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7(1); 2023 > Article
소방안전관리자의 직무능력 향상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

요 약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실질적인 화재대응능력 증진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시나리오 개발은 실제 화재 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요소를 바탕으로 개정된 교육과목과 연계하여 화재초기인지부터 전파, 재실자 피난유도, 연소특성을 고려한 소화기 사용 및 옥내(외)소화전 사용, 방호안전, 소방차량 유도 및 경찰 인수인계 단계까지 적용하였다. 시나리오는 소방안전관리자를 관점으로 하여 화재시 대응해야 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총 7단계로 구성하였으며, 7단계의 상세 내용은 화재발생, 화재경보단계, 초기소화 단계, 피난유도 단계, 소방시설 작동 및 조치 단계, 방호조치 및 응급처치, 소방대 유도 및 협업이다. 개발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육 및 실무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 및 동일 상황 반복훈련에 따른 다양한 상황 대비 의사결정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attempted to design a scenario to improve a fire safety manager’s actual fire response-ability based on elements that may occur in actual fire situations. The scenario was linked with revised educational subjects, starting with fire recognition, propagation, occupant evacuation guidance, use of fire extinguishers and indoor (outdoor) fire hydrants considering combustion characteristics, and protection safety. Finally, it covered fire brigade induction and police handover. The scenario demonstrates the procedures to respond to fire from the fire safety manager’s perspective and includes seven stages. These are fire outbreaks, fire situation propagation, initial fire extinguishing, evacuation guidance, firefighting facility operation and action, protective measures and first aid, fire brigade guidance, and collaboration. The study concluded that it would be helpful to improve the fire safety manager’s decision-making ability to respond to critical situations and prepare for recurring diverse situations by developing scenarios by utilizing fire safety manager instructional and practical training.

1. 서 론

소방청 화재통계연감에 따르면 2018년부터 2021년 12월까지 매년 35,000건 이상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화재분류인자별 추이를 분석한 결과 건축 및 구조물로 인한 화재 건수가 평균 2,000건 이상으로 가장 큰 요인으로 나타났다(1). 게다가 급격한 경제성장과 함께 현대 건축물의 고층화, 밀집화, 지하화의 심화로 건축구조물에서 발생하는 화재 건수는 2018년 이후로 계속 증가하는 추세이다(2). 이에 따라 건축물의 소방시설을 관리하며 화재 발생 시 화재 초기에 재실자에게 화재 발생 유⋅무를 전파하고, 피난과 방호조치를 통한 화재확산방지 등의 업무를 수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이 중요한 시점이다. 이뿐만 아니라 소방안전관리자는 재실자의 피난과 화재의 특성을 고려한 알맞은 소화기 사용 및 방호안전을 통한 화재확산방지 등으로 소방대가 도착하기 전 최소한의 효과적인 대처를 수행하여야 한다. 이처럼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수행은 전문적인 지식과 실무적인 소방시설 활용 능력 갖추고 있어야 한다. 하지만, 현행법상 현재 소방안전관리자의 선임조건은 소방관련 분야 전공자가 아닌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실행하는 교육을 이수하고 평가를 통과하면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취득이 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최근 10년 이내에 발생한 대형화재 중 대다수가 소방안전관리자의 미숙한 조치로 인해 피해가 확대된 사건들이며 대표적인 예로는 의정부 대봉그린아파트 화재(2015)(3), 밀양 세종병원 화재(2018)(4) 등이 있다. 이와 같이 화재에서 소방안전관리자의 초기 조치의 중요성이 대두됨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교육 및 실무교육이 더욱 중요한 실정이다.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향상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제도적 문제점을 지적할 뿐 실질적인 능력향상을 위한 직접적인 시나리오 개발과 관련된 실무능력 향상에 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추가적으로 소방안전관리자를 양성하는 기관인 한국소방안전원의 교육강습 커리큘럼을 보면 화재확산방지를 위한 예방조치, 초기대응 방법 등과 같은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육보단 소방시설 점검 및 작동사항 평가와 같은 시설유지에 더 비중을 두고 있었다. 하지만 2022년 12월 1일에 시행된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정안(5)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의 교육 이수시간이 증가하였으며, 소방안전관리자의 9가지 수행 업무 중 필수사항인 피난계획에 관한 사항과 자위소방대 및 초기 대응체계의 구성 및 운영, 피난시설,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의 유지⋅관리에 관련된 내용이 커리큘럼에 추가편성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의 실질적인 화재대응능력 증진을 위해 실제 화재 상황 시 발생할 수 있는 이벤트를 바탕으로 개정된 교육과목을 연계지어 화재초기인지부터 전파, 재실자 피난유도, 연소특성을 고려한 소화기 사용 및 옥내(외)소화전 사용, 방호안전, 소방차량 유도 및 경찰 인수인계 단계까지 적용해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시나리오를 개발하고자 한다.

