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re Sci. Eng. Search

CLOSE


Fire Sci. Eng. > Volume 37(4); 2023 > Article
벽지 화재의 표면 연소 현상 및 연기밀도 특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요 약

벽지는 공간 전체를 덮고 있어 화재 시 실내 전체로 빠르게 화염이 확산될 수 있다. 화재 시 생성되는 연기는 피난을 방해하는 주요 인자로 피난안전성 확보를 위하여 벽지의 연기 특성을 밝히는 것은 중요하다. 따라서 본 실험은 ISO 5659-2 연소 챔버 방법을 이용하여 25 kW/m2의 복사열에서 점화 불꽃의 유무에 따라 시간에 대한 특정 광학 밀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연기로 인한 가시도를 나타내는 감광계수와 연소 초기의 연기밀도 특징을 나타내는 VOF4를 도출하였다. 벽지는 종이, 코르크와 목화솜 벽지를 대표 벽지로 선정하여 실험을 수행했다. 실험 결과 모든 벽지의 최대연기밀도는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더 높은 값을 나타냈으며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코르크, 목화솜, 종이 순으로,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목화솜, 코르크, 종이 순으로 높았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의 종이 벽지를 제외한 벽지들의 감광계수는 1.0 m-1 이상으로 화재 시 가시거리 1-2 m가 확보되는 연기밀도를 보인다.

ABSTRACT

During a fire, flames can quickly spread throughout the room because the wallpaper covers the entire surface. Smoke generated from fire is a significant obstacle to evacuation.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study the smoke characteristics of the wallpaper to ensure evacuation safety. This study used the ISO 5659-2 combustion chamber method to measure the smoke density over time with and without flame conditions using a 25 kW/m2 radiation heat flux. The extinction coefficient represents the visibility in the smoke, and VOF4 shows the initial combustion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These two factors were derived from experiment results. Paper, cork, and cotton wallpapers were used as representative wallpapers. The results show that the maximum smoke density of all wallpapers was higher in the non-flame condition than in the flame condition. Under the flame condition, the maximum smoke density was measured in the order of cork, cotton, and paper. In the non-flame condition, the order was cotton, cork, and paper with the maximum smoke density. The extinction coefficient of wallpapers, except paper, exceeded 1.0 m-1 in the flame condition, indicating that the smoke density provides visibility of 1-2 m under fire.

