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7(1); 2023 > Article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서 경사 공간을 고려한 유량계수에 대한 수치해석적 연구

요 약

본 연구에서는 화재실(=지하층)에서부터 경사 공간을 통하여 외부로 이어지는 공간을 상정한 계산 모델을 이용하여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유량계수에 경사 공간의 경사 각도가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파악하였다. 그 결과, 개구부에서의 유량계수는 경사각도 20°∼30° 부근에서 최고값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였으며, 경사 각도에 대하여 식(8)과 같은 관계를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In this study, a calculation model was constructed assuming the space from the fire room (basement floor) of the building to the ground floor through an inclined space. The effect of the inclination angle on the flow coefficient in the opening between the fire room and inclined space was investig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low coefficient at the opening was maximum around the angles of 20° - 30° and then decreased.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Equation (8) expre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low coefficient and inclination angle.

1. 서 론

일반적으로 창문 등의 개구부가 설치되어 있는 공간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개구부에서 압력차 분포가 생기는 경우, 개구부 상부에서는 화재실에서 외부로 연기가 배출되고 개구부 하부에서는 외부에서 화재실로 공기가 유입된다. 이때 개구부에서 배연량(또는 공기 유입량)은 개구부 형상, 연기층 밀도, 중성대 높이 및 개구부 유량계수에 의존한다. 여기서, 개구부 유량계수의 경우, 문 및 창문과 같은 평균적인 개구부에서는 0.6∼0.7을 일반적으로 사용하고 있다. 단, 공간의 크기에 비교해 개구부의 크기가 큰 경우에는 유량계수가 1에 가까워진다고 보고 되어 있다(1).
한편, 화재 구획에 설치된 개구부가 인접 공간을 통해 외부로 이어져 있는 경우에는 개구부 형상 이외에도 인접 공간의 기하하적 형상의 영향을 무시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지하가와 같은 지하공간은 대부분 지하 1층으로 비교적 깊이가 깊지 않고 지상으로의 출구까지 직통계단(경사 공간)이 설치되어 있다(2). 이런 공간에서의 화재 발생 시, 방화 구획 및 방연 구획의 형성이 실패한 경우를 가정하면 지하가(=화재실)에서 발생한 연기는 경사 공간을 통하여 상부 방향으로 확산하게 된다. 이 경우,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에서는 경사 공간의 기하학적 형상이 연기가 배출되는 부분의 실효개구면적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되며, 이러한 개구부에서 배연량(또는 공기 유입량)을 산출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유량계수(0.6∼0.7)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은 부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본 연구와 같은 경사 공간을 상정한 기존 연구를 살펴보면, 경사 공간 내에서의 천장류 온도를 예측하는 방법(3) 및 경사 공간(경사 공간의 단면 종횡비 및 경사각도)이 열 기류에 미치는 영향(4)에 대해서는 보고되어 있지만, 경사 공간을 고려한 개구부에서 유량계수에 관한 검토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의 유량계수에 대하여 연기 성상 예측에 특화되어있는 수치해석모델 FDS (fire dynamics simulator Ver. 6.7.4)를 이용하여 특히, 경사 공간의 각도 조건이 유량계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하였다.

2. Fire dynamics simulator 개요

2.1 모델 개요

본 연구에서 FDS 계산 모델은 Figure 1과 같은 지하철, 지하가 및 지하 주차장에서의 경사 공간을 상정하고 있으며, Figure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존 연구(3)의 실험 모형과 동일하게 두께 25 mm의 calcium silicate board로 화재실 및 경사 공간을 작성하였다. 단, 경사 공간의 경사 각도는 0°, 10°, 20°, 30°, 40°, 60°이며, 어느 각도에서도 경사 공간의 천장 면에서부터 연직 높이 Hop는 일정하게 설정하였다. 화원은 실험 조건(3)에서 화원크기 200 mm에 맞추어 화재실 중앙에 가로 200 mm × 세로 200 mm × 높이 90 mm로 설정하였다.
Figure 1
Example of inclined space.
kifse-37-1-19-g001.jpg
Figure 2
Outline of FDS calculation model (Unit: mm).
kifse-37-1-19-g002.jpg