2. 이론적 배경

2.1 선행 연구

현재 국내에서 선행된 소방안전관리자에 관한 연구를 살펴보면, 소방안전관리자 제도 현황 분석과 개선방안을 다룬 연구들이 수행되었다. Lee와 Bae(6)는 소방안전관리자제도의 현황을 분석하여 4가지 발전방안으로 소방안전관리자 선임자격 기준의 강화와 시설 및 장비의 보완, 교육과정 개선, 상근 소방안전관리자의 채용의 내용을 제시하였다. Hong과 Park(7)은 전남지역의 소방안전관리자와 소방공무원을 대상으로 운영 실태 및 인식조사를 하여 소방안전관리의 환경 개선을 위한 제도적인 대책을 제시하였다. Lee(8)와 Lee(9)의 연구와 같이 시설에 따른 안전대책을 고안한 연구들도 있지만 정책적인 방안이 아닌 실무적인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대응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기여한 연구는 아직 수행된 바가 없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소방안전관리자가 필수로 교육을 받는 기관인 한국소방안전원의 커리큘럼과 개정된 「화재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을 참고하여 교육 강습시간 대비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능력을 평가하고 개발된 시나리오를 통한 훈련으로 실제 화재 상황 발생 시 실질적인 화재대응능력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2.2 소방안전관리자 법 제정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제정안(5)이 2022년 12월 1일에 시행됨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가 받아야하는 강습 및 실무 교육 및 시간이 증가하였다. 기존 시행규칙에 의하면, 특급 소방안전관리자는 80 h 이수 시 특급으로 인정받았으나, 현재는 160 h을 수료하여야만 소방안전관리자로서의 자격이 주어진다. 마찬가지로 1급 소방안전관리자는 40 h에서 80 h으로, 2급 소방안전관리자는 32 h에서 40 h으로 교육 이수시간이 증가하였다. 필수 이수시간의 증가는 최근 10년 내 발생한 대형화재 중 대다수가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경험 부족으로 인한 화재대응 미숙함이 원인이라 판단되어 화재 발생 시 충분한 교육이 완료된 소방안전관리자로 하여금 화재 초기단계에 빠른 인지와 전파, 피난유도 등을 통한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 절감을 위함이라 해석된다.