1. 서 론 

내부 마감재는 공간 내부 전체를 덮고 있는 특성상 화재가 발생 시 내부 마감재에 착화가 되면 화재가 빠르게 확산되며 다량의 연기와 함께 유독가스를 생성할 수 있다.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는 피난 시 가시도를 결정하며 피난 시간에 큰 영향을 미칠 뿐만 아니라 재실자의 피난을 방해하여 연기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킨다. 화재로 인한 전체 사망자 수의 50%가 넘는 주원인은 연기 흡입으로 인한 질식이다. 이와 같이 연기는 화재의 위험성과 피난 시간 확보에 대한 중요한 인자이다.
시카고의 이로쿼이 극장(1), 보스턴의 코코넛 그로브 나이트클럽(2), 한국의 씨랜드 청소년 훈련 센터(3) 및 대구 지하철역 화재(4) 등의 대형 화재는 가연성 내부 마감재로 인해 화재 확산이 발생하여 많은 사상자와 상당한 재산 피해가 발생한 참사이다. 건축물의 내부 마감재는 건축물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주거용 건축물에서는 벽지가 대표적인 내부 마감재로 사용되고 있다. 벽지 사용률이 가장 높은 한국과 일본은 실내 인테리어 분야에서 90% 이상 벽지를 사용하고 있다(5). 최근 5년 동안의 화재 발생률 통계 냈을 때 주택화재는 전체 화재 발생률의 28%를 차지하였다(6). 주택화재에서 인명피해는 전체 화재에서 60%를 차지하며 화재 발생률과 인명피해의 비율이 가장 크다. 주거지에서 발생하는 화재에서 유독성 가스를 배출하는 가연물은 다양하다. 이러한 가연물 중 벽지는 빠른 화재 확산 및 유독성 가스 배출의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벽지 연소 시 발생하는 연기에 대한 안전성 평가가 선행이 되고 검증된 벽지 사용이 필요하다. 하지만 벽지에 대한 화재 시 발생하는 연기의 밀도 규제가 연기에 대한 안전성 확보를 하기에는 미흡하다. 「소방시설 설치ㆍ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연기밀도를 나타내는 지표로써 연기의 불투명한 정도를 나타내는 특정 광학 밀도가 400 Ds (specific optical density)를 넘을 시 방염처리하라는 조항이 있다. 하지만 특정 광학 밀도 400 Ds에 해당하는 연기 농도에서 확보되는 가시거리는 0.2-2 m 사이의 값 정도만을 가진다. 「소방시설 등의 성능위주 설계 방법 및 기준」의 인명 안전 기준에 따르면 허용 가시거리 한계는 집회 시설 및 판매시설의 경우 10 m, 기타 시설의 경우 5 m이다. 따라서 0.2-2 m의 가시거리를 갖는 연기 농도는 기준을 만족시키지 못한다. 특정 광학 밀도 400 Ds는 피난에 있어 매우 치명적인 연기 농도임을 의미한다. 또한 화재의 저항을 높이기 위해 방염 처리한 벽지의 경우, 화재 시 높은 연기밀도와 독성값을 나타낸다(7,8). 선행연구에서는 비방염성능의 제품의 경우 방염제품보다 탄화 면적과 탄화 길이 등 화재 성상이 더 크나 연기밀도의 경우에는 방염제품이 더욱 취약한 결과의 값을 나온다는 것을 도출하였다(9). 이와 같은 연구 결과로부터 벽지는 연기밀도에 대한 위험성이 과소평가된 채로 사용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기밀도는 가연물의 연소반응으로 인한 공간의 연기 입자의 양을 나타내며 화재 상황에서의 가시성으로 인한 위험을 정량화하는 데 중요한 변수로 사용된다. 화재 발생 시 생성되는 연기의 밀도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가연물의 연소 특성을 알 수 있는 실험이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실내에서 화재 발생 시 가연물이 되는 벽지의 연기밀도 및 연소 특성을 비교 분석하여 화재 위험성 평가의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은 필수적이다. 벽지 이외에 내부 마감재로 쓰이는 바닥재나, 커튼, 시트 등 여러 재료에 대한 연소 및 연기특성에 대해서는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다. 최근 건축자재로서 각광 받고 있는 합성목재의 화재위험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콘칼로리미터 실험과 연기밀도 실험 장치를 이용하여 연기밀도를 측정하는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를 보였다. 연기밀도 실험을 통하여 시중에 널리 쓰이는 합성목재가 적송 및 방부목보다 더 높은 연기밀도를 가진다(10). 샌드위치 패널 단열재 4종의 연기농도 및 연소독성가스에 대한 연구에서는 4종 중 가장 비싸서 잘 안 쓰는 glass wool의 연기밀도는 복사열 25 kW/m2, 50 kW/m2에서 연기밀도가 0에 가까운 값을 가진다고 발표하였다(11). 건물의 내장재 외에도 가연물이 될 수 있는 자동차의 내장재, 열차의 내장재, 내부 장식재 등 대한 선행연구가 수행되었다. 자동차는 건축물에 비해 화재 빈도가 낮기 때문에 내장재에 대한 난연 평가 기준이 높지 않다. 자동차 내장재의 난연 성능 평가 시험에 통과한 제품들을 대상으로 열방출률, 연기밀도 등의 연소특성을 분석하는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은 결과가 나타났다. 내장재 중 PVC, PE + PVC로 이루어진 내장재는 최대 특정 광학 밀도 800 Ds-1200 Ds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많은 양의 연기를 발생하여 초기 화재 진압의 어려움을 보였다(12). 벽지의 연기밀도 및 연소특성에 대한 연구들도 수행되어 왔다. 실내 마감재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종이 벽지, 실크벽지 및 기능성 벽지를 시료로 하여 연소 후 재의 무게 측정, 열중량 분석, 연소가스 농도 측정 및 연기밀도 시험을 통해 벽지의 연소특성 및 유해성을 도출해 내고(13), 콘 칼로리미터, 발화점, 산소지수 시험기를 이용하여 각각의 발연성, 착화성, 난연성을 측정하여 연소특성을 고려하기도 하였다(14). 실생활에 일반적으로 쓰이는 벽지의 열 발생 특성, 열 방출량 및 연기, 연기의 유독성의 분석으로 화재 위험성 평가의 기초자료를 도출하기 위한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15-17).
벽지의 연기밀도에 대한 연구는 다른 내부 마감재 또는 내장재로 쓰이는 물질들에 비해 부족하다. 이전의 연구들은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벽지, 실크벽지 및 친환경 소재의 기능성 벽지들을 연구 재료로 선정하여 위험성을 판단하였다. 최근에는 이전에 많이 사용하지 않았던 새로운 소재의 벽지가 인테리어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새로운 소재의 벽지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이러한 벽지에 대한 위험성 평가가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새로운 벽지로 사용이 늘고 있는 코르크 벽지, 목화솜 벽지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종이 벽지를 선정하여 화재 시의 연기밀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소실험을 통하여 각 벽지의 연소 특성 및 연소 중 변화하는 연기밀도를 정략적으로 측정한다. 측정값을 토대로 초기에 발생하는 연기밀도 및 가시도의 감쇠 정도를 도출하여 주어진 벽지로 인한 화재 시의 연소 현상 및 연기밀도 특성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고자 한다.