2.2 계산항목

Figure 2와 같이 화재실, 개구부(A) 및 경사 공간에서의 온도 및 개구부(A)에서 유량을 계산항목으로 정하였다. 온도는 Figure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화재실 Ta, Tb에서는 천장 면에서 25 mm 떨어진 위치부터 100 mm 간격으로 총 15점, 개구부(A) Top에서는 천장 면에서 40 mm 떨어진 위치부터 70 mm 간격으로 총 8점에서 K-type (ø 0.32) 열전대 장치를 이용해 계산하였고, 경사 공간 Ts1Ts3에서는 천장 면에서부터 10 mm 간격으로 10점, 천장 면에서 100 mm 위치부터는 20 mm 간격으로 10점, 천장 면에서 300 mm 위치부터는 50 mm 간격으로 5점, 천장 면에서 575 mm 위치에서 1점으로 총 26점에서 K-type (ø 0.2) 열전대 장치를 이용하여 계산하였다. 유량은 Figure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구부(A)에서 Z방향으로 50 mm씩 12분할 한 각각의 단면에서 식(1)과 같이 FDS에서 계산되는 유량 m의 연직 분포를 이용하여 질량보존법칙에 근거해 화재실에서 외기로의 유량을 배연량 mop, 외기에서 화재실 방향의 유량을 공기 유입량 ma로 하였다.
(1)
mf+mf=m
Figure 3
Outline of thermocouple tree (Unit: mm).
kifse-37-1-19-g003.jpg
Figure 4
Outline of calculation for mass flow rate.
kifse-37-1-19-g004.jpg

2.3 계산조건

본 연구에서 연료 발열 속도 Qf, 경사 공간의 폭Bsw및 길이 l의 조건은 기존 연구(3,4)에 의하면 FDS 계산 모델의 개구부(A) 상부에서 배출되는 열 기류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며,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소로써는 경사 각도의 조건이 유일하므로 Table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표 조건으로써 연료 발열 속도 Qf,= 16 kW, 경사 공간 폭 Bsw= 600 mm, 경사 공간 길이 l = 1800 mm로 설정하였고, 경사각도 θ는 0°, 10°, 20°, 30°, 40°, 60°로 설정하여 총 6건의 계산을 실시하였다. 계산 모델 작성 시 부재로 사용한 calcium silicate board의 물성치에 대해서는 강 구조 내화 설계 지침(5) 및 calcium silicate board 보온재 2009년 판(6)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격자 크기 δx는 일반적으로 부력을 포함한 시뮬레이션에서 무차원 화한 D*/δx를 이용하는 것을 참고하여 산출하였다. 단, 특성 화재 직경(characteristic fire diameter) D*은 식(2)와 같이 표현된다.
(2)
D*=(QfρCpTg)2/5
Table 1
Conditions of Numerical Simulation
Case Heat Release Rate Qf (kW) Inclined Space Material Property Grid Size δx (mm) / Number of Grid Initial Temperature T (℃)
Width Bsw (mm) Length l (mm) Angle θ (°) Fire Room Inclined Space
1 16 600 1800 0 • Density (kg/m3): 240
• Specific Heat (kJ/(kg⋅K)): 0.782 (0 ℃)∼1.003 (300 ℃)
• Thermal Conductivity (W/(m⋅K)): 0.098 (0 ℃)∼0.177 (320 ℃)
X: 25∼50
Y: 25 Z: 12.5 / 269,824
X: 50
Y: 5∼50
Z: 12.5 / 122,304
20
2 10 X: 50
Y: 12.5∼50
Z: 12.5 / 269,080
3 20
4 30 X: 50
Y: 7.5∼50
Z: 12.5 / 244,776
5 40 X: 25∼50
Y: 25
Z: 12.5 / 348,160
X: 50
Y: 7.5∼50
Z: 12.5 / 315,840
6 60 X: 25∼50
Y: 25
Z: 12.5 / 435,200
X: 50
Y: 7.5∼50
Z: 12.5 / 394,800
여기서, Cp는 정압비열(kJ/(kg⋅K)), g는 중력가속도(m/s2), Qf는 연료 발열 속도(kW), T는 외기온도(K), ρ는 외기밀도(kg/m3)를 의미한다. FDS (Ver. 5) user’s guide(7)에 의하면 부력을 포함한 시뮬레이션에서 적절한 D*/δx의 범위는 4∼16로 보고되어 있다. 본 연구의 FDS 계산 모델은 Table 1에 연료 발열 속도Qf = 16 kW를 고려하면 격자 크기 δx의 범위는 약 12 mm∼50 mm로 계산되며, 화재실 격자 크기 δx의 범위를 12.5 mm∼50 mm로 설정하였다. 특히, 화재실 내 X방향 격자 크기 δx는 Appendix 1에 의해 50 mm로 설정하였고, X축 선상에서 화재실 외벽으로부터 25 mm 떨어진 외기 부분을 계산에 포함하였다. 경사 공간은 경사각도 θ조건마다의 격자 설정을 고려해 격자 크기 δx의 범위를 5 mm∼50 mm로 설정하였다. 초기온도는 20 °C로 설정하였다.

