managemen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Korea Construction and Health Society's Academic Conference for the First Half of 2020 :99–139. 2020;
27. Kim H. S., Lee Y. A.. Comparative Analysis on Three-Year Period Curriculum of Emergency Medical Technology of College.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1(2):29. :50. 2007;
28. Lee H. K., Kang N. G., Kim S. H., Kim M. S., Nam Y. N., Noh S. H., Lee H. D., Jung D. U., et al. Effect of Nursing Students'Knowledge of COVID-19 and Risk Perception on COVID-19 Prevention Behavior. Journal of Industrial Convergence 19(5):129. :137. 2021;https://doi.org/10.22678/JIC.2021.19.5.129.
29. Kang Y. J., Choi E. S.. The Level of Awareness and Practice in Prehospital Emergency Patient Assessment and Emergency Care of Paramedic in Fire Station.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15(2):67–84. 2011;https://doi.org/10.14408/KJEMS.2011.15.2.067.
30. Kim H. J., Lee H. C.. Differences in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Knowledge, Confidence,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Ability of Paramedic Students according to Simulation Education Methods. The Korean Journal of Emergency Medical Services 25(3):111–125. 2021;https://doi.org/10.14408/KJEMS.2021.25.3.111.
31. Lee S. J., Park J. Y., Jo N. R.. Influence of Knowledge and Awareness on Nursing Students'Performance of Standard Infection Control Guidelin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23(4):347–358. 2017;https://doi.org/10.11111/jkana.2017.23.4.347.
32. Jang S. E., Kim S. Y., Park N. H.. Factors Influencing Metacognition, Communication Skills, and Confidence in the Performance of Core Basic Nursing Skills on Clinical Competency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5(4):448–458. 2019;https://doi.org/10.5977/jkasne.2019.25.4.448.
33. Kim S. O., Kang B. H.. The Influence of Nursing Students'Learning Experience, Recognition of Importance and Learning Self-efficacy for Core Fundamental Nursing Skills on their Self-confidenc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7(8):172–182. 2016;https://doi.org/10.5762/KAIS.2016.17.8.172.
34. Park Y. R., Seo E. J.. Correlation Among Organizational Culture, Fatigue for Infection Control, and Infection Control Compliance of COVID-19 Among Emergency Nurses. Journal of Korean Biological Nursing Science 24(2):104–112. 2022;https://doi.org/10.7586/jkbns.2022.24.2.104.
35. Yu H. S.. Factors Influencing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19(4):2205–2217. 2017;https://doi.org/10.37727/jkdas.2017.19.4.2205.
36. Jeong M. H.. Survey of Exposure to Blood and Body Fluids, Knowledge, Awareness and Performance on Standard Precautions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4):316–329. 2015;https://doi.org/10.5392/JKCA.2015.15.04.316.
37. Kim J. H., Cho M. H., Yoon S. J.. A Study on Infection Prevention Education and Infection Control Performance of Medical Technologists in Hospitals. Journal of the Edutainment 5(2):163–175. 2023;https://doi.org/10.36237/koedus.5.2.163.
38. Do E. S., Kim S. G.. The Influencing Factor of Awareness of Infection Control, Career Decision Making Self Efficacy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on the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8):240–249. 2019;https://doi.org/10.5762/KAIS.2019.20.8.240.
39. Lee S. Z., Shin G. S., Cho M. K..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Behavior and Performance of Infection Control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9(8):343–352. 2018;https://doi.org/10.5762/KAIS.2018.19.8.343.
40. Choi M. J., Lee M. H., Jeong S. Y., Song M. S.. Factors that Affect the Confidence of Performance of Nurses at Small and Medium-sized Hospitals in the Control of Infections Caused by Multidrug-Resistant Organism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Care Nursing 27(3):321–329. 2020;https://doi.org/10.22705/jkashcn.2020.27.3.321.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 M ± SD
Gender Male 61 51.3
Female 58 48.7
Grade 1st Grade 30 25.2
2nd Grade 33 27.7
3rd Grade 35 29.4
4th Grade 21 17.6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79 66.4
Average 37 31.1
Dissatisfied 3 2.5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Exist 56 47.1
Do Not Exist 63 52.9
Exist Clinical Training Location (n = 56) Hospital 33 58.9
Both Fire Station and Hospital 23 41.1
Total Clinical Training Week (n = 56) ≤ 9 weeks 38 67.9 9.32 ± 4.81
≥ 10 weeks 18 32.1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n = 56) Satisfied 31 55.4
Average 20 35.7
Dissatisfied 5 8.9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xperience Exist 80 67.2
Do Not Exist 39 32.8
Exist Infection Control Education Location (n = 80) University 30 37.5
Hospital 19 23.8
Both University and Hospital 31 38.8