2.3.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과목 및 강습시간 분석

Table 1은 한국소방안전원이 공개한 기존의 1급부터 3급까지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과목 표와 현재 화재의 예방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 시행규칙 [별표 5]에(5) 기재된 신규 교육과목 표를 비교하여 추가된 교육과목과 교육시간 만을 나타낸 표이다. 기존 커리큘럼은 스프링클러, 옥내소화전과 같은 소방시설의 점검방법과 시설유지 교육에 비중을 두었다면 개정된 커리큘럼은 소방안전관리자에 대한 이해와 화재 발생 시 초기대응 및 확산방지에 중점을 두었다. 또한, ‘작동기능점검표 작성 실습⋅평가’ 과목을 ‘자체점검 서식의 작성 실습⋅평가’와 ‘통합안전점검 실시(가스, 전기, 승강기 등)’들로 나눔과 같이 기존 과목을 세분화시키고, 건축법 관할로 여겨왔던 방화구획에 관한 교육 내용을 추가한 것에 의의가 있다. 추가적으로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한에서 다루었던 건축⋅전기⋅가스와 같은 위험물에 대한 교육을 1급, 2급, 3급 소방안전관리자까지 행함으로써 화재에 대한 예방과 방호안전에 대한 경각심을 인지시킬 수 있다고 판단된다.
Table 1
Additional Subjects for Fire Safety Manager Curriculum
Educational Target An Educational Course Additional Training Time (hour)
A Person Who Wants to Become a Fire Safety Manager for Special-Grade Object to Fire Safety Control Fire Statistics and Damage Analysis 80
Hazardous Material Safety and Safety Management
Special act on Management of Disasters in Super High-Rise Buildings
Fire Prevention Cases and Publicity
Types and Standards of Firefighting Facilities
Operation of the Evacuation Safety Zone
Formation of Self-Defense Force and Initial Response System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Establish Disaster Prevention and Damage Reduction Plans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Fill out the Self-Inspection Form PracticeㆍAssessment
Implementation of Integrated Safety Inspection (Gas, Electricity, Elevator Etc)
Management of Evacuation Facilities, Fire Prevention Sections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Fire Safety Education and Training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Initial Response and Evacuation Practice in Case of Fire
Creation of Business Performance RecordsㆍMaintenance PracticeㆍEvaluation
A Person Who Wants to Become a Fire Safety Manager for First-Grade Object to Fire Safety Control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40
Construction Site Safety Management Planning and Supervision
Hazardous Material ElectricityㆍGas Safety Management
Types and Standards of Firefighting Facilities
Formation of Self-Defense Force and Initial Response System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Management of Evacuation Facilities, Fire Prevention Sections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Initial Response and Evacuation Practice in Case of Fire
Creation of Business Performance RecordsㆍMaintenance PracticeㆍEvaluation
A Person Who Wants to Become a Fire Safety Manager for Second-Grade Object to Fire Safety Control Fire Safety Management System 8
Hazardous Material ElectricityㆍGas Safety Management
Types and Standards of Firefighting Facilities
Formation of Self-Defense Force and Initial Response System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Management of Evacuation Facilities, Fire Prevention Sections and Fire Prevention Facilities
Initial Response and Evacuation Practice in Case of Fire
Creation of Business Performance RecordsㆍMaintenance PracticeㆍEvaluation
A Person Who Wants to Become a Fire Safety Manager or Third-Grade Object to Fire Safety Control Fire-Fighting Laws 0
Hazardous Material ElectricityㆍGas Safety Management
StructureㆍInspectionㆍPractical Evaluation of Fire Fighting Facilities (Fire Extinguishing Facilities, Alarm Facilities, and Evacuation Rescue Facilities)
First Aid TheoryㆍPracticeㆍAssessment
Initial Response and Evacuation Practice in Case of Fire