2. 실험 장치와 방법

2.1 실험 시험편

Table 1에 실험 시험편으로 쓰인 벽지의 종류와 실험 조건이 제시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 벽지의 연기밀도 및 연소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종이 벽지, 코르크, 목화솜 벽지를 사용하였다. 시험편 각각의 두께는 현장에서 벽지로 사용되는 실제 두께대로 실험에 사용하였다. 벽지는 종류에 따라 두께가 다르므로 각 벽지 고유의 제품 두께로 실험 시 측정된 연기밀도가 실제 화재 발생 시 나타나는 각 벽지의 연기밀도 특성을 보여줄 수 있다.
Table 1
List of Wallpaper Samples and Test Conditions
Wallpaper Material Thickness (mm) Flame Radiant Heat Flux (kW/m2)
Paper (Hapji) 0.5 Flame 25
Non-Flame
Cork 3 Flame
Non-Flame
Cotton 2 Flame
Non-Flame

2.2 실험 장치

특정 광학 밀도는 표준 실험 방법인 ISO 5659-2에 따라 설계된 연기밀도 챔버로 측정하였다. 연기밀도 챔버의 개략도는 Figure 1에 나타냈다. 연기밀도 챔버의 가로 × 세로 × 높이 크기는 각각 0.914 m × 0.914 m × 0.610 m를 가지며 챔버 부피는 0.51 m3이다. 챔버는 시험편으로 구성된 지지대, 점화 연소기, 복사열을 제공하는 콘 방열기, 로드셀, 광학 창, 광원, 광 측정 기기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점화 연소기에는 30 ± 5 mm의 수평한 점화 불꽃이 방출되고, 점화 불꽃은 콘 방열기로부터 15 mm 아래에 위치시켰다. 로드셀은 질량 손실을 측정하는 장치로 시험 중 시험편의 질량을 측정하여 질량 감소율을 결정할 수 있으며 0.5 g의 측정 정확도를 제공한다. 로드셀 조립체는 질량 감소에 대한 광학 밀도를 나타내는 질량 광학 밀도 데이터를 도출할 때 사용된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험편 중 종이벽지의 질량이 1.5 ± 0.1 g을 나타냈다. 로드셀의 질량 감소 측정 단위는 0.5 g이었기 때문에 질량 감소를 민감하게 측정하지 못한다고 판단하여 로드셀로 측정한 질량 데이터는 사용하지 않았다. 연기의 투과도 측정을 위해 직경 75 mm의 광학 창을 챔버의 상단과 하단에 하나씩 장착하고 하단의 광학 창 밑면에는 9 W의 광원을 설치하였다. 광원은 6.5 V 단색광을 사용하고 양단에 걸리는 전압은 5.5 ± 0.3 V로 유지하도록 조정하였다. 챔버 내 광 경로의 길이는 0.915 m이다. 광 측정 기기는 기록 장치와 결합되고 다중 범위 증폭기에 연결된 광 배속관으로 구성하였다. 육안과 유사한 투과율 또는 S-4 스펙트럼 감도 응답의 105배 이상의 투과율로 광 세기를 연속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실험하였다. 연기에 의한 빛의 감쇠는 광 측정 장치 내에 고정 광학 밀도를 가진 ND 중밀도 필터를 지나쳐 측정된다. ND 중밀도 필터는 발생하는 연기의 모든 파장과 색의 강도를 동등하게 줄이거나 수정하는 필터로써 특정 스펙트럼에 걸쳐 빛의 투과율을 고르게 감쇠시켜 광학 밀도를 산출하였다.
Figure 1
Schematic of smoke density chamber.
kifse-37-4-20-g001.jpg

