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서 론
1.1 연구의 배경
2. 문제점 발굴을 위한 이론적 연구
2.1 연결송수관설비 기술기준 연혁
2.1.1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에 관한 기술기준 연혁
2.1.2 연결송수관설비 방수구에 관한 기술기준 연혁
2.2 옥내소화전설비 기술기준 연혁
2.2.1 옥내소화전설비 송수구에 관한 기술기준 연혁
2.2.2 옥내소화전설비 방수구에 관한 기술기준 연혁
2.3 스프링클러설비 기술기준 연혁
2.3.1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에 관한 기술기준 연혁
Table 1
3. 현장답사를 통한 소방 활동 문제점 고찰
3.1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설치 현장 답사 및 실태 분석
3.2 조사결과
Table 2
Table 3
3.2.1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보이는 정도(노출성)」에 대한 조사 결과
3.2.2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 설치 위치에 대한 조사결과
3.3 현장답사 결과 시사점
1) 화재현장에서 신속히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찾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2) 노출성 조사결과 조경수 가림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이는 Lee(7)의 ‘아파트 화재진압용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에서도 10층 이상 아파트 30개 단지에 설치된 송수구 조사 분석결과 소방차 접근성, 노출성 등 전체 평균 미흡사항이 47.2%로 조사되었으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법적 제도적 개선이 필요하다고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보이는 정도’, 즉, ‘노출성’에 대한 조사 결과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조사에 그치지 않고 ‘노출성’의 미흡함으로 인해 발생하는 현장 활동대원의 연결송수관설비 송수구를 발견치 못하는 애로 사항에 대한 실현가능하고 즉시 적용 가능한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3) 화재가 발생한 대상물의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층’을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 11층 이상에서 화재가 발생한 경우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는지 여부를 현장 출동한 소방대원이 파악하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만일 건물 외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가 있다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대상임을 알 수 있으나 이 또한 몇 층부터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는지는 출동한 소방대가 파악하기는 쉽지가 않다. 만일, 화재가 발생한 층에 유수검지장치가 있다면 해당 층이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음을 짐작할 수 있는 정도일 것이다. 그러므로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대상인지 그리고 몇 층부터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되었는지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 보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