3. 시나리오 개발

Tables 23의 경우 본 논문의 개발하고자 하는 시나리오이다. 시나리오의 경우 소방안전관리자를 관점으로 하여 화재시 대응해야 하는 절차를 나타낸 것이며 화재발생, 화재경보단계, 초기소화 단계, 피난유도 단계, 소방시설 작동 및 조치 단계, 방호조치 및 응급처치, 소방대 유도 및 협업으로 총 7단계로 구성하였다.
Table 2
Sample of Designed Scenario (Steps 1-4)
Division Category Circumstances
Fire Break Out Electric Fire Break Out Sparks on Old Wires
Fire Alarm Stage Fire Recognition Recognition of Fire Through Main Alarm
Fire Situation Propagation Fire Alarm Stop Setting due to Frequent Unwanted Fire Alarms
119 Report Report the Fire to 119 Fire Brigade
Formation of Self-Defense Force Assign Each Team a Mission
Initial Fire Extinguishment Stage Use of Fire Extinguisher Initial Digestion using CO2 Fire Extinguisher (Assumption of Initial Fire Extinguishing Failure due to Rapid Combustion Expansion)
Gaseous Fire Suppression The Gaseous Fire Suppression System in the Protection Zone is Not Operating
Fire Area Closed due to Initial Fire Extinguishing Failure The Command and Control Team Instructs the First Response Team and First Fire Extinguishing Team to Prevent the Spread of the Fire
Evacuation Guidance Stage Commencement of Evacuation Emergency Broadcasting Facility Shutdown Setting but Fire Alarm Operation
Evacuation Guidance Evacuation Route is Blocked due to the Arrangement of Items
Gathering of Evacuation Site Request to Report and Identify the Number of Occupants on Each Floor to the Person in Charge Instructions to Determine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on the Fire Floor
Requestor Status Report Move Unconscious Residents due to Smoke Inhalation to the Evacuation Floor by Emergency Elevator
Table 3
Sample of Designed Scenario (Steps 5-7)
Division Category Circumstances
Operation and Action Steps of Firefighting Facilities Gaseous Fire Suppression System Fasten the Safety Pin of the Maneuver Valve for Activating the Fire Extinguishing Agent Storage Room
Protective Measures and First Aid (Fire Expansion) Protection Safety [Electric Block] Possible Electric Shock and Fire Spread due to the Energization of Electrical Equipment
Access Control to Dangerous Sites [Unexpected Event Re-Entry] A Person Came to Hang Out with a Friend, and a Sudden Fire Broke Out While They Separated. They Thought Each of Them Did Evacuate, but After the Evacuation, He Noticed His Friend Did not Come Out. So He Tries to Rescue His Friend by Re-Entry the Building
First Aid 2 Demanders Lost Consciousness due to Smoke Inhalation
Fire Brigade Guidance and Collaboration Securing the Fire Truck Access Road Command and Control Team Asks Protection Safety Team to Identify Fire Truck Obstacles
Securing Space for Fire Trucks A Situation in Which a Vehicle is Located in the Front of the Building
Guidance Report The Fire Situation Spread Through Fostering Broadcasting for the Upper Floors Except for the Fire Floor, the Four Bases on the Top Base, and the Floor Where the Evacuation Safety Zone was Installed and Delivered to the Firefighters. Communicate to Firefighters About the Cccurrence of Unconscious Patients due to Smoke Inhalation