2.3 실험 방법

시험편은 75 mm × 75 mm의 정사각형으로 구성하여 0.04 mm 알루미늄 호일로 싸서 중앙에 노출되는 영역이 65 mm × 65 mm가 되도록 하였다. 시험편은 챔버 내에 콘 방열기와 수평으로 배치하고, 조건에 맞게 점화 불꽃의 유무를 선택하여 25 kW/m2 복사열이 제공되는 온도 620 ℃를 설정하였다. 콘 방열기는 시험편 표면에 복사열을 조사한다. 시료가 비팽창성을 가지는 경우 시료를 콘 방열기로부터 25 mm 아래에 위치시킨다. 팽창성은 시험편을 콘 방열기로부터 25 mm 아래에 두고 실험했을 때 두께가 10 mm의 팽창하는 재료를 팽창성 재료로 본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3종의 시험편은 모두 비팽창성을 가져 콘 방열기로부터 25 mm 아래에 시험편을 두고 실험하였다. 실험이 시작되면 콘 방열기에서 30 min 동안 일정한 복사열을 조사하도록 하였다. 실험 시작 전, 측정되는 연기밀도의 오류를 줄이기 위해 광학 장비는 시작점에서부터 상부 광학창까지 투과율 100%로 설정하였다. 투과율 100%를 만족하기 위해 이 전의 실험이 끝나면 광학 창을 닦고, 충분한 시간 동안 환기를 시켜주었다. 연기밀도는 수직 방향으로 설치된 광학 장치를 통과하는 빛의 세기를 광 측정 기기가 측정하고 측정된 빛의 세기는 투과율로 변환하여 도출한다. 연기를 통한 빛 세기 감소는 광의 흡수와 산란에 따라 달라지고 광 산란은 파장에 따라 달라진다. 광원이 달라지면 실험 값을 비교하는데 주의가 필요하기 때문에 본 실험에서는 동일한 광원을 사용하여 실험하였다. 또한 연기에 의한 빛의 감쇠는 광 측정 장치 내에 고정 광학 밀도를 가진 ND 중밀도 필터를 지나쳐 측정된다. ND 중밀도 필터는 발생하는 연기의 모든 파장과 색의 강도를 동등하게 줄이거나 수정하는 필터로써 특정 스펙트럼에 걸쳐 빛의 투과율을 고르게 감쇠시킨다. 투과율로 변환된 결과는 특정 광학 밀도 Ds (specific optical density)로 나타낸다. 특정 광학 밀도 Ds는 식(1)과 같이 표현된다. 빛의 상대 투과도에 대한 음수 상용로그에 챔버 부피를 시험편 노출면적과 광선 경로 길이의 곱으로 나누어 계산한 인자를 곱한 광학 밀도로써 챔버의 형상을 반영한 연기 불투명도에 대한 척도를 보여준다. 특정 광학 밀도는 연기밀도를 반영한다. 특정 광학 밀도 Ds는 각 조건 당 세 번의 실험을 하여 평균값을 도출하였다.
(1)
Ds=G[log10(100/T)+F]
Ds (specific optical density): 특정 광학 밀도
G: V/AL, 연기밀도 챔버의 형상학적 특성, 연소 챔버 부피를 시험편 노출면적과 광선 경로길이의 곱으로 나누어 계산
V: 챔버의 부피
A: 시험편의 노출된 면적
L: 챔버 내 광 경로의 길이
T: 빛의 투과율
F: 광학 필터의 밀도 (광학 필터를 사용할 시 ‘1’, 광학 필터를 사용하지 않을 시 ‘0’)