3. 결과 및 고찰

FDS 계산 결과는 착화 후 800 s를 기준으로 한 1 min간의 평균값을 이용하였다(3).

3.1 FDS 계산 결과의 재현성 검토

FDS 계산 결과의 재현성은 Figure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Case 1 (θ = 0°)과 Case 4 (θ = 30°)의 화재실(TaTb의 평균값), 개구부(A) 및 경사 공간에서의 연직 온도 분포를 모형실험의 결과(3)와 비교 검토하여 확인하였다. 그 결과, Figures 5(a), 5(b)의 화재실과 개구부(A)에서 FDS 계산 결과는 모형실험 결과의 연직 온도 분포와 약간 차이가 보여지지만, 화재실 높이 Hf= 0 mm∼600 mm에서의 연직 온도 분포와 He의 연구(8,9)를 참고하여 계산한 열 기류층 높이(FDS 계산 결과에서θ = 0°의 경우 약 270 mm, θ= 30°의 경우 약 282 mm, 모형실험 결과에서 θ= 0°의 경우 약 334 mm, θ= 30°의 경우 약 344 mm)에서 Hf = 600 mm까지의 열 기류층 온도에 착안하면, 경사각도 θ = 0°에서는 FDS 계산 결과가 139 °C, 실험 결과는 125 °C로 오차범위는 약 10%, θ = 30°의 경우 FDS 계산 결과는 132 °C, 실험 결과는 115 °C로 오차범위가 약 12%로 나타났으며, 동일하게 개구부(A)에서 열 기류층 온도는 경사각도 θ = 0°에서 FDS 계산 결과가 113 °C, 실험 결과는 114 °C로 오차범위가 약 1.2%, θ = 30°의 경우 FDS 계산 결과는 111 °C, 실험 결과는 99 °C로 오차범위가 약 11%로 화재실과 개구부(A)에서 열 기류층 온도의 오차율은 FDS (Ver. 4) technical reference guide(10)에서 언급하고 있는 오차율 20% 범위 안에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오차 발생은 Figure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모형실험에서 개구부(A)에 설치된 측정기구 등에 의한 기류의 흐름이 FDS에서는 재현되지 않은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한편, 경사 공간에서는 FDS 계산 결과의 열 기류층 온도가 모형실험보다 약간 높은 경향이 나타난다. 이것은, FDS 계산에서 화재실(Hf = 0 mm∼600 mm)의 열 기류층 온도가 모형실험에 비해 약간 높은 것이 원인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어느 경사각도 조건에서도 개구부(A)에서부터의 유동거리 r가 커짐에 따른 열 기류층의 온도감소 및 경사각도 θ가 커질수록 커지는 열 기류층의 온도감소 경향은 거의 일치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Figure 5
Comparisons of calculation value by FDS and experimental value.
kifse-37-1-19-g005.jpg
Figure 6
State of opening (A) (In case of experimnet).
kifse-37-1-19-g006.jpg