Fire Brigade Collaboration Provides Information about Complex Building Interior and Fire Conditions
1단계의 화재 발생은 화재통계(1)에 따른 발화요인을 고려하여 멀티콘센트 누전으로 인한 스파크, 난로 과열, 담뱃불과 같은 화재통계를 적용하여 화재 발생을 설계하였으며, 또한 일상생활에서 가장 많이 화재를 일으키는 원인을 선정하여 화재 발생상황을 다양하게 설계하였다. Choi 등(10)은 연동시스템의 정지로 경보를 정지설정 하거나 수신기의 전원을 차단하는 행동 등이 화재상황전파에서 가장 문제로 꼽히며 정지된 설비와 연동된 소방시설들이 무용지물화 되는 문제를 지적하였다. 이에 따라, 화성 동탄 메트로폴리스와 같은 소방안전관리자의 실수로 인한 화재확산을 예방하고자 경종 정지설정, 수동 설정, 심지어 감지기 작동 전에 화재를 인지한 경우를 구상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는 효율적인 화재전파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2단계는 화재경보단계로 화재전파의 대표적인 예시인 지구경종의 정지설정으로 화재가 미전파된 상황으로 소방안전관리자가 방재실에서 작동기능을 통해 경보를 출력하거나 화재를 인지 후 바로 화재 실로 달려가며 발신기를 눌러 화재 사실을 알릴 수 있도록 하였다. 이후 119 신고와 건축물 자위소방대 소집까지의 절차로 구성해 화재경보단계에서는 화재인지 → 화재전파 → 119신고 → 자위소방대소집 순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3단계 초기소화 단계의 경우 화재 발생 시 소방안전관리자가 화재를 진압하기 급급하여 소화기와 화재의 특성을 간과한 채 무작정 공급된 소화기를 사용하여 오히려 화재의 규모가 증대된 사건을 기반으로 ABC 분말소화기의 사용과 기름 화재에 사용되는 K급 소화기 더불어, 전기실과 같은 전기설비가 보관된 장소에서 사용해야 하는 CO2 화기 사용을 장려하여 화재 초기에 소화기 적재적소 사용으로 확산을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화재 장소 특성을 파악해 가스계 소화설비를 운용한 화재진압을 단련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초기진압을 실패한 경우 화재구역 폐쇄와 같은 시나리오를 부여해 소방안전관리자가 당황하지 않고 대처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4단계인 피난유도 단계로 피난개시 → 피난유도 → 피난집결지 집결 → 요구조자상황보고 순으로 설계되어있으며 피난 개시의 경우 지구경종이 작동 되었을경우와 비상방송 설비 활용을 통한 피난을 개시하고 피난유도의 경우 피난층으로 피난을 유도하는 단계 각 상황에 따라 지상층 또는 피난층으로 대피하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상황 부여의 경우 피난로에 적재물 배치로 인한 피난 불가의 상황을 부여하여 소방안전관리자의 행동 대처를 부여하여 설계하였다. 이후 안전하게 피난집결지로 피난시킨 뒤 요구조자 상황보고 단계에서 피난 중 발생한 환자 발생 수와 상태를 확인하는 단계이며 최종적으로 요구조자 발생 상황을 소방대와 자위소방대에 보고하여 확실한 피난유도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Table 3의 첫 행은 5단계로 소방시설 작동 및 조치 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1단계인 화재경보단계와 연관지을 수 있으며 소방안전관리자가 방재실에서 화재를 인지한 경우 소방시설의 작동까지 운용함과 동시에 갑작스러운 돌발상황으로 인해 소방시설이 작동하지 않았을 경우에도 제어반으로 이동하여 수동으로 매뉴얼을 조작하여 시설이 작동되도록 구성하였다. 소방안전관리자의 경우 가스계소화설비에 대한 해당 시나리오는 CO2 소화기를 사용하는 시나리오이므로 소방시설 또한 가스계 소화설비를 이용하여 화재에 대한 2차 피해 발생을 저지하는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6단계인 방호조치 및 응급처치 단계는 방호안전 → 위험현장 출입통제 → 응급처치 순으로 제시되어 있다. 방호안전 순서에서는 화재발생 원인에 대한 방호를 제시한 것으로 해당 시나리오의 경우 누전에 의한 화재발생이기 때문에 전기설비에 의한 화재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를 취하여야 하는 시나리오이다. 또한 화재발생의 경우 전기에 의한 화재뿐만 아닌 주방화재의 경우에도 가스 차단과 화원제거 등에 대한 조치가 포함되어 있는 항목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특급 소방안전관리자 한에서만 다루었던 건축⋅전기⋅가스와 같은 위험물에 대한 교육을 1급, 2급, 3급 소방안전관리자에게까지 행함으로써 방호안전 구축을 통한 화재확산 방지 및 재실자의 안전을 도모하기 위한 절차이다. 다음 단계인 위험현장 출입통제 단계는 화재 현장에 통제라인을 설치하여 시민들을 보호하는 것과 재진입하여 발생하는 심리적 갈등 상황을 조성하여 소방안전관리자가 안타깝더라도 침착함을 잃지 않고 이성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하였다. 덧붙여 응급처치단계에서는 피난 과정 중 발생한 재실자에 대한 응급처치를 진행하여 119소방대가 도착하기 전까지 환자에 대한 1차 응급처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7단계인 소방대 유도 및 협업의 경우에는 소방진입로 확보 → 소방차 배치공간 확보 → 유도상황보고 → 소방대 협업 까지의 단계로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후 보고관련에 대한 업무 역량 향상의 시나리오이다. 소방진입로 확보의 경우 자체소방대의 지휘통제팀이 방호안전팀에게 소방차 장애요인을 파악하는 절차를 가지고 있다. 해당 절차 후 소방차 배치공간 확보의 절차와 소방대 도착 후 유도상황을 보고업무를 추가하였다. 최종적으로 소방대와 협업하여 건축물 내부의 정보를 전달하거나 건물 도면 등을 제공하고 업무절차에 대한 협업을 진행하는 시나리오이다.