3. 결과 및 고찰

3.1 시간에 대한 연기밀도

Table 23종의 벽지에 대한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과 도달시간을 나타내며 Figure 2는 코르크 벽지의 시간에 대한 특정 광학 밀도를 나타낸다. 코르크 벽지는 점화 불꽃이 주어졌을 때 실험 시작 30~40 s 후 시료의 표면에 불꽃이 형성된다. 코르크의 불꽃연소로 인해 연소 초기에 특정 광학 밀도가 급격하게 증가하는 현상을 보인다. 코르크가 계속해서 불꽃 연소를 하지 않고 자연 소화가 일어난 원인 분석을 위해서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infrared spectroscopy, IR)을 시행하였다. Figure 3은 실험 전 코르크 벽지(original)와 연소 후 검은 층이 생성된 벽지(flamed)의 적외선 스펙트럼 분석(IR) 결과를 나타낸다. 불꽃 연소 이후 탄소와 탄소 간의 단일, 이중, 삼중 결합으로 이루어진 탄화층이 형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original 코르크와 flamed 코르크의 IR 결과를 비교해보았을 때, 코르크가 연소되면서 탄소와 산소의 결합이 사라지며 탄소 간의 결합이 나타났다. 연소 후 코르크의 IR 결과는 탄화층을 의미하는 그래핀(graphene)의 IR 결과와 흡사하다. 연소하며 생성된 탄화층은 목재 화재 시 생성되는 기화성 가스가 이동하는 것을 막을 뿐만 아니라 목재 표면과 하부에 존재하는 미연소 목재 사이의 열전달과 가연물인 목재의 열 방출율을 저하시킨다(18). 또한 탄화층이 생성되면 코르크 벽지 내부까지 충분한 열에너지가 전달되지 못한다. 따라서 코르크 내부에서 연소가 발생하지 않아 특정 광학 밀도가 줄어드는 현상이 나타난다. 점화 불꽃이 없을 때에도 탄화층이 형성된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열에너지 차이로 인해 탄화층의 생성 시기가 늦어지며, 열분해가 천천히 일어난다. 실험 후 표면을 비교해보면 점화 불꽃이 있을 때, 표면의 연소가 더 많이 진행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화 탄화층은 셀룰로오스가 열분해되어 생성된다(19). 실험에 사용된 종이, 코르크, 목화솜의 주요 성분이 셀룰로오스라는 점에서, 연소 실험 중 시험편의 표면에 탄화층이 생성된다.
Table 2
Value and Reach Time of Maximum Smoke Density of Wallpapers
Wallpaper Material Flame Dsmax VOF4 Time (s)
Paper Flame 29.2 29.3 346
Non-Flame 70.4 50.1 690
Cork Flame 57.9 120.4 124
Non-Flame 106.3 57.6 1791
Cotton Flame 56 9.3 1776
Non-Flame 126.1 31.9 1139
Table 3
Characteristics of Smoke Density and VOF4 of Wallpaper Materials
Wallpaper Material Flame Ds(1) Ds(2) Ds(3) Ds(4) VOF4 Extinction Coefficient (m-1)
Paper Flame 3.3 5.7 10.6 19.5 29.3 0.8
Non-Flame 6.8 11.3 18.4 27.3 50.1 1
Cork Flame 4 51.4 44.5 41 120.4 2.3
Non-Flame 3.7 16.8 24.2 25.6 57.6 1.1
Cotton Flame 2.9 1.7 3 3.5 9.3 0.2
Non-Flame 3.3 7.7 12.7 16.4 31.9 0.6
Figure 2
Specific optical density (Ds) of cork.
kifse-37-4-20-g002.jpg
Figure 3
InfraRed spectrometry signals of cork between original and flamed surfaces.
kifse-37-4-20-g003.jpg
Figure 4에서 나타낸 종이벽지의 특정 광학 밀도는 점화 불꽃이 없을 때 세 가지 벽지 중에서 가장 단시간에 최대 특정 광학 밀도에 도달한다. 이는 종이벽지의 두께가 얇아 질량이 다른 벽지에 비해 작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다. 탈 물질이 다른 벽지와 비교했을 때 빠르게 없어지며 최대 광학 밀도가 가장 빠른 시간에 도달한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점화 불꽃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더 높은 온도가 가해짐에 따라 탄화층의 생성과 열분해가 빠른 시점에 일어난다. 따라서 점화 불꽃이 있을 때, 더 빠른 시점에서 최대 특정 광학 밀도를 나타내며 더 작은 값을 가진다.
Figure 4
Specific optical density (Ds) of paper.
kifse-37-4-20-g004.jpg
Figure 5에서 나타낸 목화솜 벽지의 특정 광학 밀도를 보면 세 가지 벽지 중에서 가장 큰 최대 특정 광학 밀도를 가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Figure 6는 목화솜 벽지를 점화 불꽃의 유무에 따라 실험 후 나타난 표면의 모습이다. Figure 6(a)를 보면 시험편 중심 부분에 목화솜이 회분이 되고 남고, 가장자리는 탄화층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화 불꽃이 없을 때 특정 광학 밀도가 감소하는 것은 목화솜이 회분이 되며 연소할 물질이 감소와 더불어 탄화층의 형성으로 시험편의 연소를 막기 때문이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 특정 광학 밀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화 불꽃의 조건에서는 기존의 복사열보다 더 높은 온도가 가해지며 점화 불꽃이 없을 때와 비교하여 빠르게 탄화층을 형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탄화층의 형성이 실험 시작과 동시에 곧바로 형성됨에 따라 최대 특정 광학 밀도의 지속적인 증가를 확인할 수 있다. 세 가지 벽지 공통적으로 점화 불꽃이 없을 때 최대 특정 광학 밀도가 점화 불꽃이 있을 때와 비교하여 높은 값을 보인다. 이는 3종의 벽지에서 공통적으로 생성되는 탄화층이 원인이다. 점화 불꽃이 있는 조건에서 더 큰 열에너지가 벽지에 가해지며 점화 불꽃이 없을 때와 비교하였을 때 탄화층의 생성 시점이 빨라진다. 따라서 점화 불꽃이 있을 때 빠른 탄화층의 생성으로 인하여 특정 광학 밀도가 점화 불꽃이 없을 때보다 작은 값을 보인다.
Figure 5
Specific optical density (Ds) of cotton.
kifse-37-4-20-g005.jpg
Figure 6
Cotton wallpaper surfaces after test at (a) non-flame, (b) flame conditions.
kifse-37-4-20-g006.jpg
최대 특정 광학 밀도는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코르크 벽지, 목화솜 벽지, 종이 벽지 순으로 특정 광학 밀도 값이 높았으며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목화솜 벽지, 코르크 벽지, 종이 벽지 순으로 특정 광학 밀도 값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코르크와 목화솜의 최대 특정 광학 밀도 차이는 크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정 광학 밀도에 대한 위험성을 비교할 때 3종 벽지들 중에서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이 가장 낮은 종이벽지가 세 가지 벽지 중 안전한 것으로 판단된다.