3.2 개구부(A)에서의 유량계수 α

FDS 계산 결과를 이용하여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A)에서의 유량계수 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단, 유량계수 α는 식(3)을 이용하여 산출하였다.
(3)
α=mopm(Hf=0mm600mm)
여기서, mop는 개구부(A)에서 배연량(kg/s), m(Hf = 0mm∼600mm)는 화재실 높이 Hf = 0 mm∼600 mm의 온도 분포와 압력 가정법(11)을 사용하여 계산한 배연량(kg/s)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 압력 가정법의 계산 절차는 ①∼③과 같다.
① 화재실 높이 Hf = 0 mm∼600 mm의 범위에서 연직 온도 분포를 n층으로 분할.
② 식(4)와 같이 개구부(A)의 바닥 수준에서의 압력차를 ‘0’으로 가정한 후, 식(5) 및 식(6)과 같이 n층에서 압력차는 위치압을 고려하여 n - 1층의 압력차를 포함하도록 축차(逐次)계산에 의해 산출한다(단, 각 층에서의 압력차 분포는 일정하다고 가정).
(4)
ΔP0=0
(5)
Δp1=Δp0+Δρ1gh1
           ⋮
(6)
Δpn=Δpn1+Δρnghn
여기서, g는 중력가속도(m/s2), h는 각 층의 두께(m), ΔP는 압력차(Pa), ΔP는 밀도차(kg/m3)를 의미한다.
③ 각 층에서 유량 m산출은 식(7)을 이용하고, 질량보존법칙에 의거하여 배연량mop과 공기 유입량 ma을 산출한다(단, 유량계수 α는 ‘1’로 설정).
(7)
mn=αBhn2ρnΔPn
여기서, B는 각 층의 폭(m), h는 각 층의 두께(m), ΔP는 압력차(Pa), Δρ는 밀도차(kg/m3)를 의미한다.
Figure 7에 화재실 높이Hf = 0 mm∼600 mm에서 온도 분포와 배연량 m(Hf = 0mm∼600mm)및 개구부(A)에서의 배연량 mop을 경사각도 θ에 대하여 정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Figure 7(a)에서 화재실 높이 Hf= 0 mm∼600 mm의 열 기류층 온도는 경사각도 θ = 20°∼30°의 부근까지는 감소하고 그 이후부터는 높아지는 경향이 관찰되었으며, 그 영향으로 인하여 Figure 7(b)에서 배연량 m(Hf = 0mm∼600mm)도 변화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한편, Figure 7(b)의 개구부(A)에서 배연량 mop은 경사각도 θ = 20°∼30° 부근까지는 증가하며, 그 이후부터는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배연량 m(Hf = 0mm∼600mm)의 경우, 식(7)을 이용한 유량 계산 시 유량계수 α를 1로 설정하고 있어 경사 공간의 기하하적 영향이 고려되지 않고 화재실 높이Hf= 0 mm∼600 mm 온도에 의존하는 것이 원인으로 판단되며, 배연량 mopFigure 8에 예로써 경사각도 θ = 0°, 30°, 60°의 800 s에서 속도 분포를 가시화한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경사각도 θ = 30°부근까지는 경사각도 θ가 커짐에 따라 증가하는 부력 및 연돌효과의 영향으로 기류 속도 및 환기량이 증가한 것이 원인으로 예상되며, 그 이후의 경사각도 θ에서는 각도 θ가 커질수록 천장 면을 기준으로 한 연직 높이 Hop는 유지되는 반면, 수직 방향의 높이가 작아짐에 따라 단면적이 감소하기 때문에 열 기류 배출과 공기 유입에 장애 요소가 되어 환기량이 감소한 것이 원인으로 사료된다.
Figure 7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mass flow rate.
kifse-37-1-19-g007.jpg
Figure 8
Velocity vector contours at 800 s.
kifse-37-1-19-g008.jpg
다음으로, Figure 9에 식(3)에 의한 개구부(A)에서의 유량계수 α를 경사각도 θ에 대하여 정리한 결과를 나타낸다. 그리고, 본 연구의 계산 모델과 동일한 모형실험 결과로부터 산출한 유량계수 α (12)를 참고값으로 표기한다. 그 결과, 식(3)에 의한 유량계수 α는 모형실험 결과로부터 산출한 유량계수 α와 거의 일치하는 경향이 나타났으며, 경사각도 θ = 20°∼30° 부근에서 최고값에 도달하고 그 이후부터는 작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또한, 유량계수 α는 경사각도 θ에 대해 식(8)과 같은 관계를 갖는 것이 확인되었다.
(8)
α=0.0002θ2+0.009θ+0.482
Figure 9
The flow coefficient of the opening (A).
kifse-37-1-19-g009.jpg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화재실과 경사 공간 사이에 위치하는 개구부(A)에서 경사 공간을 고려한 유량계수에 대하여 파악하기 위해 FDS를 이용한 검토를 실시하였다. 우선, FDS 계산 결과와 모형실험 결과를 비교해 FDS 계산 결과의 재현성을 확인하였고, FDS 결과를 이용하여 유량계수와 경사각도의 관계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본 연구의 계산조건 범위에서 얻어진 성과를 하기에 나타낸다.

4.1 재현성의 검토

화재실과 개구부(A)에서 FDS와 모형실험의 연직 온도 분포에서는 약간 차이가 나타났지만, FDS 계산 결과와 모형실험 결과의 열 기류층 온도의 오차율은 약 12%이내 인 것이 확인되었다.
경사 공간에서는 FDS 계산 결과가 모형실험 결과에 비해 열 기류층 온도가 약간 높았지만, 유동거리 및 경사각도 조건에 따른 열 기류층 온도감소 경향은 거의 일치하였다.