Table 2

Infection Control Knowledg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Variables M ± SD Rang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Standardism 4.26 ± 1.56 0∼6
Hand Hygiene 3.48 ± 1.50 0∼6
Wearing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s 8.32 ± 3.25 0∼13
Safe Injection Practice 6.75 ± 2.52 0∼9
Aseptic Technique 1.92 ± 0.96 0∼3
Environmental Management 1.30 ± 0.80 0∼2
Waste Management 1.74 ± 0.87 0∼3
Total 27.72 ± 8.82 0∼42
Infection Control Awareness Hand Hygiene 4.68 ± 0.67 1∼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4.73 ± 0.68 1∼5
Respiratory Etiquette 4.70 ± 0.67 1∼5
Safety 4.62 ± 0.73 1∼5
Medical Textiles* and Environment 4.61 ± 0.74 1∼5
Caution by Propagation Route 4.68 ± 0.68 1∼5
Personal Hygiene 4.65 ± 0.70 1∼5
Vaccination 4.70 ± 0.69 1∼5
Total 4.68 ± 0.65 1∼5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Hand Hygiene 4.48 ± 0.72 1∼5
Personal Protective Equipment 4.60 ± 0.71 1∼5
Respiratory Etiquette 4.58 ± 0.67 1∼5
Safety 4.53 ± 0.72 1∼5
Medical Textiles* and Environment 4.47 ± 0.79 1∼5
Caution by Propagation Route 4.49 ± 0.71 1∼5
Personal Hygiene 4.51 ± 0.74 1∼5
Vaccination 4.56 ± 0.69 1∼5
Total 4.53 ± 0.67 1∼5

Medical Textiles

*

This Refers to Various Textile Items Used in Patient Care and Hospital Environments.

Table 3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Characteristics Categories N M ± SD t/F (P)
Gender Male 61 4.45 ± 0.77 -1.271 (.206)
Female 58 4.61 ± 0.54
Grade 1st Grade 30 4.50 ± 0.67 1.075 (.363)
2nd Grade 33 4.61 ± 0.63
3rd Grade 35 4.60 ± 0.52
4th Grade 21 4.31 ± 0.91
Major Satisfaction Satisfied a 79 4.61 ± 0.55 18.57 (.000)
Average b 37 4.52 ± 0.60
Dissatisfied c 3 2.50 ± 1.32 a > b > c
Clinical Training Experience Exist 56 4.49 ± 0.70 -.431 (.667)
Do Not Exist 63 4.55 ± 0.65
Exist Clinical Training Location (n = 56) Hospital 33 4.65 ± 0.45 4.219 (.045)
Both Fire Station and Hospital 23 4.27 ± 0.92
Total Clinical Training Week (n = 56) ≤ 9 Weeks 38 4.61 ± 0.49 1.883 (.065)
≥ 10 Weeks 18 4.24 ± 0.98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n = 56) Satisfied a 31 4.64 ± 0.55 6.173 (.004)
Average b 20 4.51 ± 0.44
Dissatisfied c 5 3.55 ± 1.52 a > b > c
Infection Control Education Experience Exist 80 4.60 ± 0.63 1.825 (.071)
Do Not Exist 39 4.37 ± 0.73
Exist Infection Control Education Location (n = 80) University 30 4.57 ± 0.83 .491 (.614)
Hospital 19 4.73 ± 0.47
Both University and Hospital 31 4.55 ± 0.48

Table 4

Correlation between Infection Control Knowledg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and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Variables Infection Control Knowledge Infection Control Awareness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Infection Control Knowledge 1
Infection Control Awareness .264** 1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294** .780*** 1

* p < 0.05,

**

p < 0.01,

***

p < 0.001

Table 5

Factors Infection Control Self-Confidence in Performance of the Study Subjects N = 119

Variables B SE β t p Adj.R2 F (p)
(Constant) 1.759 .713 2.468 .017 .572 15.725 (.000)
Major Satisfaction -.119 .145 -.091 -.818 .417
Clinical Training Location -.030 .134 -.022 -.226 .822
Clinical Training Satisfaction -.097 .113 -.091 -.855 .396
Infection Control Knowledge .875 .542 .191 1.616 .112
Infection Control Awareness .537 .101 .568 5.296 .000
Durbin-Watson = 1.85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