3.2 초기 특정 광학 밀도

실험을 통해 나타난 특정 광학 밀도 결과에서 연소 초기에 특정 광학 밀도에 대한 변화가 시험편마다 다르다. 시험편마다 다른 초기 특정 광학 밀도를 비교하기 위해 초기 특정 광학 밀도 값을 비교하는 지표인 VOF4 값을 도출하였다. Table 3에서는 벽지의 시간에 대한 특정 광학 밀도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 경과시간 1 min, 2 min, 3 min, 4 min 지점에서 나타난 특정 광학 밀도를 나타내었으며 실험 처음 4 min까지 특정 광학 밀도의 누적값인 VOF4을 도출하였다. VOF4는 화재 발생 시 초기의 특정 광학 밀도를 예측하고 대표할 수 있는 지표로서 초기의 특정 광학 밀도 VOF4를 도출하는 식은 식(2)와 같이 표현한다.
(2)
VOF4=Ds(1)+Ds(2)+Ds(3)+Ds(4)/2
Ds(1), Ds(2), Ds(3), Ds(4) : 재료가 복사열에 노출되면서 각각 1, 2, 3, 4 min 경과한 시간의 특정 광학 밀도
벽지의 초기 특정 광학 밀도 값은 피난에 있어서 최대 특정 광학 밀도와 또 다른 위험성을 나타낸다. 화재 시 빠른 시간 내에 대피해야 하는 특성상 화재 초기에 특정 광학 밀도 값이 크게 나타나면 충분한 피난시간 확보가 어렵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특정 광학 밀도 시험에서 측정된 특정 광학 밀도 값을 이용하여 누적특정 광학 밀도의 위험성을 나타냈다. 시간대별 특정 광학 밀도를 살펴보면 1 min 경과시점에서는 모든 벽지에서 유사한 정도의 특정 광학 밀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2 min이 경과했을 때 점화 불꽃을 준 코르크에서 착화가 진행되며 급격한 특정 광학 밀도의 상승을 보이며 코르크 벽지, 종이 벽지, 목화솜 벽지의 순서대로 특정 광학 밀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min이 경과했을 때 점화 불꽃은 준 코르크의 특정 광학 밀도는 경과시간 2 min에서의 특정 광학 밀도에 비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종이 벽지, 목화솜, 점화 불꽃이 없는 코르크의 특정 광학 밀도는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점화 불꽃을 준 코르크를 제외한 모든 벽지에서는 4 min까지 특정 광학 밀도가 서서히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종이 벽지의 최대 특정 광학 밀도는 목화솜 벽지보다 낮지만 연소 초기 4 min 동안 특정 광학 밀도 값은 높은 것으로 화재 초기에 종이 벽지의 연소가 진행되는 것을 알 수 있다. VOF4 값을 살펴보면,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종이벽지 29.3 Ds, 코르크 벽지 120.4 Ds, 목화솜 벽지 9.3 Ds, 점화 불꽃이 없을 때 종이 벽지 50.1Ds, 코르크 벽지 57.6 Ds, 화솜 벽지 31.9 Ds로 나타났다. 벽지의 표면에 착화되는 코르크를 제외한 종이 벽지와 목화솜 벽지는 점화 불꽃이 없을 때 특정 광학 밀도가 더 높으며 점화 불꽃을 준 코르크는 같은 조건의 벽지보다 특정 광학 밀도 값이 최대 12배 이상 차이가 난다. 따라서 연소 초기에 다량의 연기가 발생함과 동시에 화재 시 피난 시 피난자의 가시도 확보에 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VOF4 결과에 의한 연소 초기 연기에 대한 위험도는 코르크 벽지, 종이 벽지, 목화솜 벽지 순으로 높은 것으로 평가된다. 3종 벽지 중에서 가장 높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을 가졌던 목화솜 벽지는 연소 초기에 발생하는 특정 광학 밀도 값이 가장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가장 낮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를 가지는 종이벽지는 점화 불꽃이 없을 때 코르크와 비슷한 양의 초기 특정 광학 밀도가 발생한 것을 볼 수 있다. 화재 발생과 동시에 재실자들이 피난을 할 때의 벽지 위험성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에 초점을 둔 벽지의 위험성과 다른 양상을 보인다.