Table 4는 1∼4단계에 대한 시나리오의 절차분석을 나타낸 것으로 절차분석은 교육자의 행동 절차로서 시나리오에 따른 채점과 적절한 대처의 유무를 따진다.
Table 4
Scenario Action Procedure Analysis (Steps 1 to 4)
Division Category Procedure Analysis
Fire Break Out Electric Fire Break Out -
Fire Alarm Stage Fire Recognition Checking the Interlocking Status of the Facility and Determining the Fire
Fire Situation Propagation Release the Fire Alarm
119 Report A Prompt Notification of the Situation
Formation of Self-Defense Force -
Initial Fire Extinguishment Stage Use of Fire Extinguisher Familiarize with Using Fire Extinguishers
Gaseous Fire Suppression Check the Number of People Remaining Inside the Fire Room and Operate the Manual Control Box
Fire Area Closed due to Initial Fire Extinguishing Failure -
Evacuation Guidance Stage Commencement of Evacuation -
Evacuation Guidance Guide to the Opposite Side of Evacuation Stairs or Remove the Load by Using Evacuation Guidance Team
Gathering of Evacuation Site Move to the Nearest Evacuation Area
Requestor Status Report Evacuation Failure Notification
1단계의 경우 화재발생의 상황부여이기 때문에 해당 교육자의 절차는 따로 존재하지 않는다. 2단계의 경우 화재경보단계의 화재인지 항목에서는 주경종에 의한 화재인지 상황에 따른 설비 연동상태 확인 및 화재 여부 판단에 대한 절차분석이 부여된다. 화재전파 항목에 대해서는 잦은 오작동으로 인한 지구경종 정지상황에 대한 해결방안으로 지구경종 정지해제 판단 절차를 부여하였다. 119신고 항목에 대해서는 화재 인지 후 신속한 상황 정보 전달과 화재의 위치 및 요구조자 상황 신고를 진행하여야 한다. 이후 자위소방대 소집은 시나리오상 교육자의 소집유무 판단에 의한 점수부여를 진행한다.
3단계의 경우 초기소화 단계로 소화기 사용 항목에 대해서는 ABC 소화기 사용방법과 CO2 소화기 사용방법을 숙지하는 것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진다. 가스계소화 설비의 경우 소방안전관리자의 가장 숙지하기 힘들고 실무능력이 저하되는 항목으로 절차분석의 경우 화재 실 내부 잔류인원을 파악하고 수동조작함을 작동하는 순서를 가지고 있다. 이후 초기소화 실패로 인한 화재구역 폐쇄를 거처 다음 단계로 이어진다.
4단계는 피난유도 단계로 피난개시 후 피난로 적재물로 인해 피난이 불가할 경우 다른 출구로 이어지는 피난계단으로 유도하거나 화재 층으로부터 안전한 피난층으로 유도해야하는 상황으로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 상황판단하에 따라 대처할 수 있도록 행동절차가 개발되었다. 피난집결지 집결의 경우 가장 가까운 피난안전구역으로 이동 되도록 설계되어 있다. 요구조자 상황보고의 경우 피난실패상황을 전달하는 절차가 이루어져 있다.
Table 5의 경우 시나리오 행동 절차 분석 5∼7단계를 나타낸 것으로 5단계인 소방시설 작동 및 조치 단계는 가스계소화설비의 소화약제저장실 기동용전자밸브 안전핀 제거 정상격발 상태확인 절차와 해당 절차 이외의 소화약제 용기밸브 수동 격발 단계로 실무교육에 가장 필요한 가스계소화설비의 정상작동 실무교육의 행동절차를 부여하였다.
Table 5
Scenario Action Procedure Analysis (Steps 5 to 7)
Division Category Procedure Analysis
Operation and Action Steps of Firefighting Facilities Gaseous Fire Suppression System A. Remove Safety Pin → Confirmation Normal Occurrence B. Manual Detonation of the Extinguishing Agent Container Valve
Protective Measures and First Aid (Fire Expansion) Protection Safety Block the Distribution Switchboard / Panel Board on This Floor
Access Control to Dangerous Sites 119 Fire Brigade Notified of the Current Situation and Guidance to Secure a Base for the Fire Brigade by Arranging the Surrounding Road Conditions
First Aid 1. In the Case of Simple Smoke Inhalation, Transfer the Victim to Fresh Air. 2. First Aid Measures Using a Portable Oxygen can Oxygen Respirator, Etc. 3. Insertion of a Breathing Tube Through the Nose or Mouth if Smoke Inhalation Causes the Windpipe to Swell and Block Airflow (Tracheal Burns)