4.2 개구부(A)에서의 유량계수 α

유량계수 α는 경사각도 20°~30°부근에서 최고값에 도달하고 그 이후 감소하였으며, 경사 각도에 대하여 식(8)과 같은 관계가 확인되었다.

References

1. K. D Steckler, H. R Baum and J. G Quintiere, “Fire Induced Flow Through Room Openings-Flow Coefficients”, Symposium (International) on Combution, Vol. 20, No. 1, pp. 1591-1600 (1985), https://doi.org/10.1016/S0082-0784(85)80654-8.
crossref
2.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Recommendations on Design of Smoke Management Systems for Buildings”. Maruzen Shuppan co., Ltd., Japan, pp. 169-171 (2014).

3. H. W Park, S. G Kang, Y Ohmiya, J Yamaguchi and M Kishiue, “Temperature Property of Ceiling JET in the Slope Way Connected to Fire Room”,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Vol. 86, No. 786, pp. 729-736 (2021), https://doi.org/10.3130/aije.86.729.
crossref
4. H. W Park, “Thermal Behavior in the Inclined Space Connected to Fire Room”,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22, No. 5, pp. 185-191 (2022), https://doi.org/10.9798/KOSHAM.2022.22.5.185.
crossref
5. Architectural Institute of Japan, “Recommendations for Fire Resistant Design of Steel Structures”. Maruzen Shuppan co., Ltd., Japan, pp. 274-275 (2017).

6. Calcium Silicate Insulation Association. Calcium Silicate Insulation 2009, (2009).

7. K McGrattan, B Klein, S Hostikka and J Floyd, “Fire Dynamics Simulator?Version 5?User's Guide”, NIST SP 1019-5, NIST, (2007).

8. Y He, A Fernando and M Luo, “Determination of Interface Height from Measured Parameter Profile in Enclosure Fire Experiment”, Fire Safety Journal, Vol. 31, No. 1, pp. 19-38 (1998), https://doi.org/10.1016/S0379-7112(97)00064-7.
crossref
9. Y He, “On Experimental Data Reduction for Zone Model Validation”, Journal of Fire Sciences, Vol. 15, No. 2, pp. 144-161 (1997), https://doi.org/10.1177/073490419701500205.
crossref
10. K McGrattan, “Fire Dynamics Simulator (Version 4) Technical Reference Guide”, NIST SP 1018, NIST, (2006).

11. M Kishiue, J Yamaguchi, S Okinaga, K Matsuyama and T Matsushita, “Performance Check in the Normal Temperature of Pressurization Smoke Control Improvement of Theoretical Formula about the Patulous State of Door of the Smoke Protect Opening which Reproduces the Flow Place in Case of a Fire at the Time of Normal Temperature and Verification by Experiment”, Journal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Transactions of AIJ), Vol. 80, No. 707, pp. 1-11 (2015), https://doi.org/10.3130/aije.80.1.
crossref
12. H. W Park, S. G Kang, M Kishiue, J Yamaguchi and Y Ohmiya, “Experimental Study on the Flow Coefficient of the Opening between the Fire Room and the Staircase”, Proceedings of AIJ Hokkaido Architectural Research Conference, No. 92, pp. 33-36 (2019).

Appendix

1. 격자 크기 δx의 설정
FDS 계산 모델의 X방향의 격자 크기 δx를 설정하기 위하여 Case 1과 Table A1의 Case A1을 비교 검토하였다. Case A1의 X방향 격자 크기 δx는 Case 1보다 작은 25 mm로 설정하였고, 그 외 조건은 Case 1과 동일하다.
Table A1
Comparison of Grid Size
Case Inclined Space Grid Size δx (mm) / Number of Grid
Angle θ (°) Fire Room Inclined Space
A1 0 X: 25
Y: 25
Z: 12.5 / 507,904
X: 25
Y: 5~50
Z: 12.5 / 244,608
Figure A1에 Case 1과 Case A1의 비교 결과를 나타낸다. 그 결과, X방향의 격자 크기 δx에 의한 차이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계산 시간 등을 고려하여 X방향의 격자 크기 δx를 50 mm로 정하였다.
Figure A1
Comparison results (Case 1 and Case A1).
kifse-37-1-19-g010.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