3.3 감광계수

Figure 7는 벽지 별 시간에 대한 감광계수의 변화를 나타내고 Table 4에서 벽지 별 최대감광계수를 나타냈다. 감광계수는 챔버 내에 수집된 연기를 통해 연기 농도에 따른 빛의 투과량을 정량화한 것으로 감광계수가 클수록 빛의 감쇠가 많아 빛이 적게 투과됨을 의미한다. 단색광 감쇠의 부우게(Bouguer’s)법칙에 기초하여 다음 식(3)이 유도된다.
(3)
Cs=1L1nT0T
Cs: 감광계수(extinction coefficient)
T0: 초기 투과율
T: 투과율
L: 챔버 내 광 경로의 길이
Figure 7
Extinction coefficient of wallpapers as a function of time: (a) paper, (b) cork, (c) cotton.
kifse-37-4-20-g007.jpg
Table 4
Peak Extinction Coefficient of Wallpapers
Wallpaper Material Flame Time (s) Peak Extinction Coefficient (m-1)
Paper Flame 346 0.6
Non-Flame 690 1.3
Cork Flame 124 1.1
Non-Flame 1791 2
Cotton Flame 1761 1
Non-Flame 1137 2.4
감광계수를 도출함으로써 시험편의 특정 광학 밀도에 대응하는 가시거리를 알 수 있다는 점에서 시험편이 가지는 연기에 대한 위험도를 비교할 수 있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종이 벽지 0.6 m-1, 코르크 1.1 m-1, 목화솜 벽지 1.0 m-1, 점화 불꽃 없을 때, 종이 벽지 1.3 m-1, 코르크 벽지 2.0 m-1, 목화솜 벽지 2.4 m-1임으로 나타났다.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벽지의 감광계수는 점화 불꽃이 있을 때에 비해 약 2배 정도 큰 값을 보이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에 비례하여 감광계수가 크기 때문에 측정된 특정 광학 밀도가 가장 높았던 점화 불꽃이 없을 때의 목화솜 벽지가 가장 큰 값을 보였으며 특정 광학 밀도가 가장 낮았던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종이 벽지가 가장 작은 값을 보였다. Table 5는 감광계수와 가시거리의 관계(20)를 나타내었으며, 감광계수(Cs)와 가시거리(D)는 CsㆍD = constant 의 관계를 가진다. 가시거리는 건물에서 사람이 목표물을 식별할 수 있는 거리를 말한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의 종이 벽지를 제외한 다른 벽지들의 감광계수는 1.0 m-1 이상의 값으로 화재 시 가시거리 1-2 m가 확보되는 특정 광학 밀도를 가진다. 건물에 익숙한 사람은 5 m, 익숙하지 않은 사람은 30 m의 한계가시거리를 가지지만 이에 훨씬 못미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Table 5
Extinction Coefficient and Visibility
Extinction Coefficient (m-1) Visibility (m) Condition
0.1 20-30 To the Point that the Smoke Detector Operates
0.3 5 To the Point that People Familiar with the Inside of the Building Feel Like They’re having Trouble Evacuating
0.5 3 To the Point that People Feel the Darkness
1 1-2 To the Point that People Can’t See
10 0.2-0.5 To the Point that People Can’t See the Light
30 - Concentration when Smoke is Released from the Fire Department

4. 결 론

본 연구에서는 벽지의 특정 광학 밀도 및 연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연소 챔버 시험법을 사용하여 점화 불꽃 유무가 연기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1. 최대 특정 광학 밀도는 3종 벽지 공통으로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더 높은 값을 나타냈다.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종이벽지는 탄소층이 5 min 내외에 형성되어 최대 특정 광학 밀도를 보이고 서서히 특정 광학 밀도가 감소했다. 코르크 벽지는 실험 시작 후 2 min 내로 코르크 표면에 착화가 일어나면서 빠르게 탄화층을 형성하여 최대 특정 광학 밀도를 보이고 서서히 특정 광학 밀도가 감소했다. 목화솜 벽지는 실험 시작 후 곧 바로 탄화층이 형성되며 계속해서 특정 광학 밀도가 증가하며 1800 s가 되었을 때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을 보였다.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과 비례하여 감광계수가 커지고, 점화 불꽃이 있을 때 종이벽지를 제외한 벽지에서는 화재 시 가시거리가 1-2 m 이내이다.

  2. 벽지 3종 중 가장 낮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값을 가지는 종이벽지는 초기 특정 광학 밀도량을 나타내는 VOF4가 높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량을 가진 코르크와 VOF4 값이 점화 불꽃이 없을 때 비슷한 밀도값을 가진다. 반대로 가장 높은 최대 특정 광학 밀도값을 가지는 목화 솜 벽지는 점화 불꽃의 유무에 상관없이 VOF4 값이 가장 낮은 값을 가진다. 벽지가 가질 수 있는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과 초기 특정 광학 밀도 값에 대한 위험성은 피난 시 상황에 따라 다르게 평가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벽지 연소실험을 통하여 측정한 시간에 따른 특정 광학 밀도의 변화를 각 시험편의 표면 변화를 고찰해보며 변화의 원인을 도출해내었다. 각 벽지의 최대 특정 광학 밀도 값과 초기 특정 광학 밀도 값을 비교해보며 화재 초기 피난 상황에서 각 벽지가 가지는 위험성과 화재 발생 후 일정 시간이 지났을 때 각 벽지가 가지는 위험성의 차이를 고찰해보았다.

후 기

이 논문은 2021년도 정부(교육부)의 재원으로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기초연구사업임(No. 2021R1I1A3051976).