Fire Brigade Guidance and Collaboration Securing the Fire Truck Access Road Command and Control Team (Fire Safety Manager) Assigned Accurate Duties in Case of Unexpected Occurrence
Securing Space for Fire Trucks The Command and Control Team (Fire Safety Manager) Identifies the Problems of the Fire Engine Department Before the Arrival of the Fire Brigade and Accurately Guides the Placement Space Such as Left and Right Based on the Front Door if it is Not Placed at the Front Door.
Guidance Report Identification of Rescued Persons, Their Current Condition, and Where they Were Rescued Identification of Evacuation Guidance Personnel and Waiting Areas
Fire Brigade Collaboration Provision of Information on Hazardous Materials and Complicated Buildings Requirement of Data on the Operation of Firefighting Facilities Inside the Building
6단계의 경우 방호조치 및 응급처치로 방호안전의 경우 해당 화재실의 원천적인 화재요인에 대한 방호 절차를 진행하는 시나리오로 해당 내용의 경우 전기실 전기원인에 의한 화재 확산으로 해당 분전반에 대한 전력차단의 행동절차를 포함하고 있다. 다음 절차로 위험현장 출입통제 항목으로 119소방대의 현상황을 통보하고 피난구역에 대한 거점확보 및 유도를 포함하고 있다. 최종적으로 응급처치 항목에서는 휴대용 산소호흡기를 이용한 응급처치 방법과 화상 등 부상에 대한 응급처치 절차이다.
7단계의 경우 소방대 유도 및 협업 단계로서 소방진입로 확보 항목에서는 소방차 진입 장애요인을 파악하고 방호안전팀에게 상황부여 항목이다. 다음의 경우 소방차 배치공간 확보에 대한 항목으로 소방안전관리자는 소방대 도착 전까지 소방차량 진입 문제점 등을 파악하여 만일 정문 배치를 못할 상황의 경우 정문을 기준으로 좌측, 후면, 우측 등 배치공간을 정확하게 안내하는 항목이다. 유도상황보고 항목의 경우 구조한 인원과 현재 상태, 구조장소를 파악하는 등과 같이 피난유도 및 인원파악에 대한 행동절차이다. 소방대 협업의 경우 위험물 사항 및 복잡한 건축물 내부 정보제공과 건물 내부의 소방시설 작동사항에 관한 정보제공의 업무절차를 포함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1단계 에서부터 7단계까지의 화재 발생상황부터 모든 소방안전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업무순서를 일차원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교육할 수 있는 방안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개발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육 및 실무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과 실무적인 대처 방안에 의한 소방안전관리자의 역량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추후 해당 논문의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용도 및 등급에 따라 나눈 건축시설에 화재대응 시나리오를 개발 및 적용하고 현재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추진 중인 XR교육훈련 시스템에 해당 시나리오의 화재 흐름에 따른 구성단계를 적용하여 실제 교육자들이 이론교육과 평가를 받는 것보다 XR장비를 활용한 훈련을 통하여 시각적인 판단 및 실질적인 행동대응 능력의 증진이 있을것이라 판단된다.
Figure 1은 화재 상황을 제외한 총 2단계에서부터 7단계까지의 시나리오를 도식화한 그림이다. 화재 경보단계에서는 화재인지 → 화재전파 → 119 신고 → 자위소방대 비상소집 순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해당 항목에 따른 발생 요소들을 제시하여 시나리오를 제시하였다. 초기소화 단계에서는 소화기 사용과 화재구역 폐쇄로 이어지는 시나리오를 제시하였고, 추가적인 상황에 따른 해당 단계에서 옥내소화전 설비와 자동화재설비 작동 상황 시나리오를 도식화하여 시나리오 제작에 따른 요소별 채택을 통한 시나리오 다양화를 제시할 수 있도록 하였다. 피난유도 단계에서는 피난 개시 → 피난 유도 → 피난집결지 집결 → 요구조자 상황보고 순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소방시설 작동 및 조치단계 에서는 기존 설계한 가스계소화설비 이외의 스프링클러설비, 제연설비, 방화문, 방화셔터 상황의 시나리오 또한 포함 할 수 있다. 방호안전 및 응급처치 단계에서는 방호안전 → 위험현장 출입통제 → 응급처치 → 응급의료소 설치/지원 순으로 제시되어 있으며 마지막 단계인 소방대 유도 및 협업 단계에서는 소방진입로 확보 → 소방차 배치공간 확보 → 소방대 유도 후 상황보고 → 소방대 협업 순으로 세세목을 제시하였다. 이처럼 본 논문의 초기 시나리오와 함께 Figure 1에 제시된 항목별 시나리오를 채택함과 동시에 소방시설에서 선정할 수 있는 다양한 시나리오를 제작 및 설계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1
Scenario breakdown by context.
kifse-37-1-148-g001.jpg