References

1. S. G. Knowles, “Lessons in the Rubble:The World Trade Center and the History of Disaster Investigations in the United States”, History and Technology, Vol. 19, No. 1, pp. 9-28 (2003), https://doi.org/10.1080/0734151022000042252.
crossref
2. J. R. Saffle, “The 1942 Fire at Boston's Cocoanut Grove Nightclub”, The American Journal of Surgery, Vol. 166, No. 6, pp. 581-591 (1993), https://doi.org/10.1016/S0002-9610(05)80661-0.
crossref pmid
3. M. O. Yoon, “Report on Fire Analysis and Alternative Solutions of the SEA LAND Recreational Assembly Facility Fire at Hwasung, Kyungkido”,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3, No. 4, pp. 57-60 (1999).

4. M. H. Back, “The Research Regarding a Taegu Subway Station Fire on the Spot Inspection and the Change Analysis of Broadcasting Reprot”, Proceedings of 2003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pp. 352-358 (2003).

5. K. H. Kim, T. H. Kim and Y. W. Park, “Manufacturing Technology and Development Trends of Wallpaper for Home Interiors”, Fiber Technology and Industry, Vol. 26, No. 2, pp. 65-71 (2022).

6. The Fire Department. “Fire Occurrence Table”. Fire Occurrence Status by Location for Fire Factors, (2021).

7. S. K. Ham, H. Kim and W. H. Kim, “A Toxic of Interior Upholstery in Apartment Housing”,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5, No. 3, pp. 36-43 (2001).

8. M. R. Park, K. I. Kim and T. G. Kim, “A Study on Total Fire Risk Assessment of Wallpap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17, No. 1, pp. 33-39 (2003).

9. Y. T. Han and S. K. Kim, “On the Comparison of Flame Retardant Characteristics and Smoke Density of Indoor Wall Finishing Materials in Residential Facilities”, Residential Environment, Vol. 19, No. 1, pp. 119-126 (2021), https://doi.org/10.22313/reik.2021.19.1.119.
crossref
10. B. W. Shin, Y. H. Song, D. H. Rie and K. S. Chung, “A Study on the Analysis of Smoke Density Characteristics for Wood-Plastic Composite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5, No. 3, pp. 119-124 (2011).

11. S. Y. Park, W. S. Lee, H. S. Yeo and H. S. Im, “The Experimental Study for the Smoke Optical Density and Toxic Gases of Sandwich Panel Insulation (Single Chamber Method)”,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0, No. 4, pp. 26-32 (2006).

12. Y. T. Kim, H. R. Kim, Y. J. Park and H. P. Lee, “A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Combustion for Car Interior Materials”, Proceedings of 2008 Fall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pp. 450-455 (2008).

13. K. H. Oh, Y. Y. Choi and S. E. Lee,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Wall Paper”,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21, No. 1, pp. 90-97 (2007).

14. H. R. Kim, Y. T. Kim, Y. J. Park and H. P. Lee, “A Study on Combustion of Various Wallpaper”, Proceedings of 2009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Engineering, pp. 520-525 (2009).

15. Y. J. Park and H. P. Lee, “A Study on the Combustion Characteristics of the Interior Wallpaper in the Residential Fir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azard Mitigation, Vol. 16, No. 2, pp. 261-267 (2016), https://doi.org/10.9798/KOSHAM.2016.16.2.261.
crossref
16. G. H. Kim, D. E. Kim, D. G. Seo and Y. J. Kwon, “A Study on the Interior Material Combustion Characteristics in Residential Facilities Fire Behavior Prediction”, Proceedings of 2013 Spring Annual Conference, Korean Institute of Residential Environment, Vol. 13, No. 1, pp. 65-66 (2013).

17. S. E. Seo and S. W. Shin, “A Study on the Fire Safety Performance of Interior Surface Materials in a Building”, Proceedings of 2013 Fall Annual Conference, Korea Safety Management &Science, pp. 367-382 (2013).

18. T. K. Hong, M. H. Ryu, J. W. Lee and S. H. Park, “Effect of Char Produced from Burning Wood Combustibles in Thermal Pyrolysis”,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Vol. 33, No. 5, pp. 7-12 (2019), https://doi.org/10.7731/KIFSE.2019.33.5.007.
crossref
19. M. S. Mettler, D. G. Vlachos and P. J. Dauenhauer, “Top Ten Fundamental Challenges of Biomass Pyrolysis for Biofuels”, Energy &Environmental Science, Vol. 5, No. 7, pp. 7797-7809 (2012), https://doi.org/10.1039/c2ee21679e.
crossref
20. The Korea Fire Protection Association. “Extinction Coefficient”. Risk Management Information Technical Data, No. 78, pp. 14(1995).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AUTHOR INFORMATION
Editorial Office
Room 906, The Korea Science Technology Center The first building, 22, Teheran-ro 7 Gil, Gangnam-gu, Seoul, Republic of Korea
Tel: +82-2-555-2450/+82-2-555-2452    Fax: +82-2-3453-5855    E-mail: kifse@hanmail.net                

Copyright © 2024 by Korean Institute of Fire Science and Engineering.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