4. 결 론

본 논문은 소방안전관리자의 화재대응 훈련을 위한 시나리오 개발에 관한 연구로써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1. 2022년 12월 1일에 실시된 소전관리자의 교육 훈련은 특급 160 h을 수료하여야 소방안전관리자로서의 자격이 주어진다. 또한 1급 소방안전관리자는 80 h으로, 2급 소방안전관리자는 40 h으로 교육 이수시간이 증가함에 따라 소방안전관리자의 실무역량 강화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2.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 역량 향상을 기여하기 위해 화재발생부터 최종 소방대가 도착하여 협업하는 단계까지 총 7단계로 구성된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해당 시나리오의 경우 소방안전관리자가 건축물 내에서 화재를 직면하고 초기소화, 대피, 소방대 협업까지 일차원적인 시나리오를 통해 소방안전관리자가 수행하여야 하는 전체 실무 교육을 진행할 수 있는 시나리오로 활용될 수 있다.

  3. 기존 소방안전관리자 교육인 이론교육 및 실무교육 평가 순으로 교육이 진행되지만 해당 교육의 경우 이론과 실무에 대한 중이성과 교육시간 경과에 따른 습득력 저하에 대한 문제점이 있다. 하지만 해당 시나리오의 경우 전체 교육을 함축하여 하나의 수행 시나리오로써 활용되어 보다 교육의 편리성과 용이성이 개선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최종 제시된 세분화된 소방시설에서 발생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채택하여 시나리오를 제작한다면 다양한 소방시설을 활용할 수 있는 다각적인 시나리오를 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개발한 시나리오를 활용하여 소방안전관리자 강습교육 및 실무교육을 진행함으로써 위험 상황에서 신속한 의사결정 및 다양한 상황 대비 의사결정력 향상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해당 시나리오는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실무교육용으로 개발 업무 추진중인 XR교육훈련 시스템에 적용하여 해당 시나리오 단계 순으로 화재 흐름을 편성해 실제 교육자들이 시나리오와 업무절차 순으로 교육과 평가를 진행해 시각으로 판단하여 실질적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XR 장비로 실무능력을 증진 시킬 것으로 판단된다.

후 기

본 논문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XR플래그십(D0318-21-1008) 사업과 소방청의 국민소방협력 초기대응 현장지원 기술개발사업(20017102)의 지원을 받았음.

References

1. Fire Department. 2021 Fire Department Statistical Yearbook, (2021).

2. S. G Choi, S. Y Jin, S. M Park, Y. J Nam and S. K Kim, “Basic Research on Potential Application of Fire Detection by Measuring Fire Detection Tendency of Indoor Air Quality Measurement Factor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4, No. 1, pp. 37-46 (2020), https://doi.org/10.7731/KIFSE.2020.34.1.037.
crossref
3. The Kyunghyang Shinmun. A Fire in Uijeongbu Apartment Occurred, With More Than 100 Casualties ... 4 Dead⋅10 in Critical Condition, https://www.khan.co.kr/national/incident/article/201501102040411 (2015).

4. E. P Lee, “Analysis of the Causes for Many Casualties in a Mil-Yang Sejong Hospital Fire”, Korean Journal of Scientific Criminal Investigation, Vol. 14, No. 2, pp. 134-145 (2020), https://doi.org/10.20297/jsci.2020.14.2.134.
crossref
5. Ordinance of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ire Prevention And Safety Control Act Enforcement Rule, (2022).

6. S. P Lee and J. H Bae, “Study on the Analysis and Development of the Fire Safety Director System”,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Vol. 22, No. 1, pp. 63-90 (2013), https://doi.org/10.22897/kipajn.2013.22.1.003.
crossref
7. S. W Hong, J. M Park and J. G Choi, “A Study on the Perception of Institution Environment in the Fire Safety Management-Focused on Fire-fighting Officers and Fire Safety Mangegers in Chonnam Province -”, Crisisonomy, Vol. 12, No. 3, pp. 33-52 (2016), https://doi.org/10.14251/crisisonomy.2016.12.3.33.
crossref
8. Y. S Lee, “A Study on the Effective Method of Fire Safety Management of Geriatric Hospitals”, Journal of the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Vol. 18, No. 1, pp. 83-88 (2016), https://doi.org/10.12812/ksms.2016.18.1.83.
crossref
9. J. Y Lee, “A Study on Ways to Improve Safety Management through Analysis of Fire Cases in Multiple-user Buildings”,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8, No. 3, pp. 191-201 (2022), https://doi.org/10.17703/JCCT.2022.8.3.191.
crossref
10. Y. J Choi, S. G Choi and S. K Kim, “Basic Research for the Development of Fire Response Training Scenarios for Fire Safety Managers through Fire Case Analysi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6, No. 1, pp. 43-55 (2022), https://doi.org/10.7731/KIFSE.e7d07c53.
crossref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